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나홀로 가구’ 32% 역대 최다…40%는 일 없이 산다.
가장 흔한 가구 형태로 ‘나 홀로’ 가구가 자리 잡았다. 셋 중 하나꼴로 1인 가구였다. 소득은 전체 가구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8일 통계청은 이런 내용의 ‘통계로 보는 1인 가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여러 국가승인통계에 흩어져 있는 1인 가구 내용을 한데 묶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가구 가운데 31.7%(664만3000가구)가 나 홀로 사는 가구였다. 2014년 이후 7년째 1인 가구는 주된 가구 형태(가구원 수별 비율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1인 가구 비중은 2019년 30%를 넘어선(30.2%) 데 이어 지난해 더 늘었다.
1인 가구 성·연령대별 비중 (2020)
1인 가구 주 나이대별로는 20대 비율이 19.1%로 가장 높았고 30대(16.8%)가 뒤를 이었다. 부모와 같이 살다가 직장·학업 등 이유로 독립한 젊은 층이 많아서다. 그다음 50대(15.6%), 60대(15.6%), 40대(13.6%) 순이었다.
연령대에 성별까지 고려한 양상은 좀 달랐다. 여자는 60대 이상 고령층이 45.1%로 절반 가까이 차지한 반면 남자는 30~50대가 56.9%로 대다수였다. 강유경 통계청 사회통계기획과장은 “남성 30~50대는 직업 때문에 1인 가구로 사는 경우가 많다”며 “여성은 보통 아이와 같이 살기 때문에 30~50대 1인 가구 비중이 작고, 60대 이후 사별 등 이유로 1인 가구가 되는 비율이 높다”고 말했다.
지난해 10월 기준 1인 가구 중 취업자 비율은 1년 전보다 1.2%포인트 내린 59.6%였다. 전 가구 평균 60.4%보다 낮았다. 1인 가구 10명 가운데 4명은 일없이 지내고 있다는 의미다. 1인 가구 중 고령자(60대 이상 33.7%)가 많은 탓이다.
혼자 살다 보니 벌이도 적었다. 2019년 기준 1인 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2162만원으로, 전체 가구 5924만원과 비교해 3분의 1 수준(36.4%)에 불과했다. 1인 가구 77.4%는 연 소득이 3000만원 미만이었다.
1인 가구가 겪고 있는 경제난은 다른 통계에서도 드러났다. 전체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145만9000가구 가운데 101만3000가구(69.4%)가 1인 가구였다.
가구 소득
지난해 기준 1인 가구 중 40% 이상이 수도권에 몰려 있었다. 1인 가구의 50.5%는 원룸 형태의 40㎡(약 12평) 이하 면적 주택에 살고 있었다.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1인 가구의 소득 수준이 낮게 나오는 건 고령화로 인한 독거 노인 증가, 취업 준비 청년층의 경제적 어려움 때문으로 분석된다”며 “같은 1인 가구라 해도 청년층은 주거, 중장년층은 고용 유지, 노년층은 저소득 계층을 중심으로 한 기초연금 확대 등 연령대별로 초점을 달리해 지원을 보강해야 한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2021.12.09 00:02
조현숙 기자 newear@joongang.co.kr
'Trend & Issue > @Gen Tr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인 가구〕 40% 첫 돌파··· 4인 가구는 20% 밑으로 (0) | 2021.12.09 |
---|---|
〔1인가구〕통계로 보는 1인가구 / 통계청 2021년 (0) | 2021.12.09 |
〔1인가구〕1인세대 사상 처음으로 40% 돌파 (0) | 2021.10.07 |
〔生涯周期〕 생애주기(life cycle)란 무엇인가? (0) | 2021.09.10 |
〔生涯週期〕 한눈에 보는 ‘생애주기별 원스톱 서비스’ 7가지 (0) | 2021.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