Benefit/⊙Common sense

〔秋夕〕 한가위 송편 빚기

Paul Ahn 2024. 9. 11. 18:33

〔秋夕〕 한가위 송편 빚기

(ccreview.co.kr)

 

추석때 송편 쪄서 초가집 뒤뜰 장독대에 식혀

마을에 놓인 디딜방아가방앗간역할

송편 가난한 이웃집과 나눠먹는 훈훈한 풍경도

 

넓은 안마당에 전등불을 밝혀 놓고 가족들이 모여 앉아 송편 빚는 모습을 상상해 보자. 가난했던 시절에도 추석이나 설날 같이 명절이 돌아오면 객지에 나갔던 가족들이 돌아오고 차례를 지내기 위해 그동안 못 먹었던 여러 가지 음식을 준비해 모든 가족이 오랜만에 풍성함의 맛을 느끼게 된다. 그 중에서도 가족들이 오손도손 모여 앉아 그동안 못 나누었던 정담을 나누면서 빚는 송편은 추석과 제일 잘 어울리는 음식일 것이다. 같은 송편일지라도 빚는 솜씨에 따라 맛이 다르고 고물에 따라 천차만별의 맛이 나는 데, 송편이야 말로 추석 명절 최고의 별미일 것이다.

 

▲ 디딜방아 쿵더쿵

옛날 시골에는 물레방아가 큰방아이고 디딜방아가 작은방아로 마을 중심에 놓여 여러사람들이 모여 찧었다.

/ 1968년 충주 미륵리

 

햅쌀은 끈기가 좋아 오래 쳐대면 떡살이 쫄깃쫄깃 맛을 더해 주기 때문에 맛있는 송편을 만들려면 보통 힘든 것이 아니다. 그래서인지 요즘 신세대 새댁들은 바쁘고 귀찮다는 이유로 떡집에서 기계로 만든 송편을 사다가 차례상에 올린다. 송편을 빚는 이유중에는 조상님에 대한 존경과 가족 사랑, 더 나아가 곡식을 풍성하게 키워 준 자연의 고마움을 담는 것인데 이런 마음이 빠진 차례상은 아무래도 추석과는 맞지 않는 것 같다.

 

그리고 설날에 떡국을 먹는 이유는 둥근 떡 가래를 엽전 모양으로 잘라 한해 동안 재화가 넘쳐나기를 소망하는데 있고 시루에 찐 떡을 떡메로 쳐서 길게 늘여 뽑아 가래떡을 만드는 것 또한 재산이 쭉쭉 늘어가기를 바라는 의미에서 나온 것이다. 이와 같이 명절 때 차례상에는 꼭 떡이 올라가 우리들의 소망을 조상님께 기원했고 그런 조상님들에게 맛있는 음식을 대접함으로써 조상에 대한 고마움을 표현할 수 있었다.

 

▲ 송편빚기

3대가 함께 살던 대갓집은 송편을 많이 빚어 가난한 이웃집에게 나눠주기도 했다.

/ 1967년 청주 사직동

 

우리 민족은 먼 옛날부터 여러 사람들이 모여 음식을 나누어 먹고 함께 즐기는 것을 좋아했다. 추석 또한 이런 풍습이 이어져 나온 것으로 생각되는데 기록을 보면 신라 유리왕 때 길쌈에서 가배(嘉俳)가 유래돼 햇쌀로 송편을 빚고 햇과일과 여러 음식들을 만들어 차례상에 올려 제를 올리고 조상의 묘를 찾아 벌초(伐草)하고 성묘(省墓) 등을 했다고 기록돼 있다. 아마도 이것이 기록으로 남아있는 추석의 첫 모습일 것이다.

 

가배의 가()는 즐겁다, 아름답다라는 뜻이고 배()는 광대, 어숫거리다 라는 뜻으로 한자를 풀이해 보면 즐겁게 춤추며 광대처럼 놀았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또한 팔월 한가위 명절을 추석(秋夕)이라 한 것도 가을 저녁이란 뜻의 명절로 낮보다 밤을 더 상징한 것 같다.

 

한여름 땀 흘리며 가꾼 오곡이 풍성해 먹을 것이 많고 휘영청 달까지 밝으니 모든 사람들이 술과 떡을 나누어 먹으면서 얼마나 즐겁게 춤추고 노래하며 즐겼을까. 그 시대에 안 살아 봤지만 충분히 상상할 수 있는 그림일 것이다.

 

불과 30년전 전국 곳곳 초가집 뒤뜰 장독대에는 송편을 쪄서 대소쿠리에 담아 식히던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었다. 개구쟁이들이 장난끼가 발동하면 한밤중 이집 저집 떡을 바꿔 놓아 새벽녘에 온 동네가 한바탕 소란을 겪은 재밌는 추억도 떠오른다.

 

▲ 추석준비 떡방아

돌절구에 쌀을 넣고 내외는 절구질을 하고 명절을 손꼽아 기다리는 손녀딸은 때때옷을 미리 입고 거들고 있다.

/ 1978년 청원 문의면

 

추석명절이 얼마나 좋으면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말이 생겨 났을까. 있는 집도 없는 집도 추석 명절엔 음식이 풍성했고 가난한 이웃이 있으면 송편을 더 많이 빚어 이웃과 나눠 이웃사촌의 정도 넘쳐 났었다. 얼마 전 TV 방송에 북한의 음식프로가 방영됐는데 추석 송편을 만두 만큼 크게 빚어 먹고 덩실덩실 춤추는 모습에서 초가집 생활에서 추석을 맞았던 우리의 옛 모습을 보는 것 같아 정감을 느낄 수 있었다.

 

쿵더쿵 쿵더쿵 디딜방아로 쌀을 빻아 송편을 빚던 옛 사진속의 모습처럼 올 추석은 정성이 가득 담긴 차례상을 마련해 조상님들과 자연에게 고마움을 표시하고 어느 해 보다 더 풍성한 한가위가 되기를 다같이 기원해 보자.

 

前 언론인·향토사학자

 

충북인뉴스

2006.09.28 00:00

 

 

왜 송편으로 불렸을까요?

(nvp.co.kr)

 

송편은 소나무 송자에 떡병자를 합쳐서 떡에 소나무잎을 넣는다고 해서 "송병(松餠)"이라고 불렀었다. 

오늘날에 이르러서야 "송편"이라 불리고 있다.

 

그런데 송편의 모양 또한 반달모양인데 그 연원을 살펴보면 아주 의미가 흥미롭다.

 

삼국사기에 보면 백제 의자왕때 궁궐안 땅속에서 거북등이 올라 왔는데 그 거북등에는 "백제는 만월이요, 신라는 반달"이라는 글이 쓰여 있었다고 전해진다.

 

그 뜻을 궁중점술가는 "백제의 의자왕은 만월이니 앞으로 서서히 기울것이요 신라는 반월이니 앞으로 차차 커져서 만월이 될것이다 "라고 풀이 했다.

 

그런데 우연하게도 얼마지나지 않아 신라가 삼국통일을 이루었다.

이때부터 신라는 전쟁터에 나갈때는 반달모양의 송편을 만들어 먹으며 승리를 기원하였다고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