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 Issue/@H&B Trend

〔헬스케어산업〕미국 디지털 헬스케어시장

Paul Ahn 2019. 10. 25. 08:17

〔헬스케어산업〕미국 디지털 헬스케어시장

http://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4/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66992

 

- 디지털 헬스케어로 미국의 값비싼 의료비용 절감 -

- 끊임없는 혁신제품 개발로 세계 투자자들의 관심 받아 -

 

 

□ 미국 의료산업 및 디지털 헬스케어산업 현황

 

ㅇ 1인당 의료비용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미국

 

- Statista 통계에 의하면 미국의 헬스케어 지출은 2017년 기준 1만633달러이며, 향후 2021년까지 연간 3% 증가해 1만1982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됨.

 

미국 인당 헬스케어 지출동향

 

자료원: Statista

 

- 미국인들의 10가지 주요 사망원인 중 7가지가 만성건강 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사망인구 중 50% 이상이 상위 3개 질병에 해당하는 심장질환, 암, 만성 폐질환에 의해 사망하는 것으로 조사됨.

 

- 2010년 기준 약 6000만 명의 미국인이 복합 만성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집계됨.

 

- 미국에서 발생하는 의료비용의 86%가 만성질환을 얻고 있는 환자들로부터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2020년까지 8100만 명의 미국인이 복합 만성 질환을 얻게 될 것으로 예측됨.

 

 

ㅇ 의료보험 인구 현황

 

- 2016년 통계에 의하면 약 87%의 인구가 의료보험에 가입했으며 나머지 인구는 의료보험 무가입자임.

 

- 근로자의 66%는 사보험에 가입한 것으로 집계됨.

 

- 35세에서 64세까지의 인구 28%가 의료보험에 가입하지 않았으며, 이 연령대의 인구가 의료 보험 가입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남.

 

- 65세 이상의 인구 중에서는 1%만이 의료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것으로 집계됨.

 

 

ㅇ 디지털 헬스케어에 관한 관심 증대

 

- 아직 대다수의 미국 시민은 디지털 헬스케어와 익숙하지 않은 상황이지만, 설문에 의하면 미국인들이 디지털 헬스케어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때 큰 흥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 IBM과 같은 대형 IT 기업에서도 헬스케어 기업들과 협력해 관련 연구를 진행 중임.

 

- 미국은 2013년에서 2017년 1분기까지의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투자금액의 75%를 유치함.

 

 

ㅇ 피트니스와 심부전 부문이 가장 많은 수익 창출

 

- 디지털 헬스케어산업의 피트니스 부문은 2016년 총 11만9300달러의 수익을 창출하며 디지털 헬스케어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 2016년 기준 피트니스 애플리케이션의 매출은 약 4억3300만 달러로 집계됐으며, 피트니스 웨어러블 기기의 매출은 7억5900만 달러에 달한 것으로 집계됨.

 

- 피트니스시장은 앞으로 연간 15.9%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1년까지 약 24억47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디지털 피트니스시장 전망

 

 

자료원: Statista

 

- 두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문은 심부전 부문으로, 2016년 통계 자료에 의하면 심부전 부문에서는 각각 애플리케이션 400만 달러, 텔레메디컬 서비스 3억9900만 달러, 스마트 기기 5억4600만 달러의 매출이 발생함.

 

- 당뇨, 고혈압, 심부전 등의 질병을 다루는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중에서는 심부전 솔루션의 매출이 총 9억4900만 달러로 가장 높음.

 

- 심부전과 관련한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시장은 앞으로 연간 17%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2년까지 약 23억7700만 달러의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심부전 관련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시장 전망

 

 

자료원: Statista

 

 

□ 주요 트렌드

 

ㅇ 텔레헬스케어(Telehealthcare)와 모바일 헬스케어(mHealth)

 

- 텔레헬스케어란, 통신기술과 전자 정보를 활용해 의료전문가와 환자 사이에 원격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의료서비스로 정의됨.

 

- 이는 화상 상담, 시각 정보 저장 및 전달, 스트리밍 미디어, 지상 통신, 무선 통신을 활용한 의료서비스를 모두 포함함.

 

- 텔레헬스케어 서비스는 소비자 입장에서 기존의 의료 서비스에 비해 이용이 편리하고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향후 주요 트렌드로 떠오르게 될 것으로 전망됨.

 

- 또한 스마트 의류,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혁신 기술을 활용한 텔레헬스케어도 더욱 인기를 끌고 있으며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환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 앞으로도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한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호응을 얻을 것으로 기대됨.

 

- 의료의 질과 치료결과에 따라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MACRA(Medicare Access and CHIP Reauthorization Act) 법안 도입 등에 의해 텔레헬스케어의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 텔레헬스케어 중에서도 mHealth로 불리는 모바일 헬스케어는 태블릿,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공급받는 의료서비스를 총칭함.

 

- 현재 미국에서는 센서 등으로 사용자의 물리적인 활동량을 측정하고 건강지표를 확인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각광을 받으며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을 이끌고 있음.

 

- 특히 모바일 헬스케어는 혈압 측정, 혈당 측정, 맥박산소측정, 수면성 무호흡 모니터링, 신경계 모니터링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기대됨.

 

ㅇ 피트니스와 생활보조(AAL: Ambient Assisted Living) 용도로 가장 많이 활용

 

- 디지털 헬스케어는 일상생활 속에서의 활용이 쉽다는 장점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피트니스와 생활보조 분야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음.

 

- 스마트폰에 피트니스 애플리케이션, 영양 애플리케이션 등을 다운받아 매일 운동량과 영양섭취량을 측정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스마트폰 대신 언제 어디서든 몸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소비자들 또한 증가하고 있음.

 

- 몇 기업은 직원들에게 피트니스 측정기를 지급해 직원들의 스트레스 레벨을 측정하고 건강한 생활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독려함. 이는 업무 수행의 생산성을 증진시키고 일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기 위함임.

 

- 또한 생활보조(AAL)를 위한 스마트홈 디바이스는 고령자나 장애인이 집안일들을 혼자 해낼 수 있도록 도움.

 

- Statista의 통계 자료에 의하면 생활보조 디바이스는 2016년 기준 3억6600만 달러의 매출을 창출했으며, 앞으로 빠른 속도로 성장해 2021년 23억 달러의 규모로 성장하게 될 것으로 전망됨.

 

- 생활보조 디바이스는 아이들이나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처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한 사람들에게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음.

 

- 생활보조 디바이스 분야에서 가장 잘 알려진 제품은 스마트 체중계로, 모든 연령대가 사용 가능하며, 건강상태와 관련된 모든 지표들을 자세하게 계산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함.

 

 

모바일 기기와 연동이 가능한 스마트 체중계

 

자료원: Polar 공식 웹사이트

 

 

ㅇ 의약품의 온라인 판매 활성화

 

- 최근 많은 약국들이 의약품을 온라인으로 판매하기 시작했으며 온라인 약국도 늘고 있는 추세임.

 

- 특히 주기적으로 약이 필요한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고령의 환자들이 온라인 구매를 통해 더욱 편리하게 약을 구입할 수 있게 됨.

 

- 또한 온라인 소매업자들은 상대적으로 원가대비 많은 이익을 남길 수 있어 할인가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음.

 

- 각 나라마다 의약품 규제가 다르기 때문에 해외에서 약을 직접 구매(직구)하는 것이 더 저렴하기도 함.

 

- 그러나 소비자들은 온라인을 통해 해외나 현지에서 약을 구입할 경우에 그들이 기대하는 질적인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약을 구입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하고 있음.

 

- 앞으로 의약품 온라인 판매를 위해 전문 약국 및 약사들과의 협업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잘 알려진 이커머스 기업 Amazon은 이미 약국 체인들과 협력해 온라인 의약품 리테일시장에 진출한 바 있음.

 

 

□ 혁신상품 및 투자동향

 

ㅇ Statista에서 선정한 혁신상품

 

 

 

ㅇ 투자동향

 

- 미국은 2013년에서 2017년 1분기까지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투자액의 75%를 유치하며 해당 분야 관련 세계에서 가장 많은 투자액을 끌어들임.

 

- 2016년 기준 유전체학과 시퀀싱 분야가 4억1000만 달러 가장 많은 투자액을 유치했으며, 그 뒤를 이어 분석학과 빅데이터 분야가 3억4100만 달러, 바이오센서 및 웨어러블 분야가 3억1200만 달러를 유치함.

 

2016년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별 투자액

 

 

 

자료원: Statista

 

- Khosla Ventures는 2011년에서 2016년 동안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에 가장 활발하게 투자한 미국 투자자로 밝혀짐.

 

- 가장 투자를 많이 받은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 기업들은 피트니스 측정 시스템과 웨어러블 기술을 판매하는 Jawbone이며, 2016년 총 9억4800만 달러를 유치함.

 

- 그 뒤를 이어 빅데이터와 종양학을 접목한 Flatiron, 유전체학 분야의 Human Longevity Inc. 등이 가장 많은 투자액을 유치한 스타트업 기업으로 꼽힘.

 

 

□ 시사점

 

ㅇ FDA 의료기기 인증 필수

 

- 제품이 의료용 진단기 또는 의료기기 기능을 가지고 있다면 FDA에 의해 의료기기로 분류되며 이러할 경우 미 FDA의 승인 및 인증 필요. 미국에서 의료기기를 제조하거나 판매하는 모든 기업은 FDA에 기업정보를 등록해야 함.

 

- 외국 소재의 기업은 미국 내 거주하고 있는 에이전트를 지정해 FDA 등록이 가능하며, 현지 에이전트는 FDA에서 요구하는 사항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며 해외에 소재한 기업의 대리인 역할을 수행해야 함.

 

- 현지 에이전트는 반드시 의료기기분야의 비즈니스에 종사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의료기기 제품과 관련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지만 해외기업의 대리인으로서 ‘FDA와 해외제조사간의 업무 지원,’ ‘제품에 대한 질문 답변,’ ‘해외기업의 FDA 실사 지원’ 등의 업무를 담당함.

 

- 또한 모든 의료기기 제품 정보는 FDA 리스팅에 필수적으로 등록돼야 함.

 

- 회계연도 2018년(2017년 10월 1일~2018년 9월 30일) 기준 FDA 등록비용은 4624달러이며, 매년 의무적으로 갱신해야 함.

 

- 추가로, 미국에서 인체용 의료기기를 판매하고자 할 때는 그 종류와 등급에 따라 반드시 안전성과 제품의 효력을 입증해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Premarket Notification, 즉 510(K)를 통과해야함.

 

- 위험도가 높은 Class III 등급의 제품, 안정성과 효과에 대한 허가가 나지 않은 NSE 제품, 시장에 처음 출시돼 안정성이 검증되지 않은 제품의 경우 PMA(Premarket Approval)라는 사전 승인 과정을 거쳐야 함.

 

- FDA에서 의료기기로 분류하는 제품은 FDA의 의료기기 라벨링 규제를 준수해야 하며, 아래 링크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음.

 

ㅇ 피트니스 관련 웨어러블 제품 계속해서 강한 성장세 보일 것으로 예상

 

- 현재 미국에서는 스마트워치 등 피트니스 관련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이 호응을 얻고 있는 바, 앞으로도 해당 분야가 계속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 피트니스 웨어러블 기기 제조사 Fitbit의 제임스 박(James Park) 대표는 미국의 비즈니스 매거진 Fast Company와의 인터뷰를 통해 앞으로 웨어러블 기기가 사용자의 담당 주치의와 연결돼 복약이행을 위해서도 사용될 것이라고 예측했음.

 

- 제임스 박 대표는 또한 앞으로 Fitbit의 제품이 심장박동수 등 신체가 보내는 신호를 측정해 정신건강 검진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함.

 

- 앞으로 스마트 의류, 팔찌, 발찌, 시계 등을 활용한 헬스케어 서비스들이 더욱 다분화돼 출시될 것으로 전망됨.

 

- 특히 향후에는 전문의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았던 디지털 헬스케어산업의 한계점 극복을 위해 전문가들과의 협업이 더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됨.

 

자료원: Statista, FDA, Fast Company, 그 외 KOTRA 로스앤젤레스 무역관 자료 종합

2018-06-16

강채린 미국 로스앤젤레스무역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