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051

2025년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

2025년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 대한민국의 K-POP 아이돌을 소재로 하는 최초의 해외 제작 애니메이션이며 역사상 최초로 K-POP 음악을 활용한 뮤지컬 애니메이션이다. 줄여서 '케데헌' 또는 '케데몬'이라고 불리며 영미권에선 'KPDH' 또는 'KDH'라고 줄여 부르고 있다. 2025년 6월, 애니메이션인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공개되어 한국 넷플릭스에서 1위, 넷플릭스 서비스 국가 중 41개국에서 일간 순위 1위를 달성하며 다시금 한류의 인기를 입증했다. 물론 엄밀히 말하자면 이 작품은 넷플릭스에서 만들었기에 한국 작품이 아니지만, 한국계 스태프들과 성우들이 대거 참여했고 작품의 배경 자체가 한국을 중심으로 돌아가며 일월오봉도, 해태, 곤룡포, 머리에 쓰는 삿갓 등 고전적인 한국적인 요소들..

2024년 블랙핑크 로제의 “아파트, 아파트”

2024년 블랙핑크 로제의 “아파트, 아파트” 로제는 이 노래를 한국에서 유행했던 술자리 게임 ‘아파트’에서 착안해 만들었다고 한다. 뮤직비디오에서도 로제와 마스는 이 게임을 재현한다. 마스가 양손에 태극기를 들고 우리말로 ‘건배’를 외치는 모습은 국내 팬들 사이 화제가 됐다. 노래 흥행으로 한국식 영어 표현인 ‘아파트’ 단어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소셜미디어에선 아파트가 ‘아파트먼트’(apartment)를 뜻하는 말인 줄 모르는 외국인들이 한국어 발음 ‘아파트(AP-A-TEU)’를 그대로 따라 하는 영상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덩달아 윤수일이 부른 ‘아파트’까지 인기다. 1982년 발표된 이 노래 음원에는 “아파트 42년 만에 재건축 축하합니다” 등 댓글이 달리고 있다. 2024년 10월 18일에 발..

2021년 넷플릭스 한국 드라마 시리즈 ‘오징어 게임'

2021년 넷플릭스 한국 드라마 시리즈 ‘오징어 게임' (주)싸이런픽처스에서 제작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 시리즈. 황동혁 감독이 연출, 시나리오를 담당했다. 넷플릭스 역사상 가장 흥행한 시리즈이다.2021년에는 한국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최초로 넷플릭스 미국 드라마 부문 1위를 기록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를 넘어 넷플릭스가 서비스되는 전세계의 모든 국가에서 1위를 석권하는데 성공하는 등, 전세계의 시청률 순위를 모두 제패하고 대흥행을 기록하는데 성공한다. 이 시리즈는 심각한 재정적 어려움에 처한 456명의 플레이어가 456억 원(미화 3,986만 달러)의 상금을 목표로 목숨을 걸고 일련의 치명적인 어린이 게임을 플레이하는 비밀 대회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 시리즈의 제목은 한국 어린이 게임인 ..

2019년 봉준호 감독의 서스펜스 ‘기생충 寄生蟲’

2019년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 寄生蟲’ 기생충(寄生蟲, Parasite)은 2019년 개봉한 대한민국의 블랙 코미디 서스펜스 영화이자 26번째 천만 관객 돌파 영화이다. 봉준호의 일곱 번째 장편 영화로, 한진원과 공동 각본을 썼다. 2019년 5월 30일에 CJ 엔터테인먼트 배급으로 대한민국에서 개봉되었으며 천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하였다. 2019년, 봉준호 감독의 작품 기생충이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은 물론,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4관왕을 이룩하는 매우 커다란 성과를 거두었다. 이후 각종 영화제에서도 상을 수상하고 여러 국가의 아시아 영화, 비영어 영화 흥행 성적을 모조리 갱신했다. 기생충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전자신문 2020년 2월 9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돌비 극장에서 ..

2015년 더핑크퐁컴퍼니의 ‘아기상어’ 동요와 캐릭터.

2015년 더핑크퐁컴퍼니의 ‘아기상어’ 동요와 캐릭터. 바닷속에 사는 상어가족을 주제로 한 더핑크퐁컴퍼니의 동요와 캐릭터.대표 콘텐츠 영상은 2016년 6월에 유튜브 영문 채널에 업로드한 후 무려 157억 조회수를 달성하는 등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었다.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까지 강력한 중독성으로 크게 인기를 얻었다. 이후 인기가 유튜브를 통해 해외로 퍼졌고 특히 밈이 되면서 해외에서도 높은 인기를 끌게 되었다. https://youtu.be/761ae_KDg_Q 대법, '아기상어 동요 표절 아니다'BBC News 코리아 한국 대법원이 미국 작곡가가 동요 '베이비 샤크(아기상어)'가 자신의 저작물을 표절했다며 제기한 소송을 14일 기각하며 6년간 이어진 법적 분쟁에 마침표를..

2013년 빅히트 뮤직 소속 ‘방탄소년단’ 'Dynamite'

2013년 빅히트 뮤직 소속 ‘방탄소년단’ 'Dynamite' 방탄소년단(防彈少年團 BangTan Sonyeondan)은 2013년 6월 13일에 데뷔한 대한민국의 빅히트 뮤직 소속 7인조 보이그룹으로 방탄소년단(防彈少年團)이란 이름에서 방탄은 '총알을 막아낸다'라는 뜻이 있다. "10대들이 살아가면서 겪는 힘든 일, 편견과 억압을 우리가 막아내겠다는 심오한 뜻을 담아냈다"고 밝혔다. 방탄소년단이 2010년대 중후반부터 서구권에서 반응이 오기 시작하더니 북미-유럽 등 전 세계적으로 팬덤이 불어나면서 K-POP의 인지도가 급상승했다. 특히 방탄소년단은 2020년 중반에 낸 신곡 Dynamite를 통해 21세기 최초로 빌보드 차트 HOT 100에서 1위를 한 아시아 아티스트이자, 비영어권 가수 최초 & ..

2012년 싸이의 여성들에게 바치는 헌사 ‘강남스타일’

2012년 싸이의 여성들에게 바치는 헌사 ‘강남스타일’ 강남스타일(Gangnam Style)은 대한민국의 가수인 싸이의 노래로, 그의 여섯 번째 정규 EP앨범 《싸이6甲 Part 1》의 세 번째 트랙이자 타이틀 곡이다. 2012년 7월 15일(11주년)음반으로 발매되었으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싸이와 유건형이 공동 작곡하였다. 〈강남스타일〉은 한국 가온 디지털 종합 차트와 코리아 K-Pop 핫 100에서 1위를 했으며, 해외에서는 영국, 독일, 프랑스,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이탈리아, 스페인, 네덜란드 등 30개국 이상의 공식차트에서 1위를 했다. 미국 빌보드 핫 100에서는 한국인으로는 원더걸스의 〈Nobody〉에 이어 역사상 두 번째로 차트에 진입했으며, 또한 순위가 2위까지 올라간 뒤 7주..

2003년 한식 세계화 촉매 역할 MBC 월화 드라마 ‘대장금’

2003년 한식 세계화 촉매 역할 MBC 월화 드라마 ‘대장금’ 조선시대 남존여비의 봉건적 체제하에서 무서운 집념과 의지로 궁중최고의 요리사(料理師)가 되고, 우여곡절 끝에 조선 최고의 의녀(醫女)가 되어 어의(御醫)를 비롯한 수많은 내의원(內醫院) 남자 의원들을 물리치고 조선조 유일한 임금 주치의가 되었던 역사상 실존인물, 의녀(醫女) “장금”(長今)! 조선조 중종(1506-1544)때 “대장금”(大長今)이라는 엄청난 칭호까지 받은 전설적인 인물인 장금(長今)의 파란만장한 생애를 통해 그 동안 역사에 뭍혀 있던 한 여성의 의미 있는 성공사례를 소개한다 ‘대장금’ 한식 세계화 촉매 역할 ‘톡톡’재외동포신문 과거엔 마늘 냄새가 강하고 낯선 이국적인 음식으로 여겨졌던 한식이 이제는 뉴욕, 파리, 방콕 ..

2003년 110개국에 수출된 초대박 캐릭터 ‘뽀로로’

2003년 110개국에 수출된 초대박 캐릭터 ‘뽀로로’ 토종 캐릭터의 전성시대를 연 것은 아기 펭귄 뽀로로다. 2003년 6월 EBS를 통해 처음 선보인 유아용 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의 주인공 캐릭터다. '뽀통령(뽀로로와 대통령의 합성어)'으로 불릴 정도로 신드롬을 일으켰다. "노는 게 제일 좋아! 친구들 모여라~"로 시작하는 뽀로로 주제곡은 드러누워 생떼 쓰던 아이마저 벌떡 일어나게 했다. 완구와 문구, 과자, 음료 등 수천여 종에 달하는 뽀로로 캐릭터 상품이 출시됐다. 2004~2008년 5년 동안 국내에서만 1조2,000억 원어치의 뽀로로 상품이 팔리기도 했다. 2003년 11월 27일부터 시즌 단위와 극장판, 교육용 프로그램으로 현재까지 꾸준히 방영하고 있는 유아용 국산 3D 애니메이션..

2002년 KBS 월화미니시리즈 ‘겨울연가’

2002년 KBS 월화미니시리즈 ‘겨울연가’ 《겨울연가》는 2002년 1월 14일부터 2002년 3월 19일까지 방송되었던 한국방송공사 월화 미니시리즈이다. KBS 드라마본부의 윤석호 PD가 2001년 9월초 17년간 재직했던 KBS를 퇴사하고, 팬 엔터테인먼트와 계약한 후, 프리랜서를 선언한 뒤에, 처음 내놓은 작품이다. 2000년 하반기에 방영한 사계절 드라마 《가을동화》의 차기작이므로, 운명적인 첫사랑에 대한 아름답고 슬픈 사랑 이야기를 극화한 전형적인 휴먼 멜로물로 수 많은 시청자들에게 큰 반향을 불러 일으킨 바 있다. 본 드라마 역시, 한류 붐을 일으킨 사계절 드라마가 제작되면서 이어 2003년 《여름향기》, 2006년 《봄의 왈츠》까지 최종적으로 완성된 사계절 드라마의 대장정이었다. 日本은..

1991년 한류 출발점 MBC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

1991년 한류 출발점 MBC ‘사랑이 뭐길래’ ‘사랑이 뭐길래’는 1991년 11월23일부터 1992년 5월31일까지 MBC가 방송한 주말극. 이순재, 김혜자, 최민수, 하희라, 신애라 등이 출연한 드라마는 64.9%의 최고 시청률을 기록할 만큼 크게 인기를 모았다. ‘대발이’ 집안을 중심으로 부모 세대의 가부장적 시각과 젊은이들의 가치관이 부딪치며 벌어지는 해프닝을 유쾌하게 그렸다. 한류 출발점 ‘사랑이 뭐길래’동아일보 한류는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1997년,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가 중국 CCTV 제1채널을 통해 베이징을 중심으로 한 현지 시청자에게 선보였다. 이후 매주 일요일 오전 9시부터 2시간 동안 방영되며 12월 말까지 중국 전파를 탔다. 그리고 이날 첫 방송은 4.2%라는 높은 시청률을..

md114.com / vol. 2533 – Ten%

md114.com / vol. 2533 – Ten% Issue & trend 〔Ten%〕 소득1분위.10분위 소득격차〔Ten%〕 소득 상위 10% 연평균 1억5200만원 버는데〔Ten%〕 상위 10%가 순자산 44.4% 점유〔Ten%〕 "내가 상위 10%라고?"〔Ten%〕 '민생지원금 2차 10만원' 지급 기준 Contents ★백설 / 1953, 국내 최초의 설탕★큐원설탕 / 1956, 삼양사의 설탕 브랜드★윤재창의 '별사탕' / 1970, 일본의 사탕과자인 콘페이토★가나 초콜릿 / 1975, 국내 대표 초콜릿★두레촌 / 1980, 강봉석 명인이 만드는 조청⊙당류 시장규모 Develop & Archi 엠 디 전 략 연 구 소www.md114.com 안 형 상 (安亨相, Paul Ahn)010-3358-..

〔Ten%〕 '민생지원금 2차 10만원' 지급 기준

⊙'민생지원금 2차 10만원' 지급 기준위기브 wegive 그동안 베일에 싸여 있던 '소득 상위 10% 제외' 기준의 윤곽이, 마침내 정부 관계 부처의 발표와 언론 보도를 통해 드러났습니다.핵심은 바로 '건강보험료' 인데요. 오늘, 9월 22일 2차 지급을 앞두고 현재까지 공개된 최종 기준안을 완벽하게 정리하여, 우리 집은 10만원을 더 받을 수 있을지, 지금 바로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핵심 요약!1️⃣ 9월 22일부터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국민 90%에게 1인당 10만원이 추가 지급될 예정입니다!2️⃣ 핵심 기준은 '건강보험료'! 재산세 과표 9억, 금융소득 2천만원 초과 시 제외될 가능성이 있습니다.3️⃣ 과거 사례처럼, 1인 가구(건보료 17만원 이하), 맞벌이 가구(가구원수+1) ..

〔Ten%〕 소득1분위.10분위 소득격차

⊙2024년 상하위 10% 가구 ‘소득 격차’ 역대 첫 ‘연 2억원’ 넘었다경향신문 자산은 15억원 넘게 벌어져…격차 줄이기 ‘조세·근로 정책’ 시급작년 상하위 10% 가구 ‘소득 격차’ 역대 첫 ‘연 2억원’ 넘었다 지난해 소득 상위 10%와 하위 10% 가구 간 소득 격차가 처음으로 연 2억원을 넘어섰다. 자산 격차는 15억원 넘게 벌어졌다. 소득 격차가 자산·교육·건강 격차로 확대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세·근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5일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와 국가통계포털(KOSIS)을 보면, 지난해 가구 소득 상위 10%(10분위)의 연평균 소득은 2억1051만원으로 집계됐다. 전년(1억9747만원)보다 1304만원(6.6%) 늘어 관련 통계를 시작한 2017년 이래 처음..

〔Ten%〕 "내가 상위 10%라고?"

〔Ten%〕 "내가 상위 10%라고?"https://www.chosun.com 맞벌이 역차별 논란 또 불거지나건보료로 한 가구 소득 기준 정해코로나 지원금 때 문제점 드러나 민생 회복 소비 쿠폰을 둘러싼 논란은 15만원만 지급받는 대상이 되는 ‘소득 상위 10%’를 산정하는 과정에서도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소비 쿠폰 지급에서 소득 상위 10%는 가구 단위 소득으로 결정되는데, 이를 가르는 기준은 가구별 월 건강보험료 납부액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소득 상위 10% 이내의 건강보험료 납부액은 직장 가입자 기준 27만3380원 초과였다. 그런데 건강보험료로 한 가구의 소득 기준을 정하는 것의 문제점은 지난 2021년 코로나 상생 국민 지원금 때 드러난 바 있다. 당시 불거졌던 ..

〔Ten%〕 소득 상위 10% 연평균 1억5200만원 버는데

〔Ten%〕 소득 상위 10% 연평균 1억5200만원 버는데한국경제 근로소득과 종합소득을 합친 통합소득 상위 10%는 연평균 1억5000만원이 넘게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하위 10%는 연 650만원 수준에 그쳤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안도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2022 귀속연도 분위별·연령별 통합소득 자료에 따르면 재작년 근로소득이 있는 인원은 총 2621만1458명이었다. 이들이 벌어들인 통합소득은 총 1058조7190억원으로, 1인당 평균은 4040만원이었다. 통합소득은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해당 소득만 포함되며, 근로소득과 종합소득이 모두 있으면 근로소득이 이미 포함된 종합소득으로만 집계한다. 통합소득을 구간별로 보면 상위 10%는 1억5180만원을, 상위 20%..

〔Ten%〕 상위 10%가 순자산 44.4% 점유

〔Ten%〕 상위 10%가 순자산 44.4% 점유머니투데이 '중간'이 사라졌다. 저성장이 뉴노멀로 자리 잡으면서 자산 규모가 양극화하고 '삶' 자체에서 격차가 급격히 벌어지는 초(超)양극화 현상이 나타났다. 이런 초양극화 현상은 공동체 구성원의 공통 목표와 가치를 설정하기 힘들게 한다. 통합에 악영향을 미치고, 우리사회의 가장 시급한 문제인 저출산 문제에도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초양극화 현상을 극복하고 하나의 대한민국을 만들 수 있는 해법을 고민해 본다. 순자산 10분위별 가구의 순자산 점유율/그래픽=김다나 상위 10% 가구가 전체 순자산 44.4% 점유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2024년 3월 말 기준 가구의 평균 자산은 전년대비 2.5% 증가한 5억4022만원이다. 평균 자산의 증가는 ..

〔Ten%〕 소비 위축에 외식 매출 직격탄…술집 매출 10% 줄어

〔Ten%〕 소비 위축에 외식 매출 직격탄…술집 매출 10% 줄어매일일보 올 2분기에도 소비 둔화가 이어지며 외식·여가 업종이 큰 타격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술집 매출은 1년 전보다 약 10% 감소했다. 한국신용데이터(KCD)가 18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소상공인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소상공인 사업장당 평균 매출은 약 4507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 분기보다 7.9% 늘어난 수치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0.8% 줄어든 결과다. KCD 관계자는 “겨울에서 봄·여름으로 계절이 바뀌며 전 분기보다 소비가 다소 늘었지만, 지난해에 비해서는 소비 둔화 흐름이 계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2분기 소상공인 사업장당 평균 지출은 3328만원, 이익은 1179만원으로 나타났다. 업종..

md114.com / vol. 2532 - 防衛費

md114.com / vol. 2532 - 防衛費 Issue & trend 〔防衛費〕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防衛費〕 주요 미군주둔 국가의 방위비분담 비교 연구〔防衛費〕 주한미군 현황〔防衛費〕 2026년 방위비 분담금 1조5000억 낸다.〔防衛費〕 트럼프 행정부, 주한미군·방위비 (GDP) 대비 3.8%요구 Contents ★삼립크림빵 / 1964, 한국의 빵 베스트셀러★삼립호빵 / 1971, ‘뜨거워서 호호 분다’ 호빵 출시★콘티빵 / 1971-1988, 몰락한 신동아그룹이 운영★샤니케익 / 1972, 고급 케이크 전문 회사로 출발★포켓몬빵 / 1999, "스티커를 샀는데 빵이 공짜다"⊙빵 시장규모 Develop & Archi 엠 디 전 략 연 구 소www.md114.com 안 형 상 (安亨相, Pau..

★콘티빵 / 1971-1988, 몰락한 신동아그룹이 운영

★콘티빵 / 1971-1988, 몰락한 신동아그룹이 운영 “옛날에 콘티빵 있었죠? 그건 어떻게 됐어요?”네이트 뉴스 “옛날에 콘티빵 있었죠? 그건 어떻게 됐어요?”라고 물은 뒤 “그 공장은 제 부친이 일하던 곳이고, 삼립은 형이 일하던 공장”이라고 전했다. 간담회에 참석했던 대통령실 관계자는 “콘티빵 이야기는 단순한 질문이 아니다. 이 대통령이 해당 사업장에 개인적 관심이 크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의도였다”며 “이를 통해 신속한 대책 마련을 압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틀 뒤 SPC그룹은 8시간을 초과하는 야간 근무를 폐지했다. 신동아그룹파이낸셜리뷰 신동아그룹은 1953년 세워진 조선제분을 시작으로 하고 1999년까지 존속했던 기업집단이다. 창업주는 최성모씨였고, 그룹 해체 당시에는 최순영씨가 회장..

★샤니케익 / 1972, 고급 케이크 전문 회사로 출발

★샤니케익 / 1972, 고급 케이크 전문 회사로 출발SHANY - We bake goodness! 1972년 고급 케이크 전문 회사로 출발, 현재 국내 최대 제빵 생산 기업샤니는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한 다양한 제품 및 기술력 향상으로전 국민에게 친근한 제빵 브랜드가 되었으며, 사회적 책임을 위한 나눔 경영과 상생 경영 및 노사 문화와 참여 경영을 통한 일류 기업으로 성장해 가고 있다. 1972년 창립 초기부터 케익을 먹는 소녀의 모습 아래에 '샤니케잌'이라 써진 로고를 쓰다가 1983년 9월부터 포도송이 모양의 나무를 형상화한 '샤니 트리' 로고로 변경했다. 이후 1994년 5월부터 명조체로 된 'SHANY' 위에 '떠오르는 태양'을 상징하는 빨간 원 세 개를 올려놓은 로고를 쓰다가 2000년 5..

★삼립호빵 / 1971, ‘뜨거워서 호호 분다’ 호빵 출시

★삼립호빵 / 1971, ‘뜨거워서 호호 분다’ 호빵 출시 호빵이라는 이름은 ‘뜨거워서 호호 분다’, 그리고 ‘온 가족이 웃으며 함께 먹는다’라는 의미로 임원회의에서 결정된다. 호빵이 출시됐을때 사람들의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삼립의 효자였던 ‘크림빵’의 독주를 넘볼 정도였다. 호빵은 당시 빵 값인 5원 보다 4배나 비싼 20원이었음에도 빵 판매원들은 공장에 길게 줄을 서는 진풍경을 벌였다. 하루 160만개를 팔아치운 날도 있었다. 첫 출시는 1971년 10월이었다. 호빵은 ‘뜨거워서 호호 분다’, ‘온 가족이 호호 웃으며 함께 먹는다’는 의미를 담아 붙인 명칭이다. 출시된 해의 12월 하루 평균 출하량이 100만개를 넘어서며 공전의 히트를 기록했다. 당시 빵값인 5원보다 4배 비싼 20원이었지만, 소매상..

★포켓몬빵 / 1999, "스티커를 샀는데 빵이 공짜다"

★포켓몬빵 / 1999, "스티커를 샀는데 빵이 공짜다" 1999년 SBS에서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이 방영한 후 전국적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유명해지자, 당시 한국 판권사인 대원동화가 지나월드, 롯데제과, 대상 등 관련 업계와 손을 잡아 포켓몬스터와 관련된 여러 가지 미디어 믹스 상품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1990년대 후반 당시의 어린이들에게 유행했던 콜렉터들을 열광시킨 아이템이 하나 있었으니 그것이 바로 띠부띠부씰이었다. 포켓몬빵에 이 띠부띠부씰을 부록으로 끼워넣자 포켓몬스터의 세계적인 인기와 함께 빵이 엄청나게 잘 팔렸으며 인기가 있는 빵은 쉽게 매진되곤 했는데 심지어 한 달에 무려 500만개가 넘게 팔렸다고 한다. 이처럼, 띠부띠부씰은 그야말로 초대박급의 수집품이었고, 19..

★삼립크림빵 / 1964, 한국의 빵 베스트셀러

★삼립크림빵 / 1964, 한국의 빵 베스트셀러 삼립식품의 역사는 해방 무렵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45년 10월 고(故) 허창성 명예회장은 서울 을지로에 삼립식품의 전신인 제과점 ‘상미당’을 설립했다. 허 회장은 1959년 사명을 ‘삼립제과공사’로 바꾸고 기업의 기틀을 마련했다. 그는 1964년 일본 동경올림픽 참관을 계기로 일본의 선진 제빵산업 현장을 목격한 후 크림빵 개발에 매진했다. 삼립은 같은 해 국내 최초로 자동화 설비를 갖추고 대량생산빵인 크림빵을 탄생시켰다. 삼립크림빵은 1964년 출시와 더불어 소매 제과점 위주였던 빵 시장에 획기적인 열풍을 일으켰다. 삼립식품 대방동 공장은 크림빵을 사기 위해 이른 아침부터 몰려든 사람들의 줄이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였고 크림빵 매출은 삼립식품 전체 ..

〔Ten%〕 그 시절 요지경 속의 룸살롱

⊙그 시절 요지경 속의 룸살롱경향신문 룸살롱은 도대체 몇 개나 될까. 서울에서 룸살롱이 밀집해 있는 곳은 역삼동, 삼성동, 청담동 등 강남지역이다. 강남구청 자료를 보면 2012년 말 기준으로 신고된 단란주점은 403개, 유흥주점은 301개 업소였다. 서울 전체로 보면 2012년 말 기준으로 단란주점은 3164개, 유흥주점은 2377개 업소에 이른다. 접대부를 고용해 영업하는 형태인 룸살롱은 유흥주점으로 신고해야 한다. 단란주점은 접대부를 고용할 수 없다. 하지만 단란주점으로 신고한 채 불법으로 접대부를 고용해 영업을 하는 곳도 많다. 서울시청 관계자는 “단란주점으로 신고하고 접대부를 고용하는 것은 엄연히 불법이지만 영업을 위해 접대부를 고용하는 업소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룸살롱에도 ..

〔防衛費〕 주한미군 현황

⊙주한미군 현황 트럼프 '4만명 언급'으로 본 주한미군 규모의 변천사 | 연합뉴스 트럼프 '4만명 언급'으로 본 주한미군 규모의 변천사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이우탁 기자 = 주한미군(USFK)은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항복함에 따라 일본군 무장해제를 위해 1945년 9월 8일 인...www.yna.co.kr 2013년 현재 주한미군은 육․해․공군과 해병대를 포함하여 28,500명이다.https://www.nabo.go.kr 미군의 주둔 역사한국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USFK: United States Forces Korea)은 제2차 세계대전 직후 미·소간 합의에 근거하여 일본군의 무장해제와 38선 이남의 군정을 실시하기 위하여 진주한 것이 시초이다. 최초에 배치된 미군은 육군 제24군단 소..

〔防衛費〕 주요 미군주둔 국가의 방위비분담 비교 연구

⊙주요 미군주둔 국가의 방위비분담 비교 연구 (2013년 보고서)https://www.nabo.go.kr 제Ⅰ장 서 론제Ⅱ장 방위비분담 관련이론 및 기존연구 검토제Ⅲ장 한국의 방위비분담 현황 및 특징제Ⅳ장 일본의 방위비분담 현황 및 특징제Ⅴ장 독일의 방위비분담 현황 및 특징제Ⅵ장 한국·일본·독일의 방위비분담 비교 〈한국·일본·독일 방위비분담의 결정 방식〉 방위비분담금 결정방식은 한국은 총액의 “일방적 위임식”이고 일본은 소요충족형인 관계로 “지속적인 상호협조방식”이며 독일은 “공동관리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한국은 총액을 둘러싸고 미국측과 지속적으로 협의해야하고, 일본과 독일의 경우에는 미군이 요청하는 경비가 목적에 부합되느냐를 둘러싸고 수시로 협의하는 방식을 띠게 된다. @한국한국의..

〔防衛費〕 트럼프 행정부, 주한미군·방위비 (GDP) 대비 3.8%요구

⊙트럼프 행정부, 주한미군·방위비 (GDP) 대비 3.8%요구"주한미군·방위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최근 한미 무역협상에서 주한미군 배치 유연성 지지와 방위비 증액 등 안보 현안을 요구 의제로 포함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P가 입수한 미 정부 내부 문서에 따르면, 미국은 한국 정부에 △주한미군(USFK) 배치 태세의 유연성을 지지하는 정치적 성명 발표 △국방비를 국내총생산(GDP) 대비 3.8%로 인상(2024년 2.6%) △연간 약 100억달러(약 14조원)에 달하는 주둔비 분담금 추가 증액 등을 요구했다. 문서에는 “한국은 중국 억제력을 강화하면서 동시에 북한 억지를 지속할 수 있도록, 주한미군 태세 유연성(전략적 유연성)을 지지하는 정치적 성명을 발표한다”..

〔防衛費〕 2026년 방위비 분담금 1조5000억 낸다.

⊙2026년 방위비 분담금 1조5000억 낸다.한국일보 '국방비→물가'로 인상 기준 변경2026년 8.3% 인상·2030년까지 물가상승률 적용예상보다 빠른 타결…'트럼프 리스크' 고려한 듯연간 증가율 상한선도 재도입…5% 설정정부 "한미 연합방위태세 강화에 대한 양국 의지 반영" 한미 양국이 2026년 방위비 분담금을 1조5,192억 원으로 확정했다. 2025년 보다 8.3% 인상한 수치다. 이후 2030년까지 한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물가 상승률)를 적용해 올리기로 했다. 당초 국방비 증가율에 따라 인상하던 것과 다른 방식이다. 이에 따라 2030년 분담금 총액은 1조6,716억 원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외교부는 4일 "제12차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협상을 최종 타결했다"며 "상호 이해와 신뢰..

〔防衛費〕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위키 Special Measures Agreement / 韓美 防衛費分擔特別協定주한미군 주둔비용에 관한 대한민국-미합중국간 특별조치협정이다.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5조 2항을 근거로 양국이 주한미군 주둔비용을 정하는 협정이다. 주둔 비용은 크게 인건비, 군사 건설비, 군수 지원비로 나뉘며 이 중 인건비가 약 50%를 차지 하고 있다. (2019년 기준) 방위비 분담현황1991년 이전까지 주한미군지위협정 제5조 1항에 따라 미국이 대부분의 주둔비용을 부담해 오다가 1991년 미국의 재정악화와 한국의 경제력 신장을 이유로 특별조치협정(SMA)를 맺게 된다. 그 후 수차례 개정과 협정으로 2021년 11차 협정까지 체결되었다. 방위비분담금 추이지표서비스 | e-나라지표 제1·2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