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신년기획 / 이젠 선진국이다
국민들이 본 대한민국
60대는 63%만 인정해 인식차
10명중 8명은 "한국은 선진국"…
'이생망' 20대 희망 잃지 않았다
선진국 이유, 의료·디지털 꼽아
"코로나 와중에 최대 수출 일군
삼성·현대차 등 기업들도 한몫"
선진국 아니라는 응답자 중
62%가 "소득양극화 극복해야"
◇2022 신년기획 이젠 선진국이다 ①
"코로나19 터지기 직전에 해외 연수를 갔는데 워낙 병원 문턱을 넘기가 어려워 감기라도 걸리면 어떻게 하나 불안해하며 지냈어요. 의료 서비스 등 안전 문제는 한국이 다른 선진국보다 훨씬 나아요."(취업준비생 김유석 씨·27) 국민 10명 중 7명(71.8%)이 한국을 선진국으로 보는 가운데 차기 우리 사회 주축인 MZ세대(1980~2000년 초반 출생자)가 우리나라를 선진국으로 생각하는 흐름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매일경제가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선진국 위상에 대한 대국민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우리나라가 선진국이라고 답한 20대는 81.7%로 전 연령대를 통틀어 선진국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30대가 78.1%로 뒤를 이었다. 반면 40대 74.6%, 50대 68.2%, 60대 이상은 63.2%로 나이가 들수록 한국을 선진국으로 보는 데 인색한 것으로 조사됐다. 직업별로 따져봐도 2030세대가 선진국에 대한 인식이 강했다. 학생과 취업준비생이 한국이 선진국이라는 응답이 82.9%로 가장 높았고 직장인(73.7%), 개인사업자(66.9%)가 뒤를 이었다.
이필상 전 고려대 총장은 "경제 성장을 이룩한 이후 사회생활을 시작한 MZ세대는 이미 한국을 선진국으로 보는 흐름이 강하다"면서 "반면 50대 이상 베이비부머들은 급격한 산업화 과정에서 각종 사회 부작용을 직접적으로 경험하며 한국이 선진국이라는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MZ세대가 한국이 선진국이라는 자부심이 크다는 것은 향후 미래 한국을 개척하는 데 중요한 원동력이 될 수 있다"며 "이 같은 긍정적인 에너지를 활용해 한국이 더 높은 수준의 질적 발전을 이끌어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소득·기업 성장에 후한 점수
우리나라를 선진국으로 본 국민 가운데 30.2%는 다른 나라에 비해 발달된 의료·교육 체계와 디지털 인프라스트럭처를 한국의 최대 강점으로 꼽았다. 지난해 코로나19 경기 타격 속에서도 연간 사상 최대 수출(6400억달러 전망)을 일군 대표 기업들을 자랑스럽게 보는 시각도 많았다.
한국을 선진국 반열에 올린 국민 24.9%는 "삼성·현대차 등 세계적인 기업의 글로벌 활약을 이유로 한국을 선진국으로 본다"고 답했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3만달러가 넘고 인구 5000만명 이상인 이른바 '30·50클럽'에 들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는 시각(15.6%)이 뒤를 이었다.
세계적으로 30·50클럽에 포함된 나라는 한국을 비롯해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7개국에 불과하다. 한국은행은 명목 국내총생산이 지난해 2022조원(3분기 기준 연율화)으로 세계 10위권에 오른 것으로 평가했다. 물가 수준을 반영한 1인당 경상 국내총생산은 이미 2018년 4만3001달러를 기록하며 일찌감치 일본(4만2725달러)을 따라잡았다.
◆ 계층 간 소득 양극화는 고질병
반면 국민들은 계층 간 소득 양극화는 우리나라가 선진국 위상을 다지기 위해 극복해야 할 과제로 봤다. 우리나라가 선진국이 아니라고 응답한 국민(28.2%)은 지난해 자산가격 급등으로 더 벌어진 계층 간 소득 양극화와 불평등을 가장 큰 문제(27.2%)로 인식했다. 사회적 경쟁 대열에서 뒤처진 취약계층을 보듬기 위한 복지제도는 여전히 미흡하다는 반응(15.3%)이 뒤를 이었다. 빈번한 사회갈등이 문제라는 대답(14.1%)도 많았다.
우리나라가 아직 선진국이 아니라고 본 국민 10명 중 6명(61.7%)은 소득 양극화 같은 약점을 극복하지 못하면 앞으로 10년이 넘어도 한국이 선진국 반열에 오르지 못할 것으로 우려했다.
◆ 후진적 정치도 낙제점
후진적인 정치 토양이 극복해야 할 우선 과제로 손꼽혔다. 미국·유럽 등 해외 선진국을 100점으로 봤을 때 우리나라를 평가한 점수에서 정치·외교 부문(77.4점)은 가장 저조한 평점을 받았다. 응답자의 29.8%는 "공직자 책임의식을 대폭 강화하고 권위주의적인 정치 관행을 폐기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재정 집행과 조세행정 절차가 보다 투명해져야 한다는 반응(14.5%)과 언론에 재갈을 물리지 말고 국민의 알 권리 등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11.8%)이 뒤를 이었다.
해외 선진국과 비교해서는 경제 평점(78.9점)도 상대적으로 저조한 편이었다. 소득과 자산 양극화 해소(24.8%)와 경직적 노사 관계를 풀고 고용난을 완화해야 한다는 지적(21.4%)이 많았다. 주식·부동산 등 자산시장 안정성을 강화해아 한다는 목소리도 15.7%로 많았다.
이번 조사는 매일경제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가 지난달 17일에서 23일까지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매일경제 & mk.co.kr
2021.12.31 16:12:24
김정환, 박동환 기자
'Trend & Issue > @Mega Tr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계〕가계동향조사 (2021년 3/4분기) (0) | 2022.02.22 |
---|---|
⊙언택트·메타버스↓ 여행업↑… "현실세계가 온다" (0) | 2022.02.20 |
2022년 CES의 주목할 5대 기술 트렌드 (0) | 2022.01.08 |
2022년 한국이 열광할 세계 트렌드 / 코트라 (0) | 2022.01.01 |
2022년 임인년 새 도약 기운 맞이하는 희망의 시기 (0) | 2022.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