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ail Issue/@Job Incu

★쇼핑센터 리테일 마케터

Paul Ahn 2018. 3. 6. 19:07

★쇼핑센터 리테일 마케터

 

 

‘디몰(The Mall)’ 리테일 마케터‘ 이지영 과장

 

쇼핑몰 컨셉과 고객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면서, 이를 한꺼번에 아우를 수 있는 리테일 마케터들의 입지 또한 커지고 있다. 일반인들에게 다소 생소한 리테일 마케터는 쇼핑몰 MD구성이나 프로모션 기획, 이벤트 뿐 아니라 임차인을 컨설팅해 쇼핑몰 컨셉을 유지하고 사람들을 말한다. 리테일 마케터로 부천 상동에 있는 ‘디몰(The Mall)’ 에서 활약하고 있는 이지영 과장은 "리테일마케팅은 쇼핑몰 컨셉을 유지하고 발전시켜 부동산 가치까지 올리는 상업용 리테일의 꽃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말했다.

 

-The Mall(디몰)에 대해 소개해달라. The Mall은 국내 처음으로 외국계 기업인 ING 그룹이 투자해 운영하는 쇼핑몰로서 현재 현대백화점, CGV, VIPS 등과 같은 대형 입점업체부터 패션, 웨딩업, 외식업 등 개별적인 임차인까지 약 100개의 매장으로 구성된 경인지역 대표 복합쇼핑몰이다. 부천에만 90만명이 거주하고 있고, 인천쪽 부평, 계양족을 합치면 170만명이 넘는 등 광주, 대전 보다 배후 수요가 높다. The Mall은 리테일 마케팅 등 선진국형 쇼핑몰 운영관리 시스템으로 경영되고 있다는 점에서 타 쇼핑몰과 차별화되고 있다.

 

-리테일 마케터란 무엇인가.

리테일 마케터(Retail Marketer)란 쇼핑몰 MD구성, 프로모션 기획, 이벤트뿐 아니라 임차인을 컨설팅해 쇼핑몰의 컨셉을 유지하고 부동산적 가치를 높이는 직업이다. 해외 유명 쇼핑몰에는 많지만 국내에는 현재 소수의 인원만 활동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원스톱 쇼핑몰이 트렌드인 만큼 그 수요는 점차 늘어날 것이다.

 

-국내 쇼핑몰에도 있는가.

아직 국내는 거의 없다. 리테일 마케터는 분양형 쇼핑몰이 아닌, 계약 기간에 따라 적절히 쇼핑몰 MD를 변화시킬 수 있는 임대형 쇼핑몰에서만 찾아 볼 수 있다.

 

-주요 업무는 무엇인가.

리테일 마케터는 백화점의 유통 마케팅뿐 아니라 부동산 마케팅까지 모든 업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마케팅의 기본 업무인 프로모션 기획 및 이벤트를 포함해 산업 트렌드에 따른 MD구성, 선진 쇼핑몰 동향 파악, 월/연간 매출 분석을 통해 매출이 부진한 임차인을 컨설팅 해주는 등 쇼핑몰의 컨셉을 유지하고 발전시켜 부동산적 가치를 높이고 장기적으로 임대률을 높이는 업무를 맡고 있다.

 

-리테일 관리가 부동산 가치와 어떤 상관관계가 있가.

리테일 관리는 단지 쇼핑몰 MD업무가 아닌, 임대 관리까지 넘나든다. 그러다보니 부동산 가치와 밀접하다. 용산 아이파크 몰의 경우 기존 전자상가몰로 시작할 때 거의 실패한 케이스였지만, 아이파크라는 새로운 리테일브랜드가 들어오면서 성공한 케이스다. 여기에는 아이파크라는 브랜드 파워도 있었지만 리테일 마케팅이라는 관리의 힘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리테일관리는 단기적으로 회사 매출을 올리기 보다 장기적으로 부동산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노력한다.

 

-쇼핑몰 분석은 어떻게 도출해내는가.

유입인구와 매출의 상관 관계를 알 수 있는 트래픽 카운트 시스템(Traffic Count System)을 통해 출입 고객 수를 시간, 일, 요일로 나누어 측정 가능할 뿐 아니라, 각 날짜에 맞는 날씨가 자동 입력 되어 날씨에 따른 유동인구의 변화도 파악한다.

 

The Mall의 경우 오픈한 지 3년째에 접어들면서 기존의 대형 입점업체인 현대백화점, CGV 외에 쇼핑몰의 유동인구를 크게 높일 수 있는 변화가 없다고 판단, 이러한 트래픽 카운트 시스템을 도입하게 됐다

 

-분석자료는 어떻게 활용되는가. The Mall에 트래픽 카운트 시스템을 통한 쇼핑객 수를 비교한 결과, 백화점 성수기인 12,1월보다 7,8월의 유동인구가 약 15%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5월, 9~11월은 비수기지만 웨딩사업은 성수기인점을 고려해 연회, 웨딩홀 전문인 리더스클럽을 입점시켜 유동인구를 확보했다.

 

또한 매출분석회의를 통해 유입인구조사, 매출 상관 관계 등 쇼핑몰 운영에 있어 상권분석을 통한 몰 구성에 효과적으로 활용한다. 매장의 방문율은 높은데 구매전환률이 낮으면 그 원인을 분석해 디스플레이를 새롭게 하거나, 임차인의 매장관리를 직접 체크해 매출을 올리기 위한 베이스 자료로도 활용한다.

 

-리테일 마케터로서 어떨 때 보람을 느끼나.

리테일은 곧 매출과 직결된다. 따라서 매출이 떨어지는 임차인들을 리테일 마케팅을 통해 성공시킬 때가 가장 보람 있다. 예를 들어, 지난 해 매장내 요거트 아이스크림점의 매출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서비스 문제인지 품목이 문제인지 전반적으로 이 업종이 트렌드에 뒤쳐지고 있는지를 조사했다. 서비스부터 디스플레이, 영업 트렌드 등을 컨설팅 한 결과 요거트 아이스크림 매장은 한식당으로 업종 변경하는 게 낫다는 결론이 나왔다. 임차인을 설득해 MD구성도 다시 하고 업종변경을 서둘렀다. 그 결과 고객 방문율이 늘어나 전체적인 매출의 1.5배~2배 가량 늘어났다.

 

-리테일 마케터 전망은 어떤가.

리테일 마케팅은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집약적 쇼핑몰’로 변화시킬 수 있다. 기존 쇼핑몰 시장은 분양형만 존재했기 때문에 개발업체에서도 운영의 한계를 인식하고 있어 앞으로는 임대형 쇼핑몰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본다. 그렇게 되면 현재 쇼핑몰을 운영할 제반 능력을 갖춘 사람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앞으로 리테일 마케터 들에게 한마디 조언을 해준다면.

쇼핑몰은 그야말로 인간이 먹고, 마시고, 즐기고, 생활하는 라이프스타일이 집약된 곳이다. 향후에는 오피스타운과 백화점, 테마파크와 놀이공원, 주택, 쇼핑몰이 한곳에 집중된 이른바 라이프스타일 상업단지가 조성될 것이다.

 

그만큼 복합적이기 때문에 트렌드 변화에 민감해야 한다. 해외 쇼핑몰도 자주 견학하고, 사람들이 추구하는 가치에 대해 연구하고 분석하는 등 트렌드를 주도하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아울러 산업군의 트렌드, 다양하고 폭 넓은 지식, 수학적인 분석능력 등을 겸비해야 한다.

 

비즈플레이스

김미형 기자 kmh001@bizplace.co.kr

 

 

 

 

 

'Retail Issue > @Job Incu'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개발 전문가  (0) 2018.03.07
★SC개발 전문가  (0) 2018.03.07
★쇼핑센터 디벨로퍼(Developer)  (0) 2018.03.06
★공항 점포기획자 (Store MD)  (0) 2016.12.11
★아울렛 점장 (Store Manager)  (0) 2016.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