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Service/@Euro Tour

⊙핀란드(Suomen tasavalta, Republiken Finland)

Paul Ahn 2010. 1. 25. 09:18

⊙핀란드(Suomen tasavalta, Republiken Finland)

 

핀란드 공화국(Suomen tasavalta 수오멘 타사발타), 약칭 핀란드(Suomi 수오미)

수도 : 헬싱키

면적 : 338,455 km2 (65 )

인구 (2020) : 5,536,146 (116), 16/ (213)

GDP (2020) : 전체 $2,570 (53), 일인당 $48,461 (14)

국교 : 핀란드 복음루터교회

 

국민

민족 비율은 핀란드인이 93%, 스웨덴인이 6%, 사미인, 러시아인과 기타 민족은 1%를 차지한다.

 

언어

핀란드어는 93.4%, 스웨덴어가 5.9% 2개 모두 공용어이자 1919년에 제정되었다.

 

북부의 사미인은 사미어를 쓰고, 1970년대에 지위가 올라갔다. 1999년의 헌법개정에 의해서 준공용어로 명기되었다. 동시에 집시, 그 외의 소수민족에 대한 배려도 더해져 있다.

 

행정 구역

핀란드는 원래 6개 주로 구성되었으나 2010년 첫 개편으로 20개 주 지역이 생겼고, 2011 1 1일 동우시마 지역이 우시마 지역에 통합되면서 현재는 19개의 주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핀란드는 마지막 빙하기가 끝난 이후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으며, 기원전 9000년 경으로 추정한다. 기원전 5200년에 빗살무늬토기 문화가 핀란드에 들어왔고, 전부문화가 농업과 함께 기원전 3000년부터 기원전 2500년까지 이어졌다.

 

기원전 수천년 무렵에 중앙아시아 지역으로부터 우랄어족 언어를 쓰는 핀족이 서진을 계속하여 기원후 1세기에 지금의 핀란드 남부에 정착한 것으로 추정된다.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 때 핀란드는 발트 지역 및 페노스칸디아인들과 지속적으로 교류했다. 이 시기에 핀란드에는 3개의 주요 문화권이 형성되었는데, 그 문화권은 남서핀란드 문화, 해메 문화, 카렐리야 문화이다. 13세기부터 핀란드는 북방 십자군과 스웨덴의 식민지로 스웨덴에 병합되었다.

 

12세기 중엽, 스웨덴 왕 에리크 9세의 십자군이 핀란드에 쳐들어 옴으로써 스웨덴의 핀란드 지배 윤곽이 잡혔다. 이후 스웨덴의 역대 왕들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핀란드에서 스웨덴 영토를 넓혀왔으며, 1397년 포메라니아의 에리크가 스웨덴-노르웨이-덴마크의 연합왕으로 즉위할 때 핀란드도 이에 편입되었다.

 

1523년 구스타브 1세 바사는 스웨덴을 안정된 독립 왕국으로 만들면서 이에 포함시켰다. 이후 스웨덴과 함께 핀란드에서도 루터교로 개종하는 종교개혁이 일어났는데, 여기에는 독일 비텐베르크에서 마르틴 루터에게 수학한 미카엘 아그리콜라의 공이 컸다.

 

17세기 초에 스웨덴 왕 구스타브 2세 아돌프는 핀란드를 동방 전초 기지로 활용하였다. 크리스티나 여왕은 핀란드에서 문예를 크게 진흥시켜 투르쿠 대학이 이 무렵에 세워졌다.

 

스웨덴 왕 칼 12세의 무리한 군사정책으로 시작된 대북방 전쟁(1700~1721)에서 핀란드의 국토는 러시아의 대대적 침공으로 일대 타격을 입었다. 구스타브 3세가 러시아와 전쟁(1788~1790)을 하는 틈을 타 핀란드 장교들이 무장봉기하기도 했다.

 

나폴레옹 전쟁 중에 핀란드 영토를 둘러싼 열강의 외교전이 펼쳐진 끝에 1809년 러시아가 핀란드를 점령하였고, 대공국이라는 이름으로 통치하였다. 이에 맞서 핀란드인의 국권 회복 운동이 점차 불붙었고 엘리아스 뢴로트는 1835년부터 1849년 사이에 서사시 칼레발라를 썼다.

 

1809년 핀란드는 핀란드 대공국이라는 이름으로 러시아 제국의 자치령이 되었다. 1906년 핀란드는 유럽에서는 최초로 모든 성인에게 선거권을 부여했으며, 세계에서 최초로 모든 성인들에게 공직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핀란드는 핀란드 독립선언을 발표하고 독립을 선포했다. 1918년 핀란드는 볼셰비키가 이끄는 핀란드 사회주의 노동자 공화국과 독일 제국의 지지를 받는 백핀란드로 분열되어 내전을 겪었다. 핀란드 왕국이 일시적으로 수립되었지만, 1919년 핀란드 헌법이 도입됨에 따라 핀란드는 공화국이 되었다. 2차 세계 대전 당시 핀란드는 소련과 겨울 전쟁 및 계속 전쟁을 치렀고, 이 과정에서 카렐리야, 살라, 쿠사모의 일부와 페차모 주를 소련에 할양했다.

 

1950년대까지 핀란드는 농업 국가였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이 전쟁 배상을 요구함에 따라 핀란드는 산업화를 시작했다. 핀란드는 노르딕 모델에 기초한 복지 국가를 만드는 한편, 고도의 경제 성장을 이룩하여 고소득 국가가 되었다. 핀란드는 국가경쟁력을 평가하는 교육, 경제, 삶의 질, 인간 개발, 시민의 자유 등의 순위에서 상위권에 있다.

 

20세기 초반

1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17년에 핀란드는 독일 제국의 공국인 헤센-카셀(Hessen-Kassel)가를 핀란드의 왕가로 받아들여 독일제국에서 책봉을 받는 형식상의 제후국이 되었다. 1918 1 27일 소련의 지원을 받은 적핀란드(공산군)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독일 제국의 지원을 받은 핀란드 백군(정부군) 5 15일 이를 진압하였다. 한편 그 해 11 11일 독일 제국이 항복함으로써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핀란드는 공화국으로 독립하였다.

 

2차 세계 대전 직전부터 소련의 위협이 다시 커져 국가의 생존을 걸고 소련과 2차례에 걸쳐 전쟁(겨울 전쟁·계속 전쟁)을 벌였다. 명장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장군의 지휘 아래 전 국력을 총동원하여 소련에 맞서 싸웠고 상당한 전과를 거두었으나, 국력의 열세 때문에 끝내 패배로 끝났다. 이전부터 핀란드는 소련에 대한 감정이 좋지 못했는데, 이 전쟁으로 더욱 악화되었다.

 

냉전 시대

전쟁이 끝난 뒤에 국토는 다시 재건되었고 핀란드 정부는 소련과 서유럽 사이에서 중립을 표방하면서 경제발전에 힘을 쏟았다. 소련의 의향에 따라 마셜 플랜을 받지 못했고 북대서양 조약기구와 유럽공동체(EC)에 가입하지 않았다. 자유 민주 정권을 유지하면서, 자본주의 경제권에 속하는 경제정책을 쓰고, 외교, 국방 측면에서 공산권과 가까웠지만, 바르샤바 조약기구에 가맹하지 않았다.

 

현대

소련 붕괴 후 서방 진영에 접근하여, 1994년에는 EU 가입에 합의하고, 2000년에는 유로를 도입했다.

 

기후

핀란드 국토의 4분의 1 정도는 북극권에 있어 여름에는 백야 현상이 관찰된다. 핀란드 최북단에서는 여름에는 73일 동안 해가 지지 않고, 겨울에는 51일 동안 해가 뜨지 않는다.

 

핀란드의 기후는 수도인 헬싱키 등 남부 해안가 일부 지역이나 주변 지역에만 습윤 대륙성 기후인 Dfb이고, 대다수의 지역 중 나머지 상당수의 지역은 아극 기후인 Dfc와 툰드라 기후(ET)가 나타난다.

 

축제 및 행사

하지(Juhannus)는 핀란드인에게 가장 중요한 연례행사이다. 사람들은 일년 중 가장 낮이 긴 날을 축하하기 위해 도심을 떠나 여름별장으로 간다. 모닥불을 피우고 호숫가에서 흥겹게 수영하며 뱃놀이를 한다. 엄청나게 술을 마시는 것 또한 하지 축제의 한 특징이다.

 

7월의 포리째즈축제(Pori Jazz Festival)는 가장 인기 있는 째즈 축제이지만 중세기의 성 올라빈린나 (Olavinnlinna Castle)에서 열리는 사보린나오페라축제(Savonlinna Opera Festival)가 가장 유명하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몇몇 축제는 대부분 먼 지역에서 열린다. 예를 들면 쿠모(Kuhmo)의 실내악축제, 코꼴라(Kokkola) 근처 카우스티넨 (Kaustinen)의 민속음악제 등이다. 하지의 주말에 열리는 록 페스티벌은 큰 연례행사이며 가장 오래된 축제는 7월 투르크에서 열리는 루이스록(Ruisrock) 축제이다.

 

난탈리(Naantali)와 한코 (Hanko) 마을에는, 가장 게으른 사람을 뽑아 바다에 던지는 7 27일 잠꾸러기의 날(Sleepyhead Day)이 있으며, 가장 생소한 행사로는 해마다 7월 손카예르비(Sonkaj rvi.)에서 열리는 아내를 업고 뛰는 경기(wife-carrying championship)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