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경제산업 전망 / 산업연구원(KIET)
산업연구원 > 연구원소식 >보도자료 (kiet.re.kr)
거시경제 전망
□ 현 경기 판단 : 코로나19 영향의 완화 속에 예상보다 빠른 반등세
○ 국내 실물경기는 올해 2분기까지 코로나19 확산의 여파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한 이후에 코로나 사태의 진정과 경제활동 재개의 영향으로 예상보다 빠르게 반등
- 민간소비가 3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건설투자도 다시 감소한 모습이나, 설비투자는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는 양상
- 수출(통관기준)은 코로나19 확산, 글로벌 경기 위축, 유가 하락 등으로 지난 2분기에 큰 폭 감소한 이후, 하반기 들어 주요국들의 경제활동 재개 등으로 감소 폭이 빠르게 축소
□ 세계경제 : 플러스 성장률 회복 전망, 불확실성은 여전
○ 코로나19 백신의 개발과 보급 개시로 2020년에 비하여 코로나 위협이 상당 정도 억제된다는 전제하에서, 2021년 세계경제는 주요국의 회복과 기저효과에 힘입어 플러스 성장률을 회복할 전망
- 미국경제는 정부의 재정 부양과 연준의 저금리 기조 등으로 고용 여건 등이 개선되면서 플러스 성장률을 기대하고, 유로권과 일본 역시 코로나19 영향의 완화에 따른 내수 안정 등으로 플러스 성장이 예상
- 중국경제는 코로나19 억제와 내·외수의 동반 개선 속에서 연간 성
장률이 약 8%대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빠른 회복세가 전망
□ 유가 및 환율 : 유가 배럴당 47달러 수준, 환율 1,110원 내외 예상
○ 국제유가는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증가와 산유국들의 공급량 조절 등으로 상승이 예상되나, 코로나19의 불확실성으로 소폭 상승에 그칠 전망
○ 원/달러 환율은 글로벌 경기회복, 미국의 경기부양책 등으로 인한달러공급 확대, 중국 경기의 빠른 회복에 따른 위안화 강세 등이 달러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연평균 1,110원 내외가 예상
□ 2021년 국내 경제성장 : 연간 성장률 3.2% 전망
○ 2021년 국내경제는 코로나19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내·외수의 점진적인 개선과 2020년 역성장에 따른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3.2% 수준의 성장률이 예상
○ 2021년에도 코로나19로 인한 불확실성이 가장 큰 변수이나, 대외적으로는 주요국들의 경기 회복 양상과 경기부양책 효과 지속 여부, 미·중 대립 추이 등이, 국내적으로는 한국판 뉴딜 정책의 효과와 반도체 및 관련 장비 수출 지속 여부 등이 추가적인 변수로 작용할 전망
□ 민간소비 : 전년대비 3%대 증가 전망
○ 소비는 전년도 마이너스 성장에 따른 기저효과로 개선될 여지가 크나 고용 부진, 가계부채와 주거비용 부담 증가, 기업실적 감소에 따른 임금상승률 둔화 우려, 정부의 추가 부양정책에 대한 부담감 등의 상황을 고려할 때 개선 폭은 제한적일 전망
□ 투자 : 설비투자 7.0% 증가, 건설투자 3.2% 증가 전망
○ 내년 설비투자는 코로나19의 장기화와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경기회복과 ICT 부문의 선제적 투자수요 등을 중심으로 견조한 증가세가 예상되고, 건설투자 역시 공공인프라와 관련된 정부의 SOC 확대 정책 영향으로 토목 중심으로 회복할 전망
□ 수출입 : 수출 11.2% 증가, 무역흑자 소폭 확대 전망
○ 2021년 수출은 코로나19에 대한 각국의 대응능력 강화로 부정적 영향이 다소 줄어들 것이 예상되는 가운데, 중국 및 주요국의 경기회복과 전년 부진의 기저효과로 큰 폭의 증가 전망
○ 수입은 반도체 장비 수입과 국제유가 회복세, 기저효과 영향 등으로 증가하겠지만, 위축된 수요부문의 더딘 회복세와 2021년까지 지속될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증가율이 수출보다는 다소 낮은 9.6% 전망
○ 2021년은 전체 교역규모가 회복되는 가운데 수출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함에 따라 무역수지 흑자규모는 지난해보다 증가한 521억달러 전망
게시일 2020-11-25
내용문의 :
[거시] 홍성욱 연구위원 (044-287-3192),
[산업] 조철 선임연구위원 (044-287-3046)
産 業 硏 究 院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Trend & Issue > @Mega Tr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0) | 2020.12.29 |
---|---|
2021년 달라지는 것 / 서울시 (0) | 2020.12.29 |
2021년 한국경제전망 / 현대경제연구원 (0) | 2020.12.18 |
2021년 비즈니스 트렌드(RESTART) / 우리금융경영연구소 (0) | 2020.12.18 |
2021년 한국산업전망 / 하나금융연구소 (0) | 2020.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