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Service/@China Tour

▣ 홍콩 특별행정구(香港特别行政区)

Paul Ahn 2010. 7. 9. 17:24

▣ 홍콩 특별행정구(香港特行政) (Gǎng/)

GovHK: Residents (Homepage) (www.gov.hk)       

 

설립 : 영국으로부터 이양 1997 7 1

면적 : 1,104 (169 )

공용어 : 중국어(사실상 광둥어), 영어

인구 (2014) : 7,234,800 (100)  6,544/km2 (97)

GDP (2014) : 전체 $4,048(35) 일인당 $56,428.069 (7)

 

홍콩은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이므로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를 사용한다.

티피링크, 알리익스프레스 등 수많은 글로벌 IT 대기업 본사들이 위치해있다. 홍콩은 마카오, 광저우, 선전, 주하이, 그리고 광둥성의 다른 주요 도시들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주강 삼각주 대도시권을 형성하고 있다. 홍콩은 1,104의 면적에 740만 이상의 다양한 국적 출신의 홍콩인들로 구성, 세계에서 4번째로 높은 인구밀도 지역이다.

 

종교

불교 21.3%, 도교 14.2%, 개신교 6.8%, 가톨릭 5%, 이슬람 3.1%, 힌두교 0.5%시크교 0.1% 무종교 및 그 외 49%

 

행정구역

홍콩은 18개의 행정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홍콩 구의회는 각 행정구역을 대표하며 홍콩 행정회에 공공시설의 공급, 지역사회 프로그램의 유지관리, 문화 홍보 그리고 환경 정책 등의 사안들을 권고할 수 있다. 구의회는 총 479석으로 구성, 이 중 452석이 직접 선출된다. 이외에 외곽의 읍면 지역을 대표하는 향사위원회 (事委員會) 위원장들이 나머지 27석을 채우고 있다.

 

홍콩은 이전에 영국령으로, 1842년 제1차 아편 전쟁 이후 청나라가 당시 대영 제국에 양도했다. 당시 낮은 인구밀도의 농어촌 지역이었던 홍콩은 현재 세계에서 손꼽히는 중요한 금융 센터와 무역항이 밀집한 지역이 되었다. 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제국 점령 기간을 제외하면, 홍콩은 1997년 홍콩 반환 전까지 영국의 통치를 받았다. 홍콩은 특별행정구로 중국 대륙과는 분리된 정치체계와 경제구조를 가진다.

 

홍콩은 세계에서 7번째로 큰 교역규모의 지역이며, 홍콩의 법정 화폐인 홍콩 달러는 세계에서 13번째로 많이 거래되는 통화이다. 홍콩의 제3차 산업 위주의 경제는 경쟁적 단순 과세로 특정지어지며, 보통법 사법 제도로 뒷받침된다. 홍콩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일인당 GDP를 기록하나, 심각한 소득 불평등을 겪는 지역이기도 하다.

 

홍콩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들로 두드러지며, 홍콩에서 가장 밀집된 도시 지역의 중심에는 빅토리아 항이 자리잡고 있다. 홍콩은 굉장히 높은 수준의 인간 개발 지수를 기록하며, 세계에서 7번째로 평균 수명이 높은 지역이다. 홍콩 인구의 90% 이상이 잘 발달된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어원

홍콩의 명칭은 1780년 처음 "He-Ong-Kong"(--콩으로 발음)이라 표기되었으며, 당시에는 애버딘섬과 홍콩 섬의 남부 해안 사이의 작은 만으로 언급되었다. 애버딘은 영국 선원들과 현지 어부들이 처음으로 접촉한 곳이다. 홍콩의 로마자 명칭의 기원은 알려진 바가 없으나, 일반적으로 광둥어 발음의 초기 음성 표기인 헝공 (hēung góng)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콩은 현지 언어로 "향기로운 항구" 혹은 "향의 항구"로 해석된다.

 

역사

홍콩은 약 6,000년 전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초기 홍콩 정착민들은 중국 내륙 지방에서 이주하여 쌀 재배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왔다.

 

기원전 214, 당시 진나라는 토착 위에족 세력을 정벌한 후 중국 역사상 최초로 홍콩 지역을 중국에 편입시켰다.[26] 진나라의 멸망 이후 홍콩 지역은 남월 왕국에 편입되었으나, 한나라의 남월 정벌 이후 중국에 재탈환되었다.

 

몽골 제국의 중국 대륙 점령기 동안, 남송 왕정은 1279년 애산 전투의 패배를 앞두고, 잠시 현재의 구룡성에 잠시 주둔했었다. 원나라가 멸망할 무렵, 7개의 대가문이 홍콩 지역에 정착해 대부분의 땅을 소유했다. 명나라 시대에 걸쳐 중국 인근 지방의 주민들이 구룡으로 이주했다.

 

홍콩에 온 최초의 유럽인은 당시 포르투갈 왕국 출신의 탐험가 조르즈 알바르스로, 1513년에 방문하였다. 당시 포르투갈 상인들은 홍콩 해안에 "타마오"라는 무역항을 설립하고 중국 남부 지역에서 정기적인 교역을 진행했다. 이 상인들은 1520년대의 군사 충돌 후 추방되었지만, 1549년에 포르투갈-중국간 교역이 재개되었다. 포르투갈은 이후 1557년에 마카오에 대한 영구 임대권을 얻었다.

 

청나라의 정복 이후에는 해금령 (海禁)에 의해 해상 무역이 금지되었다. 이후 1684년 강희제는 금지령을 해제하고 외국인의 청나라 입항을 허용했다.  1757년 당시 청나라 관료들은 광동 체제를 설립하여 비()러시아 선박 입항을 칸톤 항으로 제한하고 무역을 더욱 엄격하게 규제하였다.  

 

당시 차, 비단, 도자기와 같은 중국 상품에 대한 유럽의 수요는 높았지만, 유럽 제조품에 대한 중국의 관심은 미미했다. 이러한 무역 불균형에 대처하기 위해 영국은 다량의 인도산 아편을 중국에 팔았다. 마약 문제에 직면한 당시 청나라 관리들은 아편 무역을 중단시키기 위해 훨씬 더 공격적인 행동을 취했다.

 

당시 도광제는 아편을 합법화하고 과세하자는 제안을 거절했고, 1839년에는 판무관 임칙서에게 아편 무역을 근절하라 지시하였다. 임칙서는 아편 창고를 파괴하고 아편과 관련된 모든 해외 무역을 중단시켰고, 대영제국군은 이에 대응하여 제1차 아편 전쟁을 일으켰다.

 

청은 전쟁 초기에 패배를 인정했고 촨비 협정에서 홍콩 섬을 양도했다. 그러나, 협정을 맺은 양국은 내용에 만족하지 않았으며, 결과적으로 협정을 비준하지 않았다. 1년이 넘는 적대 분위기 이후, 홍콩 섬은 1842 8 29일 난징 조약에 따라 당시 대영 제국에 정식으로 영구양도되었다.

 

1842년 초에 행정 인프라가 매우 신속하게 구축되었으나, 빈번한 해적질, 풍토병, 그리고 홍콩에 대한 적대적인 청의 정책은 홍콩 정부가 상인들을 끌어들이는 것을 막았다. 태평천국의 난 이후, 많은 부유한 중국인들이 중국 대륙의 격동하는 환경에서 탈출해 홍콩에 정착하면서, 결과적으로 홍콩 섬의 환경을 개선시켰다.

 

아편 무역을 둘러싼 영국과 청 사이의 추가적인 충돌은 제2차 아편 전쟁으로 확대되었다. 전쟁에서 패배한 청은 베이징 조약에서 가우룽반도와 스톤커터스섬을 추가로 대영제국에 양도하였다. 전쟁이 끝날 무렵, 홍콩은 일시적인 식민지 초소에서 중요한 화물 집산지로 변모했다. 1850년대의 급속한 경제적 개선이 이루어짐에 따라 외국인 투자가 유치되었고, 이에 잠재적 이해 관계자들이 식민지의 미래에 대해 더욱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홍콩은 1898년에 대영제국이 신계 지역에 대한 99년의 임대권을 얻으며 더 확장되었다.

 

2차 세계 대전이 종결된 후 1945,

1941 12 8일 일본 제국은 홍콩을 점령했다. 홍콩이 일본 제국에 지배당하는 동안 시민들은 강제 배급으로 인해 식량 부족에 시달렸고 전쟁 국채 발행을 위한 통화 환율 정책의 강제로 엄청난 인플레이션을 겪었다. 전쟁 전 홍콩의 인구는 160만이었으나, 영국이 지배권을 회복한 1945 8월에는 거의 60만으로 줄었다. 홍콩은 1945 8 30일 영국이 재점령하기 직전까지 거의 4년 동안 일본에 의해 통치되었다.

 

신계 지역의 임대권 기한이 가까워지면서, 홍콩은 불확실한 미래를 맞이했고, 당시 맥레오스 홍콩 총독은 1979년 당시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덩샤오핑과 함께 홍콩의 지위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이후 영국은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외교 협상에 돌입하였고, 마침내 1984년에 홍콩 반환 협정을 체결했다. 영국은 1997년에 홍콩의 전체를 중화인민공화국에 이양하기로 합의했고 중국 공산당은 홍콩의 경제적, 정치적 시스템을 반환 후 50년 동안 보장할 것을 약속했다. 그러나 홍콩 이양에 임박했던 당시 홍콩 국민들은 민권, 법치주의, 그리고 삶의 질 등이 침해될 것을 우려, 당시 홍콩 내의 대규모 이민을 일으켰다.

 

1987년부터 1996년까지 총 50만명 이상의 사람들이 이주 기간의 절정기 동안 홍콩을 떠났다. 홍콩은 1997 7 1일 자정을 기점으로 이양되었고, 156년의 영국 통치가 종료되었다. 홍콩 특별 행정구 출범 직후 둥젠화가 홍콩의 첫 번째 홍콩 특별 행정구 행정 장관으로 취임하였다.

 

정치

홍콩은 중국 공산당으로부터 행정, 입법, 사법 권한이 독립된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이다. 홍콩 특별행정구는 홍콩(영국)에서 계승된 행정회 위주의 집행 방식으로 운영된다.[73][74] 홍콩 반환 협정에 따라, 홍콩은 자본주의 경제를 보장받고 홍콩 이양 이후 50년간의 지방 자치를 보장받으나, 이러한 조건들과 "일국양제"의 개념 아래에서, 홍콩 기본법은 지방 헌법이다.

 

경제

홍콩의 경제는 자본주의에 기반한 서비스 산업 위주의 혼합경제 형태로, 낮은 세율, 최소화된 정부의 시장 개입, 잘 확립된 국제 금융 시장 등의 특징들로 대표된다.

 

홍콩의 경제는 세계에서 35번째로 큰 규모이며, 국내총생산은 약 3,640억 달러를 기록한다.

 

홍콩은 2017년 기준 세계에서 수출에서 10번째, 수입 모두에서 9번째로 큰 무역규모를 기록하는 지역으로, 홍콩의 국내 총생산보다 더 많은 무역거래가 발생하고 있다.

 

홍콩은 경작 가능한 땅이 거의 없고 천연자원이 매우 적어, 대부분의 식량 자원과 원자재를 수입해온다. 홍콩의 전체 식량 공급량의 90% 이상이 수입해온 것이며, 이는 홍콩에서 구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육류와 쌀을 포함한다.[134] 농업 활동은 홍콩 GDP 0.1% 수준으로, 고급 식재료와 화훼 재배가 대부분이다.

 

관광산업은 홍콩 경제의 주요 산업이며, 전체 GDP 5%를 차지한다. 지난해 2,660만 명의 방문객이 홍콩에 329억 달러의 이익을 발생시켰으며, 홍콩이 국제 관광객들에게 14번째로 인기 있는 여행지가 되는데 기여하였다. 홍콩은 또한 관광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도시로, 가장 가까운 경쟁지인 마카오보다 70% 이상의 방문객들이 방문하고 있다. 홍콩은 외국인에게 생활비가 매우 비싼 도시 중 하나로 꾸준히 평가되고 있다.

 

기후

홍콩은 중국 남부의 온대 하우 기후 (쾨펜 Cwa) 특성을 지니고 있다. 홍콩의 여름은 따뜻한 남서풍과 가끔씩 오는 소나기와 뇌우 등의 영향으로 대체로 덥고 습하다. 태풍은 여름에 가장 자주 발생하며 때때로 홍수와 산사태를 일으킨다. 겨울은 온화하며 초반에는 화창하나 대체로 2월부터 흐려지며, 가끔 발생되는 한랭전선은 북쪽에서 강하고 차가운 바람을 가져온다.

 

건축

홍콩 쿼리 베이와 타이쿠 역 사이에 위치한 익청빌딩, 홍콩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압축적 건축의 형태를 보여준다.

 

홍콩은 150미터 (490ft) 이상의 건축물을 371개 보유하고 있으며,[175] 세계에서 마천루가 가장 많은 도시들 중 하나이자, 세계에서 3번째로 고층건물이 많은 도시이다.[176] 홍콩은 도시 확장 공간의 부족으로 제한된 부지 안에서 고밀도의 공동주택과 상업단지가 한데 섞인 형태로 발전하였다. 단독주택은 극히 드물며 주로 홍콩섬 및 카오룬 반도 이외의 외곽 지역 (신계, 도서지역 등)에 분포한다.

 

국제상업센터와 국제금융센터는 홍콩뿐만 아니라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매우 높은 건축물 중 하나이다.[179] 이외에 홍콩섬의 스카이라인을 대표하는 건축물들로는 HSBC 빌딩, 풍속계가 설치된 삼각형태의 센트럴 플라자, 원형의 호프웰 센터, 그리고 끝이 뾰족한 중국은행 타워 등이 있다.

 

축제

홍콩 국제 드래곤보트 페스티벌(단오절): 6월 하순~7 (6 25, 2020년 기준)에 열리며 홍콩의 여름 풍물시인 보트레이스, 홍콩 각지에서 벌어지며 세계 수십 개국에서 강호팀이 참가한다.

 

청차우 만두절: 4월 하순~5월 상순에 열리며 청차우 섬에서 개최하는 축제이다. 이 시기에 이 세상으로 돌아오는 선조를 진혼한다. 8일간에 걸쳐 드래곤 댄스와 중국 오페라가 열리는 등 화려한 퍼레이드가 펼쳐진다.

 

문화

홍콩은 때때로 동서양이 만나는 곳으로 묘사된다. 이는 홍콩의 경제와 교육, 거리 문화에 기반을 두고 있다. 홍콩의 어느 거리에는 불교의 장신구, 중국 한방재, 인조 상어 지느러미를 파는 상점들이 줄지어 있고, 다른 거리에는 서양 형식의 술집, 성당, 맥도날드, 지난 할리우드 영화를 상영하고 있는 영화관을 찾아볼 수 있다.

 

영국의 식민지배는 1997년에 끝났지만 서양 문화는 홍콩 사회 깊숙이 스며들어 있으며, 또한 동양의 관례나 풍습, 철학이 남아 있다. 또한, 세계의 다채로운 요리를 맛볼 수 있는 것도 장점. 그 중 특히 해산물 요리가 가장 인기있으며, 그 밖에 여러 나라의 식당들이 찾아볼 수 있다.

 

홍콩 영화는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많은 배우들이 할리우드로 진출하여 스타가 되기도 하였다. 이소룡, 주윤발, 성룡 등이 세계적인 주목을 받게 되면서 많은 인기를 얻게 되었고, 많은 할리우드 영화들이 홍콩 영화의 영향을 받았다. 홍콩의 영화 산업은 전통적으로 쇼 브라더스 사와 골든 하베스트 사가 양대 산맥으로서 이끌어 왔다. 홍콩은 또한 광동 음악의 공연을 하는 술집들이 즐비하고, 이곳은 많은 스타들의 배출장이도 하다. 가라오케는 홍콩의 빼놓을 수 없는 밤문화 형태 중 하나이다.

 

홍콩 디즈니랜드(영어: Hong Kong Disneyland, 중국어 정체자: 香港迪士尼樂園) 등 놀이시설과 쇼핑, 음식 등이 유명하고 아시아의 교통의 요지인 점 때문에 많은 관광객들이 전 세계에서 찾아온다. 한해 약 2300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하였다. 최근에는 거의 절반이 중국 대륙 지역에서 온 관광객이다. 홍콩해양공원(영어: Ocean Park Hong Kong, 중국어 정체자: 香港海洋公園)[194]은 홍콩 섬 남구에 위치한 해양 테마 파크이다.

 

홍콩의 트램 시스템.

홍콩의 교통은 매우 발전되어 있으며 복잡하고 정교한 조직을 가지고 있다. 옥토퍼스 카드 (Octopus Card, 八達通)은 선불 충전식 카드로 지하철, 스타페리 등 대부분의 교통 수단에서 사용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