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도 구들장논 / 국가중요농업유산 제1호
국가중요농업유산은 국가에서 보전할 가치가 있다고 인정하는 농업 지역과 환경, 사회, 풍습 등 오랜 기간 형성시켜 온 유형과 무형의 농업자원을 가리키는 말로, 이를 보존·계승하고자 제정된 국가지정제도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13년부터 국가중요농업유산 제도를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첫번째 선정지는 국가중요농업유산 제1호 ‘청산도 구들장논’이다.
◇국가중요농업유산 제1호의 탄생
우리에게 청산도는 순간 브레이크 없이 전력으로 달려왔던 삶을 되돌아보게 해주는 달팽이 섬이다. 아시아 최초의 슬로시티로 느림의 미학을 느끼고 싶은 현대인들에게 딱 맞는 장소이기에 인생의 쉼표를 찾는 사람들에게 사랑받은 여행지였다. 그런 청산도의 진정한 가치가 우리에게 알려진 것은 2013년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선정되면서부터다.
청산도는 급경사에 돌이 많아 물 빠짐이 심한 사질 토양이 발달하여 논 농사에 다소 불리한 농업환경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척박한 환경은 자연스럽게 지역 환경에 적응하는 계기가 되었고 농업유산 청산도 구들장논이 탄생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청산도 구들장논의 주된 특징은 돌을 쌓아 만든 계단식 논 형태와 암거 구조의 지하 관개배수시스템이 보존되고 있는 것이다.
청산도 사람들은 석축을 쌓아 논을 만드는 과정에서 돌을 쌓는 기술과 형태가 한국 고유의 난방법인 ‘온돌’에 사용된 ‘구들장’과 닮았다 하여 ‘구들장논’이라 부르고 있다.
청계리 구들장논
부흥리 구들장논
양지리 구들장논
◇청산도 구들장논의 조성 배경 및 방식
청산도 구들장논의 역사는 16세기 말인 조선 중후기 부흥리 함양 박씨, 양지리 안동 권씨, 지리 김해 김씨 등 외지 사람들이 청산도에 이주 정착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섬 내 인구 증가로 양곡 생산을 위한 논, 밭이 더 필요하게 되었고, 마을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가파른 골짜기까지 구들장논을 만들기 시작한 것.
1991년도 목포대학교 연구팀이 발행한 자료에는 1592년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의 부하인 함양 박씨가 부흥리 지역에 터를 잡으면서 구들장논 조성이 시작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청산도 구들장논은 일반 계단식 논과 형태가 비슷해 보이지만 차별화된 농업관개시스템을 가진다. 구들장논은 경작지가 부족한 청산도에서 쌀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돌을 쌓아 계단식의 논을 조성함으로써 토지의 가용면적을 극대화한 산물이다.
또한, 관개배수, 농법, 농기구 그리고 생활문화 측면에서도 일반 논을 경작하는 지역과는 다른 농업 시스템이 전승되어오고 있다. 일반 계단식 논은 지표면에 용·배수가 흐르지만 구들장논은 통수로를 사용한 용·배수가 이루어진다.
구들장논은 경작에 필요한 용수를 가두거나 아래 논으로 흘려보내는 조절 기능을 하는 곳에 판석 형태의 돌(구들)을 사용한 점이 독특하다. 이러한 관개시스템은 강수량에 따라 논과 밭으로 전환 사용을 가능하게 했다.
구들장논 모내기
구들장논 물대기
구들장논의 관개관리는 주민들의 ‘협동노동체계’를 통해 지속되어 왔다. 주민들은 매년 농사가 시작되는 시기에 인접한 논의 주인들이 모여 물길을 만들고, 농업용수 사용을 자율적으로 관리했다.
또한, 소(牛)를 나누어 쓰는 ‘소언두’제도가 협동 경운활동으로 운영되었으나, 현재는 농업환경 변화로 협동노동이 품앗이 형태로만 남아있다.
구들장논 단면도
◇청산도 구들장논의 농업 생산과 기술
현재 청산도의 지목 별 토지이용은 72%가 임야이며 논과 밭은 21.1%에 달하지만, 약 400년 전 청산도에 정착한 입도민이 농업활동을 시작했을 때는 현재보다 농지가 현저히 부족했다.
완도군이 조사한 청산도 구들장논 분포조사에 따르면 구들장논이 집중분포된 지역을 중심으로 부흥리 92필지, 양지리 45필지, 상서리 137필지, 총 274필지로 면적 약 6.9ha로 나타났다.
청산도 구들장논 분포현황
구들장논은 경작지의 평수를 조금이라도 늘려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하기 위해 만들어져 논과 밭으로 농지의 범용적 이용이 손쉽게 이루어졌다. 강수량이 적은 해에는 논을 밭으로 전환하여 농사를 지었고, 1년 2작을 하는 시기에는 여름철에는 논농사를 이후에는 밭으로 이용했다.
오늘날 청산도의 농산물 생산은 여전히 논농사의 비중이 가장 높으며, 미맥(米麥), 보리, 메밀 등이 재배되고 있다. 밭농사는 마늘, 콩, 봄동 등을 소득 작물로 생산하고 있으며 일부 휴경지를 이용해 유채와 청보리를 경관작물로 식재하고 있다.
청산도 벼농사의 전통 작부체계인 1년 1작은 논을 쟁기로 7번 갈고, 써레질을 2번 하는 방식이며, 1년 2작의 논은 4번의 쟁기질과 2번 써레질을 하는 방식이다. 청산도 구들장논의 경운작업은 일반 농촌지역의 쟁기질(보통 3~4회)보다 종류와 횟수가 다양하다.
그 과정은 초갈이(물잡기), 중갈이, 무쟁기(물쟁기, 물속에서 쟁기질하는 것) 순서로 이루어지며 무쟁기를 한 뒤 써레질을 한다. 또한, 구들장논은 얕은 토층에 벼를 심기 때문에 경운 깊이를 조절하는 기술은 논의 주인만이 알았다.
구들장논에 사용되는 쟁기는 논에 수분이 오래 함유되도록 토양을 미세하게 갈아야 하기 때문에 몸집이 작고 가벼운 것을 사용하며, 내륙지역의 쟁기와 달리 보습이 지면 방향으로 누워있어 얕은 토양을 갈기에 적합한 특징을 지닌다. 또한, 괭이의 경우 날 끝이 사각이고 무거운 것, 날이 삼각형인 것, 얇은 날 등 용도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청산도 구들장논의 보존과 관리
구들장논은 자연 생태환경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구들장논에서 지속해온 농경활동을 농작물의 생육환경 향상뿐만 아니라 주변의 자연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는 논 생태계의 형성과 유지에 기여해왔다.
하지만 최근 청산도의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휴경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논 생태계의 기능 저하와 더불어 주변지역 산림-취락지역을 연결하는 생태순환축의 약화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시점에서 구들장논의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과 FAO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등재는 구들장논을 비롯한 주변지역 생태기능의 유지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 진행 중인 ‘구들장논 오너제도’는 도시민 교류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전통농업문화의 전승과 논 생물다양성 유지를 위한 보전활동으로 의미가 있다. 또한, 청산도 주민들은 현실적으로 찾아온 문제 해결을 위해 ‘친환경 유기농업 섬’ 비전을 선포하고 구들장논 보존과 활용을 위한 주민협의회를 구성하여 청산도 구들장논 보존에 힘쓰고 있다.
우리 조상들의 얼과 지혜가 담긴 국가중요농업유산, 그리고 수백 년의 역사와 전통으로 대한민국 첫 번째 농업유산으로 그 이름을 남긴 청산도 구들장논. 전통문화를 지키는 것은 관심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했다.
수많은 풍파를 견뎌내며 그 명맥을 이어온 청산도 구들장논의 문화적 가치는 무궁무진하다. 이러한 가치가 우리 후손에게 전해질 수 있도록 관심 어린 시선으로 청산도 구들장논의 영원한 보존을 기원한다.
농촌진흥청에서 농업기술의 모든 궁금증을 상담해 드립니다(063-238-1000) 전국 어디서나 1544-8572 (일어서서 바로처리, 평일 09:00~18:00)
글 ㅣ 이승호
자료 ㅣ 완도군청
'Life Service > @Slope land(다랭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 사파(沙垻), 무옹호아 계곡(Muong Hoa Valley)의 계단식 논 (0) | 2021.07.23 |
---|---|
⊙위엔양티티엔(元阳梯田) 원양 다랑이논 / 세계문화유산 (0) | 2021.07.23 |
⊙남해 가천마을(南海加川) 다랑이논 / 명승지정번호제15호 (0) | 2021.07.23 |
⊙경주 학동마을 다랭이논 (0) | 2021.07.23 |
⊙세계의 다랭이 논 (0) | 2021.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