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事必歸正〕시치미 이야기
매사냥 재미에 빠지면 기둥뿌리 뽑아 가도 모른다는 말이 있습니다
잘 길들인 해동청 보라매 한마리, 열마지기 문전옥답하고도 바꾸지 않는다.
말 타는 것은 셋째 한량이요, 첩을 두는 것은 둘째 한량이요, 으뜸가는 한량은 매사냥꾼이라는 말도 있다.
그러나 매사냥한다고 모두가 천하의 한량은 아니다.
매사냥꾼엔 두가지 부류가 있다. 매사냥을 즐기는 팔자 좋은 한량이 있는 반면 매사냥에 목줄이 걸린 사냥꾼도 있다. 그들은 길들인 매로 장끼·여우·족제비 등을 사냥해서 그것을 장에 내다 팔아 처자식을 먹여 살리는 것이다.
매사냥꾼 박서방이 매를 데리고 사냥을 나갔는데 운수 사납게도 박새 한마리를 낚아챈 매가 돌아오지 않고 산 너머 어디론가 훨훨 날아가 버렸다.
매에게 목줄이 걸린 박서방은 눈앞이 캄캄해져 산 넘고 물 건너 매를 찾아 헤매기 시작했다. 해가 저물어 집에 갔다가 이튿날부터는 집에도 들어가지 않고 주막에서 눈을 붙이고 날이 새면 또 돌아다녔다.
이레째 되는 날 내앞마을 동구 밖에서 뛰어놀던 아이들로부터 눈이 번쩍 뜨이는 소식을 들었다. 우첨지라는 동네 터줏대감이 어디선가 날아온 매 한마리를 잡아 가둬 두고 있다는 것이다. 박서방은 곧바로 우첨지 집으로 갔다. 천석꾼 부자 우첨지네 기와집 안마당으로 들어서자 사랑방 문이 열리며 우첨지가 모습을 드러냈다.
뒤룩뒤룩 살이 찐 우첨지란 사람의 뱃속엔 꾸역꾸역 욕심만 들어차 있는 것처럼 보였다.
"나를 찾아온 이유가 무엇인가?"
"소인은 매사냥으로 처자식을 먹여 살리는 박가라 하옵니다. 나리께서 매를 잡아 두고 계신다기에...."
우첨지는 박서방의 말이 끝나기도 전에 "여봐라, 저 사람을 당장 쫓아내라"며 소리를 질렀다.
결국 이튿날, 우첨지와 박서방은 사또 앞에서 송사를 벌이게 됐다. "저희 집 머슴이 3년 전 뒷산에 나무를 하러 갔다가 매새끼 한마리를 잡아 왔기에 정성껏 길렀습니다. 동네 사람들도 다 알고 있습니다. 물어보십시오."
우첨지는 증인으로 매새끼를 잡아 온 머슴과 동네 사람 일곱명을 데려왔다. 사또가 머슴과 동네 사람들에게 물었다. "사실이렷다?"
그들은 이구동성으로 우첨지 말이 맞다고 대답했다. 사또가 매사냥꾼 박서방에게 물었다. "저 매가 너의 것이라는 징표라도 있느냐?"
사또의 말에 박서방은 눈물을 글썽이며 "시치미는 당연히 떼 냈을 테고...." 하고 한숨을 쉬었다.
"시치미?"
사또가 무슨 말인지 몰라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우첨지를 보자 그도 "시치미가 뭐지?" 하며 박서방을 쳐다봤다.
'오호라, 매사냥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는군.' 박서방의 두눈이 빛났다. 매사냥꾼이라면 당연히 알고 있을 시치미를 사또도 우첨지도 모르는 눈치다. 시치미란 얇게 간 뿔조각에 매 주인의 주소를 써서 매의 꽁지깃 속에 단단히 매어 두는 것이다. 알고도 모른 체하는 '시치미를 떼다'란 말도 여기서 유래했다.
박서방의 요청으로 사또가 우첨지로부터 매를 건네받아 꽁지깃을 펼치자 시치미가 나왔다. 머슴과 우첨지 논밭의 소작농인 동네 사람들은 위증을 한 것이다.
"여봐라, 위증을 한 저놈들은 곤장 다섯대씩, 우첨지에게는 열다섯대를 안겨라."
부자놈이 베풀며 살지 못하면서 욕심까지 과하니,고것참 깨소금 맛이로다.
-유정호 박사가 보내주신 글-
*******
▒ 사필귀정(事必歸正)
처음에는 시비(是非) 곡직(曲直)을 가리지 못하여 그릇되더라도 모든 일은 결국에 가서는 반드시 정리(正理)로 돌아감. 무슨 일이든 반드시 옳은 이치대로 돌아간다 는 뜻이다.
'말씀•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제와 인내〕주은래의 만년 2인자 (0) | 2020.03.31 |
---|---|
〔절제와 인내〕90대 10의 원칙 (0) | 2020.03.31 |
〔事必歸正〕만절필동•萬折必東 (0) | 2020.03.30 |
〔事必歸正〕사필귀정 (0) | 2020.03.30 |
〔召命〕아리랑(我理朗) - 참된 나(眞我)를 찾는 즐거움 (0) | 2020.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