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 Issue/@Gen Trend

〔1인가구〕서울 1인가구 40년만에 16배↑…62% “계속 혼자 살래요”

Paul Ahn 2020. 11. 26. 12:28

1인가구〕서울 1인가구 40년만에 16↑…62% “계속 혼자 살래요

http://mediahub.seoul.go.kr/archives/

 

2019년 서울의 1인 가구수가 전체의 33.9%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혼밥, 혼술, 혼영요즘 혼자만의 생활을 즐기는 나홀로족을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데요. 실제로 서울의 1인 가구수는 점점 늘어나 전체 가구수의 33.9%에 이른다고 합니다.

 

2019년 서울의 1인 가구수는 130만 가구로 40년 전에 비해 16배 증가했습니다. 서울시는 꾸준히 증가하는 1인 가구에 대한 정책 수요를 파악하고자 1인 가구의 특징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1인 가구는 62.8%가 계속해서 1인 가구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0대 이후에는 행복도와 사회관계성이 떨어진다고 보았습니다.

 

◇서울 인구 감소하지만, 1인 가구 비율은 계속 증가추세

서울인구는 199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1인 가구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 장래가구추계에 따르면 2038년까지 1인 가구가 증가하며, 전체가구 대비 1인 가구 비중은 2047년까지 증가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고령화에 따른 독거 노인가구의 증가와 만혼·비혼 등 중장년층 1인 가구의 증가추세가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도시화의 영향으로 청년인구(20~39)가 유입되던 1994년 이전은 1인 가구의 70% 20·30대였으나, 고령화에 따라 2015년 이후 1인 가구는 40대 이상이 50%를 넘어서 계속 증가하고 있다.

 

*연도별 서울 1인 가구 연령 분포(인구주택총조사, 장래가구특별추계(시도편), 통계청) (단위 : %)

 

◇1995년 이전 1인 가구 70%이상이 단독주택 거주, 2019 40%로 감소

2019 1인 가구의 거처는 단독주택(40.4%), 아파트(22.1%), 다세대 주택(17.2%)순으로 거쳐 유형이 다양해졌으며 오피스텔 등 주택이외 거처(오피스텔, 숙박업소객실, 고시원 등) 비율도 15.4%로 높게 나타났다.

 

주거형태의 다양화는 1인 가구의 유형도 다양하고, 그만큼 복지나 정책의 수요도 다양할 것이라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연도별 1인 가구의 거처 (단위 : %)

◇전통적인다인 가구주 ‘1인 가구비교해보니

연령대별 비교에서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주의 경제활동 비율은 비슷하지만 상용직 비율은 40대 이후부터 1인 가구가 다인 가구주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경제활동율과 상용직 비율(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단위

또한 다인 가구주보다 1인 가구에서 40대 이후부터 덜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재정상태 만족도, 사회생활 행복도, 자신의 건강상태 만족도는 40대부터, 직업 만족도는 50대부터 1인가구의 만족도 폭이 크게 감소하였다.

 

*연령에 따른 행복도 비교 (2019 서울서베이, 서울특별시) (10점 만점, 단위 : )

 

1인 가구의 사회관계성은 다인 가구주보다 30대 이후 큰 폭으로 감소했다. “아플 때 보살펴 줄 수 있는 사람은 생애 전반에, “금전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낙심하거나 우울할 때 이야기 할 사람 20대 후반부터 더 낮게 나타나며, 타인과의 관계가 적은문화활동 경험 30대 후반, “규칙적 운동 50대 부터 낮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사회관계성 비교 (2019 서울서베이, 서울특별시) (단위 : )

 

1인 가구 내에서도 개인 행복도와 사회 관계성은 연령별 차이를 보이고 있다. 20대와 30대에서 높으며 50대와 60대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1인 가구의 62.8%, 계속 1인 가구 희망

서울시 1인 가구 500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의 40.9%는 서울시가 1인가구가 살아가기에 적합한 사회라고 생각하며, 62.8%가 계속해서 1인 가구로 남기를 원하고 있다.

 

1인 가구로 가장 만족스러운 점은 간섭받지 않는 독립된 생활(73.1%), 나 자신을 위한 투자/지출 가능(31.1%), 효율적인 시간 활용(30.3%) 순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로 살아가기 적합한 사회 상태에 따른 1인 가구 잔류 희망 비율 (단위 : %)

 

하지만, 1인 가구의 30.1% 1인 가구가 살아가기 부적합한 사회라고 보며, 1인 가구의 35.9% “1인가구는 여러 문제가 있어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부족한 사람(외톨이, 비혼주의자, 경제적 무능력자, 개인주의자/이기주의자, 손쉬운 대상 등)”이라는 사회적 편견이 있다고 생각했다.

 

◇‘서울시 1인 가구 종합 지원계획’ 1인 가구의 53.4%가 알고 있다

한편, 서울시는 1인 가구 증가에 따라 2019년 최초로 ‘1인 가구 종합 지원계획을 발표하였는데, 서울시 1인 가구의 절반이(53.4%) 계획을 인지하고 있었다.

 

‘서울시 1인 가구 종합지원 계획 1인 가구의사회적 관계형성, ②사회적 고립을 예방, ③사회적 존중의식 확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시 1인 가구 종합지원 계획의 인지율은 소득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40,50대의 인지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사업별 인지도는 여성 1인 가구 안전지원(56.0%), 1인 가구 커뮤니티 공간 확충 및 활동지원(48.9%), 취약 1인 가구를 위한 지역사회 지지체계 구축(45.5%) 순이었으며, 사업 인지자 중에서 참여도는 여성 1인 가구 안전지원(18.6%), 1인 가구 지원 센터 구축(17.3%), 1인 가구 커뮤니티 활동지원(16.7%) 순으로 나타났다. 사업시행 초기라 아직은 인지도에 비해 참여도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

 

*1인 가구 지원 정책 우선 순위 (단위 : %)

 

*성별, 연령별 1인 가구 정책 수요의 차이 (단위 : %)

 

또한, 서울시 1인 가구를 위해 우선 추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항으로는 주거안정지원(55.0%), 기본소득지원(31.1%), 연말정산 소득공제 범위 확대(19.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과 20, 60대는방범/치안 등 안전 확보, 40대 이상은고독사 예방 등 사회적 관계망 지원’, ‘건강보험료 지원에 관심을 보이는 등 성별과 연령별로 1인 가구 정책수요의 특성을 보였다.

 

내 손안에 서울

2020.11.25 15:40

문의 : 빅데이터담당관 02-2133-4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