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토박이
보통 토박이의 정의는 한 지역에서 3대째 이상 살고 있는 사람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본적(本籍)이 할아버지의 고향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울특별시에서는 토박이의 의미가 계속해서 변화해 왔다.
1993년, 서울시는 ‘정도 600년 사업’을 추진하면서 ‘서울 토박이’의 선정 기준을 “조상이 1910년 이전의 한성부에 정착한 이후, 현 서울시 행정구역 내에 계속 거주해오고 있는 시민”으로 정한 바 있다. 즉, 사대문 안 및 사대문 근처 10리 내에 거주해 오던 사람의 후손으로서 현재 서울시에 거주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이를 기준으로 서울특별시가 내놓은 통계에서 당시 서울시민 1100만 명 중에서 오직 3565가구, 즉 1만 3582명이 순수 서울토박이로, 수치로 나타내면 0.12%에 불과했다.
이후 2004년 서울특별시 산하기관인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이 실시한 ‘2004년 서울 서베이’에서 내놓은 토박이의 기준은 조부모 때부터 서울에서 살아온 자였다. 즉,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인 토박이의 정의인 3대째를 기준으로 삼은 것이며 이전에 비해 기준이 많이 완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당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시내 2만139가구 중 조부모 때부터 서울에서 살아온 ‘서울 토박이’는 4.9%, 즉 100명 중 5명 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조사 역시 2023년 기준으로 19년이나 된 조사이기에 현재로서 정확한 비율은 알 수 없다. 확실한 것은 본인이 서울 출신이라도 부모나 조부모가 타 지역 출신이면 서울 토박이가 아니라는 것이다.
최소한 자신의 조부모 세대부터, 즉 3대 이상 서울에서 살아온 사람들이 진짜 서울 토박이이며 6대 이상부터 서울에서 살아왔으며 선산이 서울 근교지역인 인천, 양주, 남양주, 용인, 고양, 경기도 광주, 하남, 성남, 시흥에 있는 경우면 그 중에서도 진정한 토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100명 중 1명을 제외하면 서울 출신이더라도 그 말투에 지방 사투리의 흔적을 가지고 있다는 이야기다. 최근에는 사투리의 사용 자체가 줄어드는 편이지만 수도권 사람이던 타 지역 사람이던 대부분 억양이 존재한다.
‘서울토박이’ 신세
◇서울 전체의 토박이 인구는 얼마나 될까요?
우리 역사상 최초의 인구 조사 기록으로 알려진 1428년(세종10년 윤4월)의 한성장계(漢城狀啓)에 성 안팎의 가호는 1만 8522호, 인구는 10만 9327명으로 되어 있다.
이후, 증보문헌비고에 따르면 1669년(현종10년)에 19만 4030명으로 얼마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나 나라를 일본에 빼앗기기 전해인 1909년 기록이 23만 명인 것으로 보아 조선왕조 내내 대체로 20만 내외의 인구를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일제시대에 한성부가 경성부(京城府)로 개칭되면서 행정구역의 확장으로 30~40만 명으로 늘더니 1942년에는 111만 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광복이 되면서 사회적 정치적 격동기를 거치면서 대규모 인구 이동현상으로 1960년에는 244만 명으로 크게 늘었고, 경제발전과 시역(市域)의 확장으로 70년대에 500만 명, 80년대에 800만 명을 넘어 2001년에 이르러 1000만 명을 초과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구 증가 추세에 반비례하여 「서울정도 600년」을 기념하던 해인 1994년의 서울 토박이 수효는 상대적으로 점유 비율이 점점 줄어 아주 빈약한 모양새가 된 것이다.
이순영 (사)서울토박이전통문화진흥회장이 밝힌 순수 ‘토백이’(토박이의 서울 사투리) 인구는 1994년 3월15일 단체 등록기준으로 3,605세대 13,753명이라고 했다. 물론 조사에서 누락되거나 신고를 하지 않은 숨은 숫자가 있겠지만 1000만 서울 인구에 비교한다면 매우 적은 숫자이다.
▲ 한양도성 옛지도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사람을 낳으면 서울로 보내고 말을 낳으면 제주도로 보내라’는 속담과 같이 정치, 사회, 경제, 문화가 집중된 서울로 사람들이 모이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서울시민 가운데 서울 출생은 4할에 불과하여 지방 출신으로 서울에서 사는 사람이 더 많을 뿐 아니라, 3대 이상 살아온 서울토박이에 해당하는 인구는 서울인구의 7%에도 못 미치게 나타나는 것이다.
◇‘문안사람’과 ‘문내한’등 옛 차별
조선시대 한성의 인구는 관할구역인 도성(都城) 안과 근교인 성저십리(城底十里)에 해당하는 구역에 사는 사람들을 포함했다. 십리(十里)의 경계가 애매한 곳은 가오리(加五里)라 하여 오리(五里)를 더하여 획정하였다. 서울 우이동에 가오리라는 땅이름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다.
지금은 서울의 행정구역이 605.36㎢로 한성부의 38배에 해당하는 넓은 지역이고 여기에 사는 서울사람 중에 붙박이로 서울에서 살아온 사람들을 가리는 일이 토박이 인구조사이다.
역시 한성의 주민은 도성 안팎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그런데 사대문 안에 사는 사람들, 곧 왕족과 관료들, 그리고 그 권속을 비롯하여 중인 계층을 ‘문안사람’이라고 일컬어 문 밖에 사는 일반 농민이나 상인들과 차별하여 불렀다고 한다. 문내한(門內漢)이란 얄궂은 말이 있다. 모르긴 몰라도 성 밖에 사는 백성들이 사대문 안에 사는 특권층을 바라보는 시각에서 은연 중 나타난 비아냥 표현인 듯하다. 한(漢)이라는 글자는 악한(惡漢), 괴한(怪漢) 등 정의롭지 못한 사람을 지칭할 때 사용하므로 대부분 농민이거나 한강의 장사꾼들인 ‘문밖사람’들에게는 문안사람들이 곱게 보이지 않았으리라 짐작해 본다.
이제, 만민이 평등한 지금 시대에는 문 안이든 문 밖이든 상관없이 서울시민이면 누구나 3대 이상 걸쳐 100년 정도 서울에 살았다면 모두 토박이에 해당된다고 보면 된다.
◇과연 ‘서울내기’의 기질은 어떤 것일까
21세기는 서울이 수도로서의 위상마저 흔들리는 시대이다. 이러한 계제에 서울사람의 자화상은 어떻게 그려져야 할까요?
뉴요커(Newyorker)나 런더너(Londener), 또는 파리지엥(Parijean)은 그 도시에 사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이면서 그들의 기질(氣質)을 나타내는 표현이기도 하다. 서울에는 토박이란 말 외에 ‘서울내기’라는 단어도 있다. 아마도 서울토박이는 시공(時空)관념에 바탕을 두지만 서울내기는 성정적(性情的) 관념에 의해 만들어진 표현으로 여겨진다. 토박이는 세월 따라 만들어지지만 서울내기는 서울사람의 정체성을 확인할 만한 기질을 어떻게 형성해 가느냐에 의해 나타날 것이다. 다시 말해 서울사람의 관념적 자화상으로 연상될만한 이미지가 어떤 것일까에 관한 문제라 간단하지는 않겠지만, 서울사람 모두가 관심을 갖고 곰곰이 생각해 볼 연구과제가 아닐 수 없다.
가능하다면 기존의 토박이단체가 나름대로 유지, 발전하면서 서울내기의 기질적 특성을 밝혀본다면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되는데 한번 숙고해 보시면 어떨까요.
과연, 21세기에 ‘서울사람 답다’라는 서울내기의 기질은 어떤 것일지 기대해 본다.
월간 경제풍월 제196호 (2015년 12월호)
글/최종인 서울문화사학회 전문위원
'Benefit > ⊙Common sen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YOY(전년 대비 성장률) 계산 및 사용 방법 (0) | 2025.02.11 |
---|---|
⊙사물 존칭 “계산 도와드리겠습니다.” (0) | 2025.02.08 |
⊙레나강 삼각주(Lena River Delta) (0) | 2025.01.25 |
⊙옥외광고물 자유표시구역 (0) | 2025.01.19 |
⊙스푸마토(Sfumato) 기법과 대기 원근법 (0) | 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