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 Issue/@Gen Trend

〔에코부머〕1000만 '에코부머' 몰려온다……전세난 고착화 우려

Paul Ahn 2017. 3. 10. 09:34

〔에코부머〕1000 '에코부머' 몰려온다……전세난 고착화 우려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3103011142977020&outlink=1

 

주택시장 잠재수요→→유효수요 본격 이동……

'소유'보다 '주거' 인식 임차 선호

 

서울 소재 중견기업에 근무하는 김모 과장(32)은 베이비부머(1955~63년생)가 낳은 자녀들, 이른바 '에코부머'(79~92년생) 중 초기세대다. 내년 봄 결혼을 계획중인 그에게 가장 큰 고민거리는 신혼집 마련이다.

 

 아파트 생활에 익숙한 터라 수도권의 59(이하 전용면적) 규모 전세아파트를 찾고 있지만 집값의 70~80%까지 치솟은 전셋값이 부담이다. 그렇다고 집을 살 생각은 없다.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없어서다. 김 과장은 "모아둔 돈이 많지 않아 대출을 받아야 하지만 집을 구매할 생각은 전혀 없다" "주변 또래들도 대부분 비슷한 생각"이라고 말했다.

 

에코부머 중간세대에 속하는 장모씨(28)는 최근 취업에 성공해 꿈꾸던 독립(분가)을 준비하고 있다. 당초 월세로 26㎡ 규모의 오피스텔 등을 알아봤지만 "월세는 돈 모으기 힘들다"는 부모님의 반대로 전셋집을 찾고 있다. 대출로 부족한 자금은 부모님이 마련해주기로 했다.

 

 그는 "신입사원 월급으로 월세를 살면 사실상 저축은 어렵다" "전세로 살면 목돈이 묶이지만 나중에 결혼 등을 위한 종잣돈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취업 후 돈이 부족해 월세를 살고 있는 친구들이 많지만 여유만 되면 다들 전세로 옮기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우리나라 인구의 5분의1이 넘는 '에코부머'가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미친 전셋값'의 새로운 복병으로 부상했다. 베이비부머와 달리 집에 대해 소유보다 단순 주거개념이 강한 에코부머의 결혼과 사회진출 본격화로 주택임차시장의 유효수요가 크게 늘면서 전셋값 상승의 요인이 되는 것이다.

 

1000만 에코부머 주택임차시장 몰려든다

31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기준 에코부머는 1008만명으로 추산된다. 전체 인구의 20%를 넘는다. 인구분포별로는 초기세대로 분류되는 30~34세가 402만명으로 전체의 40%에 달하고 중간세대인 25~29세가 335만명, 마지막 세대인 21~24세가 271만명 정도다.

 

 연령대별로는 △32 833508 △33 817553 △31 814734 △34 7899 △30 7780 △29 72942명 등의 순이다.

 

 전문가들은 이미 에코부머 초기세대를 중심으로 신규 주택수요가 시작됐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결혼과 취업연령이 늦어진 점을 감안하면 에코부머의 신규 주택수요는 이제부터 본격화할 것이란 전망이다.

 

 실제 국내 초혼 연령은 90년 남성 27.8, 여성 24.8세였지만 지난해에는 남성 32.1(서울 32.4), 여성 29.4(30.2)로 각각 높아졌다. 에코부머의 정점세대인 32세부터 결혼적령기가 본격 도래한 것이다.

 

 최근 천정부지로 치솟는 전셋값도 에코부머의 신규 주택수요가 한몫한다는 분석이다. 집을 매입하는 것(Buying)이 아닌 거주하는 것(Living)으로 인식하는 에코부머의 임차수요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지만 공급이 이를 쫓아가지 못하면서 전셋값이 좀처럼 진정되지 않고 있다는 설명이다.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전국 임대주택 공급 규모는 2007 146565가구로 정점을 찍은 후 △2008 116908가구 △2010 93278가구 △2102 73619가구 등으로 해마다 감소했다. 전국 아파트 평균 전셋값이 2008 3.3㎡당 370만원에서 지난해 516만원으로 약 40% 급등한 것도 이 때문이란 지적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아파트키즈인 에코부머는 좋은 주거환경에서 자라 주거소비 하향이동에 인색하다" "집을 자산으로 생각하기보다 이용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성향이 강해 임차수요 증가를 촉발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주택정책 공급 확대로 재설정해야"

전문가들은 에코부머의 임차수요 증가와 이에 따른 전세난 가중에 대비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대안을 고민할 때라고 지적한다. 김용하 순천향대 교수는 "이미 에코부머의 주택수요가 전셋값 상승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견돼왔다" "당분간 이같은 현상은 심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6월 정부는 공공주택분양, 근로자서민전세자금대출 등 주택공급 및 금융정책 기준을 34(단독세대주 기준) 이상에서 30세 이상으로 낮췄다. 그동안 정책적으로 지원을 받지 못한 에코부머를 구제하기 위한 조치였다.

 

 국토부 관계자는 "정책적 지원을 받지 못하던 세대를 위해 기준을 통상적인 사회진출 시기인 30세로 완화했다" "20대 단독세대주도 많지만 재정적 한계로 기준을 더 낮추지 못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주택공급과 금융정책 기준 완화만으론 전세난을 해결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목소리다. 수요증가에 대비한 공급확대가 필수란 것이다.

 

 따라서 정부는 주택정책의 초점을 공급 억제에서 확대로, 분양에서 임대로 재설정하고 전세수요를 월세나 매매로 분산할 수 있는 저렴한 공공주택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다. 재정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민간임대사업자에 대한 정책지원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조명래 단국대 교수는 "공급만 늘려도 시장의 불안감은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다" "에코부머의 니즈에 맞는 도시형생활주택 공급확대와 전·월세상한제 등 세입자 정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