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생존율〕서울·光州선 음식점 절반 못버텨… PC방 등 '房 3총사' 시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0/26/2015102600349.html
[빅데이터 분석]
本紙·서울대, 지난 15년간 자영업 12개 업종 131만8482곳 '빅데이터' 따져보니
- 음식점 성공비결은 유동인구 종로·용산 등이 생존율 높아… 상주인구 많은 강동구 苦戰
- 옛 인기 PC방의 추락 4곳 중 1곳만 5년 버텨… 경쟁 덜한 당구장 63% 생존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에서 문을 연 음식점 22만4429곳 중에서 현재까지 살아남아 영업 중인 곳은 10만5203개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만개가량의 음식점이 폐업 신고를 했다. 2000년대 이후 경기 침체와 함께 직장을 잃고 무작정 자영업에 뛰어든 40·50대 실직자들의 고통을 그대로 반영하는 수치다. 이는 본지가 서울대 빅데이터연구원과 함께 행정자치부의 전국 자영업자 빅데이터 정보를 분석한 결과다.
◇상주인구만 보고 창업한 점포 생존율 낮다
서울에서 음식점을 냈을 때 5년 이상 영업을 지속한 비율, 즉 생존율은 평균 51.6%였다.
새로 생긴 음식점 둘 중 하나는 5년 이내에 망했다는 의미다. 서울은 광역시·도 중 광주 다음으로 음식점 생존율이 낮았다.
5년 생존율은 자영업자의 안착 여부를 판단하는 잣대다. 서울에서 음식점의 생존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은 종로구·용산구·서초구·중구 등이었다. 반면 강동구·양천구·중랑구의 생존율은 낮았다.
. 지난 15년 동안 서울에서 창업한 치킨집·중국집·일식집·한정식집·빵집과 같은 일반 음식점은 총 22만4429개였고, 열 곳 중 하나가 강남구(2만2377개)에서 문을 열었다. 강남구의 음식점 5년 생존율은 52.8%로 서울 평균에 비해 다소 높은 수준이다.
음식점 생존율은 상주인구보다 유동 인구가 더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종로구는 인구 10만명당 음식점 수(2000년 이후 창업해 현재까지 영업 중인 음식점)가 2989개로 중구(3656개) 다음으로 많았다. 음식점 간 경쟁이 치열한 지역이다. 하지만 5년 생존율은 25개 구 가운데 1위(62.2%)였다.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비자들이 이들 음식점을 먹여 살린 것으로 분석된다. 인구 10만명당 가장 많은 음식점이 영업하는 중구도 5년 생존율이 25개 구 가운데 상위권(54.0%)에 속했다. 이 밖에도 생존율 상위권인 용산구나 마포구, 서초구 등도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으로 꼽힌다.
이에 비해 강동구의 인구 10만명당 음식점 수(825개)는 중구의 4분의 1에도 못 미쳤다. 음식점 경쟁이 치열하지 않을 것 같지만, 5년 생존율은 오히려 43.1%로 서울에서 꼴찌였다. 인구 10만명당 음식점 수가 가장 적은 양천구(670개) 생존율(44.2%)도 강동구 다음으로 낮았다. 이 밖에 중랑구·도봉구·노원구·강북구 등 낮 시간 유동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은 강북 지역도 음식점 생존율이 50% 미만이었다. 한국외식산업연구원의 김삼희 팀장은 "동네의 상주인구만 보고 경쟁 음식점이 없다고 큰 고민 없이 가게를 냈다간 실패하기 쉽다"고 말했다.
단란주점과 같은 유흥업소는 전반적으로 영업 지속 비율이 높은 편이었다. 관악구·영등포구 등 20개 구가 생존율 70% 이상이었다. 김삼희 팀장은 "도심의 주요 상권에서 유흥업소를 열려면 많은 자본을 들여야 하는 만큼 준비를 많이 한 자영업자가 진입하기 때문에 생존 경쟁력이 높다"고 말했다.
◇각종 방(房)은 고전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유흥 문화로서, 한때 자영업 창업의 주요 업종이었던 '3대 방(房)'인 PC방·비디오방·노래방은 상당수가 폐업의 쓴맛을 봤다.
특히 PC방과 비디오방은 초고속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한 게임, 영화 감상 등이 가능해진 것에 영향을 받아 사양화 추세가 뚜렷했다.
. 2000년 이후 서울에서 문을 열었던 PC방은 1만2815개였다. 이 중 5년 이상 영업을 지속한 곳은 3253개뿐이었다.
4곳 중 3곳이 망해 생존율이 25.4%에 불과했다. 동대문구와 송파구 등이 다른 지역에 비해선 괜찮은 편이지만 이들 지역도 5년 생존율은 50%에 못 미쳤다.
비디오방과 노래방도 상황이 비슷했다. 서울에서 비디오방은 2000년대 들어 420곳이 문을 열었지만 5년 사이 절반 이상인 222곳이 문을 닫아서 생존율은 47.1%에 그쳤다. 비디오테이프가 사라지면서 비디오방이라는 업종 자체가 소멸된 것으로 봐야한다. 이 기간 노래방은 2278개가 문을 열어 5년 영업을 지속한 곳은 1207개(56.3%)였다. 최승재 소상공인연합회장은 "노래방이나 비디오방은 기계값과 실내 장식에 수억원을 들인 곳도 있어서 적자가 나면서도 문을 닫지 못하는 업주도 상당수"라고 말했다.
비교적 건재한 곳은 당구장이다. 구로구·도봉구·서대문구·영등포구·용산구에서 당구장의 5년 생존율이 70%를 넘었다. 다른 업종과 달리 당구장은 경쟁이 덜하고 실내 장식과 입지 이외에는 차별 요소가 적은 편이다. 주변 거주 인구만 제대로 파악하고 진입하면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높은 편이다.
이번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한 류근관 서울대 교수(경제학)는 "폐업 신고는 사업이 어려워진 후 마지막으로 취하는 조치이기 때문에 사업을 접은 이후 폐업 신고가 지연되는 경우를 고려하면 실제 자영업 생존율은 정부 행정 자료에 비해 다소 낮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창·폐업 빅데이터 어떻게 분석했나] 2000년~2014년 행자부 자료, 제조·건설업 제외
자영업 빅데이터 분석은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264개 기초자치단체와 17개 광역자치단체 등 277개 지방자치단체의 455개 업종에 대해 총 6300만 건가량의 인허가·등록·신고 내역이 수록된 행정자치부의 행정서비스 자료를 대상으로 했다. 이 중에서 정보 누락이 많은 2000년 이전 자료와 전산화된 자료의 기간이 짧은 업종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했다. 최종 대상으로 삼은 것은 2000~2014년에 창업한 음식점 등 생활밀착형 12개 업종 131만8482사업장이다. 자영업 업종별 5년 생존율은 지난 15년 동안 창업한 업체 중에서 5년 이상 영업을 지속한 업체의 비율이다. 지자체 인허가 신고 의무가 없는 제조업과 건설업 등은 포함되지 않았다.
홍영림 기자
2015.10.26
'Trend & Issue > @Mega Tr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5년 생존율〕암환자 5년 생존율, 68.1% ‘더 이상 불치병 아냐’ (0) | 2016.02.22 |
---|---|
〔5년 생존율〕韓기업 5년 생존율 30%…佛 51% 獨 40%보다 낮아 (0) | 2016.02.22 |
2016년 국내경제진단 / SERVEONE (0) | 2016.02.07 |
2016년 프랑스 미래를 이끌어갈 9대 유망산업 주목 (0) | 2016.02.04 |
2016년 국내 저물가 지속 배경과 시사점 (0) | 2016.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