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 of Business/@Water & 53

★닥터페퍼(Dr. Pepper) / 1885, 탄산음료

★닥터페퍼(Dr. Pepper) / 1885, 탄산음료Dr Pepper. Points. • 종류 : 청량음료• 제조사 : 큐릭닥터페퍼• 출시연도 : 1885년  - 닥터페퍼(Dr. Pepper)는 미국 큐릭닥터페퍼에서 나오는 탄산음료다.  - 찰스 앨더튼이 1880년에 개발한 후 1904년 미국에서 판매를 시작했다. 2019년 현재 유럽, 아시아, 캐나다, 멕시코,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남아메리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도 판매된다. 향과 맛이 독특한 이유는 23가지 맛이 섞였기 때문이다.- 닥터페퍼는 2008년부터 미국 내에서는 큐릭닥터페퍼가 생산 판매하며 유럽 지역과 대한민국에서는 코카콜라에서 판매권을 소지하게 되며 캐나다, 오세아니아 지역은 펩시콜라가 판매권을 가지고 있다.  美시장서 '닥터페퍼'..

★잠바주스(Jamba Juice) / 미국 1990, 음료 및 스무디 체인점

★잠바주스(Jamba Juice) / 미국 1990, 음료 및 스무디 체인점 Jamba | Order Smoothies, Juices, Bowls, and Bites •창립 : 1990년 •본사 소재지 :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잠바주스(Jamba Juice)는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본사를 두고 있는 음료 및 스무디 체인점이다. 이 회사는 1990년에 캘리포니아주 샌루이스오비스포에서 처음 시작했으며, 현재 미국과 대한민국을 비롯한 6개국에 800여개의 매장을 두고 있다. 주력상품은 스무디와 주스. 건강과 생기 넘치는 브랜드를 표방하고 있으며 실제로 매장에서 음료를 주문하면 눈앞에서 과일을 짜고 갈아서 음료를 만들어준다. 대한민국에는 2011년에 SPC그룹을 통해서 들어왔다.

★나투라 이 프룻츠(NATURA I FRUTS) / 어떠한 과일주스든 200mL 1유로

★나투라 이 프룻츠(NATURA I FRUTS) / 어떠한 과일주스든 200mL 1유로 •위치 : 바르셀로나 보케리아시장(Mercat de la Boqueria) - 유럽 최고의 바르셀로나 재래시장 - 과일과 채소가 풍부한 보케리아 시장. 인기가 많아지면서 관광객들로 붐비다 보니 과일주스를 판매하는 곳이 한두 개 생기기 시작했다. 과일 맛이 좋으니 당연히 주스 맛은 보장되어 있고, 어떠한 과일주스든 200mL를 단돈 1유로에 살 수 있다. 바르셀로나 보케리아시장의 생과일 주스

★동아오츠카 '포카리스웨트' 1987

★동아오츠카 '포카리스웨트' 1987 (asiaa.co.kr) 현재 이온음료 국내 시장점유율 51.9%, 출시 직후에는 '최악의 맛'으로 선정된 포카리스웨트. 포카리스웨트의 시작은 197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본 오츠카제약의 하리마 로쿠로 직원은 멕시코로 출장을 갔고 그곳에서 예상치 못한 물갈이로 병원에 입원했다. 당시 의사는 열악한 의료상황서 환자에게 "수분공급이 필요하니 진저에일을 마셔보라"며 권했다. 로쿠로 씨는 '체내 수분공급을 위해서라면 이런저런 음료대신 마시는 링거액을 만들어보자'라는 생각에 일본으로 돌아와 보고했고 1970년대 일본 내 링거액 공급 1위 제약사인 오츠카제약은 개발이 어렵지 않으리라 판단. 본격적인 연구에 돌입했다. 연구를 진행해오던 1980년대 초반, 미국에서 게토레이가..

★핫식스(HOT6) / 2010, 에너지 드링크

★핫식스(HOT6) / 2010, 에너지 드링크 종류 : 에너지 드링크생산처 : 롯데칠성음료출시 연도 : 2010년 3월 4일 대한민국 롯데칠성음료에서 제조 및 판매하는 에너지 드링크. 2011년 5월 리뉴얼을 통해 현재 젊은층과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2019년부터 더킹 시리즈를 출시하고 있다. 매출 1000억 ‘국민음료’ 등극한 이것매일경제 2024년 매출 1천억, 출시 14년만롯데칠성서 8번째 메가브랜드최근엔 헬스광들에게 큰 인기 지난해 국내 종합음료기업 최초로 ‘4조 클럽’(연 매출 4조원 이상)에 입성한 롯데칠성음료가 에너지 음료 ‘핫식스’를 8번째 ‘메가 브랜드’(연 매출 1000억원 이상)로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 출시 14년 만에 이룬 쾌거다. 야근하는 직장인, 밤샘 ..

★여명808 / 1998, 숙취음료

★여명808 / 1998, 숙취음료 숙취음료 ‘여명808’ 발명한 ‘남종현 회장’ 한국경제 1998년 출시 이후 27년간 꾸준히 사랑받아온 여명808은 출시 때부터 뛰어난 효능으로 언론과 소비자에게 주목받은 제품이다. 지금까지 숙취해소음료 선두 브랜드로 확고히 자리매김했다. 여명808이 이처럼 오랫동안 소비자에게 사랑받은 이유는 바로 효능이다. 여명808은 천연재료를 이용해 매년 새로운 방식으로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술의 끝판왕’으로 알려진 애주가 남종현 회장은 1996년 발명 당시부터 지금까지 매일 여명808을 마시며 연구하고 있다. 생산 업체 그래미 회장 남종현은 국내 특허 18건, 해외 특허 17건의 국내 발명가 중 많은 특허를 보유한 발명가이다. 첫 번째 사업 실패 이후, 자연을 탐방하던 그..

★밀키스(Milkis) / 1989, 우유탄산음료

★밀키스 / 1989, 우유탄산음료 1989년 4월부터 롯데칠성음료에서 판매하기 시작한 탄산음료. 기존의 탄산음료의 재료에 우유를 첨가하여 만든 것으로, 특유의 독특한 맛으로 인해 해외에서도 나름대로 인기를 누리고 있다. 가정에서 우유와 사이다를 직접 섞어도 밀키스 맛이 나긴 하지만, 역시 특별한 공정을 거치지 않으면 지방 단백질로 인한 뭉침 현상으로 먹기가 껄끄럽다. 유사한 맛을 내는 음료로 코카콜라의 암바사, 해태음료의 크리미, 남양유업의 와츠, 일본의 칼피스 소다(Calpis) 등이 있다. 암바사의 경우 밀키스보다 7년이나 이른 1982년 일본에서 먼저 출시된 원조격 음료수이고 국내 출시도 84년으로 밀키스보다 5년 빨랐으나, 한국 국내에서는 밀키스가 원조고 암바사를 짝퉁으로 아는 사람들이 있으며,..

★맥콜(McCOL) / 1982, 보리탄산음료

★맥콜(McCOL) / 1982, 보리탄산음료 1982년 보리를 이용한 탄산음료 ‘맥콜(McCOL)’ 출시사전 맥콜(McCOL)은 일화에서 1982년부터 생산·판매하고 있는, 보리를 이용한 탄산음료이다. 보리 맛과 레몬 향이 나며 미국의 코카콜라나 펩시콜라에 비해 덜 달고 맥주처럼 약간의 쌉싸름한 맛이 난다. 한국의 토종 음료로서 일본에도 수출되며 일본에서는 "멧코오루"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음료수이기 때문에 기독교(특히 개신교) 신자들이 불매 운동을 벌인다. 한편, 1990년대 중반 단종됐다가 2000년 재 출시됐다. 일화는 1981년 충북 청원군 북일면 초정리 광천수를 이용해 청량음료 사업 청사진을 그렸다. 당시 보리 수요가 점점 줄어 농가가 어려워지고 있다는 소식을 접했..

★야쿠르트 / 1971, 국내 1호 유산균 발효유

★한국야쿠르트 '야쿠르트' / 1971, 국내 1호 유산균 발효유 발효유 불모지서 탄생한 50년 장수 브랜드 '야쿠르트'(asiaa.co.kr) 1969년 설립된 한국야쿠르트(현 hy)가 1971년 출시한 국내 1호 유산균 발효유 '야쿠르트'는 현재까지 hy 대표 제품이자 국내 발효유 상징으로 인식되고 있다. 출시 당시 이름조차 생소했던 '유산균 발효유'가 보편적 건강음료로 자리 잡고 50년째 장수 브랜드로 사랑받기까지, 야쿠르트 역사를 짚어봤다. ◇발효유 불모지서 탄생... 소비자 오해 딛고 국민 음료로=유산균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던 만큼 야쿠르트 출시 초창기는 고난의 연속이었다. hy는 1970년 야쿠르트 시제품을 생산했지만, 판매를 위한 제품 등록과 법적 기준도 부족했다. 국내에 처음 선보이는..

★일화 '초정탄산수' / 1972, 토종 탄산수의 원조

★일화 '초정탄산수' / 1972, 토종 탄산수의 원조 1972년 출시 후 50여년간 탄탄한 브랜드 인지도로 인기 끌어일화, 1986년 초정약수 인수후 2000년 탄산수 시장 본격진출웰빙 트렌드 이후 소비자 취향 고려한 다양한 제품·용량 출시 토종 탄산수의 원조 '초정탄산수''초정탄산수' 탄산수 대중화를 이끈 장본인이 있다. 바로 일화의 초정탄산수다. 1972년 첫 선을 보인 이래 올해로 탄생 50주년을 맞는다. 초정탄산수는 처음 출시 때부터 당류와 색소, 기타 인공첨가물 등을 일절 넣지 않은 제로칼로리 음료였다. 지난 50년 동안 국내외 유명 브랜드와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장수한 비결은 한결 같은 제품력과 탄탄한 라인업 덕분이다. 초정탄산수의 탄생은 197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초정탄산수는 천연..

★칠성(七星)사이다 / 1950, 창업주들의 성씨가 7개여서 칠성

★칠성(七星)사이다 / 1950, 창업주들의 성씨가 7개여서 칠성 식품유형 : 탄산음료출시일: 1950년 5월 9일제조원 : 롯데칠성음료 롯데칠성음료의 주력 제품으로 생산 중인 사이다. 한국에서 코카콜라 다음으로 가장 많이 팔리는 탄산음료. 단일 품종으로 많은 매출을 올리고 있는 파워 브랜드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름은 창업 당시 창업주들의 성씨가 7개여서 칠성이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롯데칠성음료나 칠성사이다나 '칠성'을 한자로 쓸 때에는 정작 七星을 쓴다고. 창업주들이 '칠성'의 한자를 고를 때 당초에는 七姓이라고 붙이려고 했으나, 이후 회사의 영원한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북두칠성과 연관 지어 七星이라고 고친 것이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다고 한다. 1949년 최금덕, 장계량 등 7명이 '국산 ..

★박카스 / 1961, 국내최초의 자양강장제

★박카스 / 1961, 국내최초의 자양강장제 출시 : 1961년 (박카스 정제) 1962년 (박카스 앰플) 1963년 (박카스 드링크) '박카스' 작년 매출 3517억 신기록...내수·수출 동반 호조호조 전년비 6% 증가...2년 만에 기록 갈아 치워동아제약 내수 매출 역대 최대...10년간 44%↑동아에스티 해외 매출 전년비 18%↑...캄보디아 판매 반등 자양강장제 박카스가 지난해 매출 신기록을 갈아치웠다. 내수 매출이 역대 가장 많은 2681억원어치 팔렸고 수출 실적도 2023년 부진에서 반등했다. 11일 동아쏘시오홀딩스에 따르면 지난해 동아제약의 박카스 매출은 2646억원으로 전년대비 3.0% 증가했다. 동아제약 박카스의 작년 매출은 역대 최대 규모다 2023년 2620억원에서 61억원 늘..

★펩시콜라 / 1898, 코카콜라 컴퍼니의 최대 라이벌.

★펩시콜라 / 1898, 코카콜라 컴퍼니의 최대 라이벌. 미국 펩시코의 탄산음료 브랜드. 코카콜라 컴퍼니의 최대 라이벌. 펩시콜라는 1898년 8월 28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출신 약사인 케일럽 브래덤(Caleb Bradham)에 의해 만들어졌고 그 해 현재 펩시코의 모태가 되는 회사를 설립했다. 1965년 프리토레이사와 합병하면서 "펩시코"라고 명칭을 바꾸었다. 본사는 미국 뉴욕주 웨스트체스터 카운티의 해리슨 시에 있다. 상표명은 '소화시키다'라는 의미의 고전 그리스어 단어 πέψις(pepsis, 펩시스)에서 유래했다. https://youtu.be/d9a2Ye6lB9A?si=h74efyalG2TAxZRj 100년 ‘콜라 전쟁’…펩시, 승기 잡았다아시아경제 100년간 이어온 코카콜라와 펩시의 '..

★코카콜라(Coca-Cola) / 1886,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음료

★코카콜라(Coca-Cola) / 1886,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고 소비되는 음료 www.coca-cola.com • 창업 : May 8, 1886 Atlanta, Georgia, 제이콥스 약국(Jacobs’ Pharmacy)• 창업자 : 존 펨버튼 박사(Dr. John Pemberton) - 코카(Coca)잎 추출 성분과 콜라(Kola)나무 열매로 만든 자양강장제인 '코카-콜라' 약사의 손에서 탄생한 '코카-콜라'(Coca-Cola)(iworldtoday.com) 최초의 '코카-콜라'(Coca_Cola)는 미국의 작은 약국에서 만들어졌다.1886년 탄생해 130년이 넘는 시간동안 꾸준한 사랑을 받아온 코카-콜라.사실 그 시작은 식료품점이 아닌 약국이었다. ◇코카-콜라는 '피로회복제'? 약..

★썬키스트(Sunkist) / 1908, 프리미엄 오렌지주스

★썬키스트(Sunkist) / 1908, 프리미엄 오렌지주스Sunkist | Home • 출시 : 1908년 4월 • 본부 : United States 캘리포니아 1908년 4월에 고품질의 오렌지에 썬키스트(Sunkist) 상표를 사용 하기 시작 했고, 썬키스트는 세계 최초로 브랜드명이 붙은 과일이 되었다. 브랜드명 썬키스트는 과일이 캘리포니아의 강렬한 햇빛을 받고 자란다는 것을 상징 하기 위해서, '태양의 입맞춤' 이란 뜻의 'Sun kissed.'를 줄여서 만들었다. 오렌지를 전문으로 하는 미국의 애리조나와 캘리포니아의 6,500명의 조합원이 모인 협동조합. 그리고 조합 형태로 운영 되는 비영리 기업으로서 주식회사가 아니며, 미국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감귤류 조합임과 동시에 청과물 업계에서는 ..

★아몬드블리즈(Almond Breeze) / 1910, 아몬드로 만든 밀크타입음료

★아몬드블리즈(Almond Breeze) / 1910, 아몬드로 만든 밀크타입음료Blue Diamond 1850캘리포니아의 개척자들은 새크라멘토, 몬터레이, 로스앤젤레스의 토양에서 이상적인 지중해성 기후를 발견하고 그곳에서 첫 번째 아몬드를 심고 산업을 탄생시켰다. 1910캘리포니아에서 230명의 아몬드 생산자들이 모여 만든 아몬드 재배자 거래소(California Almond Growers Exchange)가 설립되어 소규모 국내 특수 작물에서 아몬드 생산 및 마케팅 분야의 세계적인 리더로 캘리포니아 아몬드 산업의 발전을 주도하고 있다. '아몬드 피플(Almond People)'이라고도 알려져 있는 블루다이아몬드 사는 아몬드를 가장 잘 아는 3,000 여명의 조합원들로 구성되어 오랜 전통과 전문성을 통..

★잡곡우유(雜穀牛乳) 2023, 일본 이와테현의 잡곡을 100% 사용

★잡곡우유(雜穀牛乳) 2023, 일본 이와테현의 잡곡을 100% 사용 삿포로홀딩스 주식회사의 그룹 회사인 포카삿포로푸드&비버 레지 주식회사는 일본 제일의 잡곡 생산지인 이와테현의 잡곡을 100% 사용한 ‘잡곡 우유 ∼milletmilk∼’를 2023년 3월 6일에 전국에 발매하였다. 옛날부터 일본인의 생활을 차지하는 잡곡은 비타민 B1, B6와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건강지향이 높아지면서 수요도 같이 증가하였다. 또한 물이 적어 메마른 토지에서도 재배할 수 있어 환경에 착한 농작물로써 주목받고 있다. 일본 잡곡은 이와테현이 전국 생산량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일본 최대 생산지로써 생산진흥과 상품개발 등 다양한 조직을 운영하는 한편, 재배된 양에 비해 출하량이 적어, 재고가 과잉되는 품목이 생기거..

★오틀리(Oatly) / 1994, 스웨덴에서 개발된 귀리음료

★오틀리(Oatly) / 1994, 스웨덴에서 개발된 귀리음료 창립자 : 리커드 아스티(Rickard Oste)창립 : 1994년, 스웨덴 말뫼본사 : 스웨덴 말뫼 1993년 스웨덴 리커드 아스티(Rickard Oste) 교수가 창업한 비건식품 브랜드 오틀리(Oatly)를 만든 리커드 아스티(Rickard Oste) 교수는 유당 불내증을 연구하던 중 스웨덴에서 풍부하게 생산되던 귀리에 효소를 더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귀리우유 가공법을 개발했다. 오틀리(Oatly)는 세계적으로 식물성 우유 소비가 증가하는 트렌드를 잘 공략하면서 특히 미국에서 강력한 브랜드로 등장했다. 〈오틀리의 성공전략〉 - 2012년 새로 취임한 CEO 토니 피터슨(Tony Peterson)은 글로벌 확장을 시도하면서 스웨덴을 넘어 ..

★매일유업 ‘어메이징오트’ / 2021, 100% 식물성 귀리유

★매일유업 ‘어메이징오트’ 어메이징오트는 귀리를 껍질째 맷돌 방식으로 세 번 갈아서 만든 제품으로 베타글루칸, 칼슘 등 영양소가 풍부하다. 어메이징오트는 2021년 9월 출시 이후 지난해 말까지 2000만팩 이상 팔렸다. 지난해 매일유업 식물성음료 판매량은 전년 대비 약 30% 증가했다. 귀리유 국내 1위는 매일유업 어메이징 오트조선비즈 매일유업이 차기 주력 제품군으로 밀고 있는 어메이징 오트는 2021년 출시된 100% 식물성 귀리유다. 현재 관련 시장 국내 판매량 1위다. 출시 1년 만인 지난해에만 2000만팩이 넘게 팔렸고, 중국 스타벅스와 수출 계약을 맺는 등 성과를 거뒀다. 어메이징 오트를 통해 매일유업은 식물성 대체유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최근에는 커피맛인 카페와 초콜렛맛..

★빙그레 '식물성 바유' / 2023, 아몬드와 콩을 베이스로 한 식물성음료

★빙그레 '식물성 바유' 바나나맛우유도 비건으로…빙그레, '식물성 바유' 출시연합뉴스 빙그레는 바나나맛우유의 식물성 음료 버전인 '식물성 바유'를 출시했다고 29일 밝혔다.아몬드와 콩을 베이스로 사용해 한국비건인증원의 인증을 받았다.빙그레는 대체우유 시장 성장에 따라 신제품을 기획했다고 설명했다. 2023-03-29 09:24sun@yna.co.kr

★CJ제일제당 '얼티브' / 2022, 식물성 대체유 브랜드

★CJ제일제당 '얼티브' CJ제일제당은 2022년 식물성 대체유 전문 브랜드 '얼티브'를 선보였다. 우유를 대체할 수 있는 고단백, 고칼슘 음료로 유럽 비건 인증(V라벨)을 획득했다. CJ제일제당, 식물성 단백질 음료 불티나게 팔려FOODICON ‘얼티브 프로틴‘ 쌀밥맛·밤맛 인기…석달만에 100만개 판매쓴 맛 최소화하고 햇반·맛밤과 협업 색다른 이미지 구축 호평 CJ제일제당은 식물성 단백질 음료 ‘얼티브 프로틴 쌀밥맛·밤맛‘이 지난 4월 출시 후 3개월만에 누적 판매량 100만개를 돌파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기간 동안 매출액은 약 30억원으로, 일반적으로 가공식품 신제품이 월 평균 매출 10억원을 달성하면 히트상품으로 불린다는 것을 감안했을 때, 시장에 빠르게 안착한 것으로 평가된다. ‘얼티브 ..

★동원F&B '그린 덴마크' / 2024, 귀리와 아몬드로 만든 식물성 음료

★동원F&B '그린 덴마크' 동원F&B, 식물성 음료 ‘그린덴마크’ 신제품 2종 출시동원산업 - 통째로 갈아 넣은 아몬드와 식물성 콜라겐부스터 1,000mg, 식물성 단백질 5g 각각 함유- 당류 함량이 없고 열량이 50kcal, 65kcal에 불과해 식사대용으로 제격 동원F&B(대표이사 김성용)가 식물성 음료 ‘그린덴마크’ 신제품 2종(콜라겐부스터, 프로틴)을 출시했다고 17일 밝혔다.신제품 2종은 통째로 갈아 넣은 아몬드에 각각 콜라겐부스터와 단백질 등 기능성 성분을 함께 담은 식물성 음료다. ‘그린덴마크 콜라겐부스터’는 흡수가 빠른 식물성 콜라겐부스터 1,000mg과 프랑스산 프리미엄 비오틴이 들어 있으며, ‘그린덴마크 프로틴’은 100% 식물성 단백질 5g과 비타민 3종(B, C, E), 칼슘..

★매일유업 '아몬드브리즈' / 2015, 아몬드 밀크음료

★매일유업 '아몬드브리즈' / 2015, 미국의 아몬드 영농조합인 블루 다이아몬드에서 만든 아몬드 밀크로 대한민국에서는 2015년 4월부터 매일유업이 유통하고 있다. 아몬드 브리즈는 아몬드를 갈아 짜서 물과 혼합한 식물성 음료이다. 아몬드브리즈는 열량이 190ml 제품 기준 35kcal로 일반 우유 대비 1/3 수준이다. 미국, 일본, 호주 등에서는 그 색깔과 질감이 우유와 비슷하여 "아몬드 밀크"라고도 불리지만 정확히 말하면 우유나 두유는 아니다. 그렇지만 아몬드 브리즈 역시 시리얼에 타 먹거나 과일로 스무디를 만들 때 커피나 빵을 비롯한 다양한 요리에 우유의 대용으로 다방면에 활용할 수 있다. 맛은 오리지널, 언스위트, 뉴트리플러스 프로틴, 아몬드&오트, 바나나,초코가 있으며, 견과류 베이스 드링..

★아침햇살 / 1999, 1백% 국산쌀 음료

★아침햇살 / 1999, 1백% 국산쌀 음료웅진식품 세계 최초로 "쌀을 사용한 곡물음료로 특허"를 내어 대한민국 음료시장에 음료 카테고리를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쌀음료. 쌀뜨물과 숭늉을 섞어서 만든 듯한 구수하고 달달한 맛의 음료. ‘아침햇살’은 한국대표음료식품음료신문 출시 9개월만에 1억병 판매「코카콜라가 미국을 대표하는 음료라면 한국엔 아침햇살이 있다.」 우리 고유의 쌀음료 「아침햇살」이 세계적 브랜드로 떠오를 전망이다. 웅진식품(대표 조운호)이 지난해 1월 선보인 「아침햇살」이 시판 한돌을 맞는 시점에서 2억병판매를 눈앞에 두고 있는데다 홍콩 대만 일본 괌 등 동남아시장은 물론 미국으로까지 세력을 힘있게 뻗치고 있다. 아침햇살은 국내 최초로 1백% 국산쌀을 원료로 하고 현미를 보강해 ..

★삼육두유 / 1982, 국내두유 시장점유율 2위

★삼육두유 / 1982, 국내두유 시장점유율 2위삼육식품 삼육식품은 1982년 한국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학교법인의 수익기관으로 설립되었다. 2023년 현재 총 5개 사업장에 420여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본사는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성진로 354-13에 위치해 있다. 삼육식품은 국내두유 시장점유율 2위 기업으로 2020년 약 4억개의 두유제품을 생산하였으며, 한국은 물론 중국, 베트남 등에 수출을 통해 제54회 무역의 날 500만불 수출탑(2017), 제55회 무역의 날 1000만불 수출탑(2018)을 수상하였다. '2021 올해의 브랜드대상'에서 국내 두유부문 15연속, 중국 두유부문 6년 연속 대상 수상이라는 기록과 함께 두유사업을 중심으로 조미김, 특수용도식품, 식물성 단백식품, ..

★베지밀 / 1973, 대한민국 최초의 두유 브랜드

★베지밀 / 1973, 대한민국 최초의 두유 브랜드 창립일 : 1973년 10월 24일창업주 : 정재원식품유형 : 두유제조원 : 정식품 지닌 대한민국에서 가장 유명한 정통 두유 브랜드.대한민국 최초의 두유 브랜드로, 1967년 개발되어 1973년 정식품에 의해 상용화된 국민 건강음료이다.'채소(Vegetable)'와 '우유(Milk)'의 합성어로, 콩을 주원료로 한 식물성 음료를 지칭한다. 정식품의 창립자인 ‘정재원’나무위키 1917년 1월 4일 황해도 은율군 은율면 남천리에서 2남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나 2살 때 부친을 여의었다. 7살 때 안악군으로 이사해 보통학교를 마치고 평양사범학교에 응시했으나 낙방했다. 15세에 평양 기성의학강습소(箕城醫學講習所)에서 교재를 등사하는 사환일을 하면서 17세 때..

⊙식물성 대체우유(Plant-Based Milk Substitute)

⊙식물성 대체우유(Plant-Based Milk Substitute) 식물성 대체우유는 최근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며, 기존 우유 제품의 맛과 특징 모방을 통한 제품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체우유는 크게 두유와 기타 대체우유 2가지로 분류된다. 두유는 콩을 갈아 만든 우유 유사 제품이며, 기타대체우유는 아몬드, 귀리, 코코넛 등의 식물성 원료를 주로 하는 식물성 기반 음료로 정의된다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2021년 국내 대체우유 전체 시장 점유율에서 두유는 88.3%, 기타대체음료는 11.7%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두유 매출액 기준 시장 규모는 2018년 약 3,983억 원에서 2021년 약 3,758억 원으로 매년 감소하는 반면, 기타대체우유는 2021년 시장 규모는 약 686억 원으..

★파스퇴르 우유 / 1987, 국내 최초로 저온살균공법 도입

★파스퇴르 우유 / 1987, 국내 최초로 저온살균공법 도입 파스퇴르유업은 1987년에 설립된 유가공업체이며, 고온살균법만 존재했던 대한민국 우유 시장에 최초로 저온살균공법을 도입한 업체이다. 2011년 11월 1일 롯데삼강(현 롯데웰푸드)에 흡수 합병되었다. 회사명은 루이 파스퇴르가 개발한 파스퇴르 살균법을 사용하면서 그 공법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지어졌다. 파스퇴르유업을 설립한 최명재 대표는 1927년 김제 출생으로 1951년 서울대 상대 4년 중퇴 후 무역업을 하다가 낙공업에 뛰어들었다. 1981년 일본에서 사이토 구니키(齊藤邦樹)가 쓴 책을 읽고 자극받아 저온살균법을 연구하고 한국에 도입하게 된다. 창립 이후 신문 광고를 통해 기존의 초고온 살균 우유를 비판하는 등의 공격적 마케팅으로 2년 만..

★바나나맛우유 / 1974, 바나나맛 가공유 시장에서 점유율 80%

★바나나맛우유 / 1974, 빙그레 ‘바나나맛 우유’ 출시나무위키 출시일 : 1974년 6월제조원 : 빙그레 1970년대 초 박정희 정부는 국민 건강 정책의 일환으로 서독에서 젖소 200마리를 받아 한국에서 우유 생산을 시작했고, 학교에서도 우유 급식을 시작하여 우유 생산과 소비를 장려했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한국 요리에는 우유와 유제품이 매우 드물었기 때문에 당시의 한국인들은 심리적으로나 체질적으로나 흰 우유에 대한 거부반응이 컸다. 허연 우유의 모습과 그 맛이 영 익숙하지 않았고 유당불내증 때문에 탈이 자주 났던 것이다. 이에 박정희 정부는 '국민들이 좋아할 만한 우유를 개발하라'라는 명을 내린다. 당시 한국화약그룹의 자회사였던 대일유업은 당시 수입 제한 품목이라 귀했던 과일인 바나나를 넣어 온 국민..

★서울우유 / 1937, 브랜드경쟁력지수(NBCI) 14년 연속1위

★서울우유 / 1937서울우유 설립 : 1937년본조합 : 서울특별시 중랑구 중랑천로 71 (상봉동) 1937.04.13청량리농유조합 조직1937.07.11경성우유동업조합 창립1945.09.02경성우유동업조합을 서울우유동업조합으로 개칭1962.01.23서울우유협동조합 창립총회 개최2020. 09. 01양주신공장 서울우유 일반산업단지 조성 완료2023. 06. 05‘2023년도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에서 우유·발효유 부문 1위에 선정,14년 연속 1위2024. 02. 26서울우유 연매출 2조원 돌파 1937년 경성우유동업조합에서 우유판매'서울우유' 1937년 7월 직접 목장을 운영하던 낙농인 21명은 서울 정동에 현판을 내걸고 출발한 서울우유의 전신 경성우유동업조합을 세웠다. 낙농인들 손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