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ket Issue/@Management

〔사회적 태만〕링겔만 효과(Ringelmann effect)

Paul Ahn 2017. 7. 20. 15:15

링겔만 효과(Ringelmann effect) - 사회적 태만

http://1234way.com/main/view.asp?seq=5399&crm=d

 

사회적 태만이란 혼자 일할 때보다 여럿이 같이 일할 때 노력을 덜 들이는 사람들의 성향을 일컫는다. 일종의 무임승차이다. 막시밀리앙 링겔만이라는 프랑스 엔지니어가 처음 발견, ‘링겔만 효과’로도 많이 알려져 있다.

링겔만은 말들의 능력을 연구하다가 두 마리의 말이 끄는 마차의 힘이 한 마리의 말이 끄는 힘의 두 배가 되지 못한다는 점을 발견하고는 사람들도 그런지 궁금해 했다. 링겔만은 여러 명의 남자들에게 하나의 밧줄을 끌게 하고는 그 힘을 측정했다.

 

그 결과 두 명이 같이 밧줄을 끌 때 한 사람이 발휘하는 힘은 혼자서 끌 때의 93%에 불과하며, 세 명이 끌 때는 83%, 여덟 명이 끌 때에는 49%의 힘밖에 사용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사람들은 자기도 모르게 다른 사람들과 같이 일할 때 자기가 가진 힘을 다 쓰지 않는다는 사실이 증명된 것이다.

이 실험은 집단 속에서 개인의 기여도를 측정할 수 있는가가 사회적 태만이 나타나는 핵심 조건임을 알려준다. 기업에서도 마찬가지다. 물론 사회적 태만이 기업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의 정도를 측정하기란 쉽지 않다. 다만 여러 실험에서 보여준 것처럼 사회적 태만은 사람들이 자신도 모르게 무의식적으로 행동하는 가운데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사회적 태만이 있을 것이라는 부분에 많은 전문가들이 동의하고 있다. 

사회적 태만을 막는 방법은 없을까. 실험에서 보았듯 사회적 태만은 집단 속에서 개인의 기여도를 측정할 수 없을 때 발생한다. 따라서 사회적 태만을 막으려면 성과평가시 개인별로 기여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승진과 보상체계에서도 개인별 성과에 따라 개인별로 다른 인센티브를 줄 수 있는 제도를 만들면 무임승차자들의 출현은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개인별 인센티브가 무조건 정답이라는 말은 아니다.

특히 개인 간, 부서 간 이기주의가 팽배해 협력이 잘 이뤄지지 않는 기업에서는 부서나 회사 전체의 이익으로 보상을 제공하는 집단 인센티브 제도가 조직 문화를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중요한 것은 부서 이기주의든, 사회적 태만이든 기업의 상황과 조직원들의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선택하는 것이다.

기억하자. 개인이 집단 속에 숨을 수 있을 때 사회적 태만이 생긴다. 조직 내 무임승차자들이 자꾸 보인다면, 집단 속에서 개인 한 명 한 명을 드러내는 조처가 필요한 때라는 신호다.

이계평 <세계경영연구원(IGM) 교수>

= 시 사 점 =
평가없이 발전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