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 Issue/@AI & Data

〔XaaS〕 MaaS(Mobility) – 서비형 모빌리티

Paul Ahn 2024. 6. 24. 13:23

⊙MaaS(Mobility) – 서비형 모빌리티

 

MaaS란 기차, 버스 등 대중교통을 비롯해 택시, 공유차량 등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하나로 통합하는 것을 말한다. 이용자에게 목적지까지 가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알려줄 뿐만 아니라 이동수단에 대한 요금 결제 및 예약 등 모빌리티와 관련된 모든 서비스를 하나의 플랫폼 하에서 제공하는 것이 골자다.

 

대중교통뿐만 아니라 공유자동차, 공유킥보드 등 다양한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들이 잇따라 등장하면서, 대중교통이 다소 불편한 여러 지역들을 보다 다채로운 방법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됐다. 이에 갖가지 이동 수단에 대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MaaS를 구현하는 대표 서비스로는 핀란드의 '(Whim)'이 꼽힌다.

지난 2016년 출시된 앱인 ''은 기차, 버스, 택시 등을 비롯해 공유자전거, 렌터카, 도보 등 다양한 이동수단을 하나의 앱으로 연계했다. 앱 내에서 출발지와 도착지를 선택하면 이들 이동수단을 모두 감안해 최적의 이동수단과 최단경로, 요금 등을 보여준다. 결제 역시 한 번에 가능하다.

 

 

''의 운영사는 핀란드 벤처기업 '마스 글로벌(MaaS Global)'로 회사 이름에서부터 'MaaS'가 들어갔다. 최근 1100만유로( 151억원)의 투자를 추가로 유치, 누적 투자 유치 금액을 7500만유로( 131억원)까지 늘렸다. 현재 핀란드의 수도 헬싱키를 비롯해 벨기에, 스위스, 오스트리아 빈, 일본 도쿄 등에서 서비스 중이며 점차 서비스 지역을 넓혀 나가는 추세다.

 

@'' 외에도 독일 '킥시트', 싱가포르 '비라인' 등이 Maa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관련 서비스가 본격화되는 추세다. 이는 국내 주요 모빌리티 업체들이 주목하는 방향이기도 하다. 카카오모빌리티를 비롯해 티맵모빌리티, 쏘카 등 주요 업체들은 일제히 MaaS를 목표로 내세우며 자신들의 앱 내에 다양한 모빌리티 관련 서비스들을 추가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카카오 T' 앱을 보면 MaaS를 향한 목표가 잘 나타난다.

카카오 T는 초반에는 택시 호출 앱인 '카카오택시'로 알려졌지만, 이후 모빌리티와 연관된 다양한 서비스들을 내놓았다. 앱 내에서 택시 외 버스, 비행기, 기차 예약을 비롯해 공유바이크, 대리운전 등 이동 관련 다양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또 지난 8월 전동킥보드 업체들과 제휴해 카카오 T 앱에서 전동킥보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에도 착수했으며 조만간 '딜카'와 연동해 렌터카 중개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티맵모빌리티 역시 장기적으로 MaaS가 지향점이다.

내비게이션 서비스인 '티맵'을 중심으로 렌터카·택시·단거리 이동 수단(전동킥보드·자전거대리운전·주차 등 다양한 이동수단을 연계해 상황에 맞는 최적의 이동 수단을 티맵 앱을 통해 제안하는 것이다. 현재 택시 호출, 대리운전 서비스 등을 실시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다음달 자체 구독 서비스인 '티맵 플러스 프리미엄'으로 운전자들을 위한 다양한 할인 상품을 한데 묶었고, 조만간 티맵 대중교통 서비스를 필두로 다양한 교통수단을 묶은 월 구독형 상품도 내놓을 계획이다.

 

MaaS의 형태 (출처=쌍용자동차 공식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