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소비시장 'S.N.A.K.E'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Biz 모델, AI, K-culture, Economical consumption)를 올해 소비 시장의 핵심 키워드로 소개했다.
• 생존(Survival),
• 차세대 비즈니스 모델(Next Biz 모델)
• 인공지능(AI)
• K-컬처(K-culture)
• 경제적 소비(Economical consumption)
대한상의는 “경제 환경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유통 기업들은 차세대 비즈니스 모델 개발과 AI 기술 활용 등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하고,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에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경제 성장 둔화와 정치·사회적 변수의 확대는 소비 심리 위축으로 이어지며, 유통 시장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대한상의는 미국의 통상 정책 변화와 국내 정치 상황이 소비 시장의 불확실성을 가중시킬 것으로 보이며, 2025년 유통 시장 성장률이 0.4%에 머물 것으로 예측했다.
유통 시장의 성장 둔화와 경쟁 심화에 따라, 기업들은 리테일 미디어 사업, 중고 거래 플랫폼(C2C), 초개인화 대화형 쇼핑 서비스 등 새로운 사업 모델을 통해 지속 가능한 수익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
AI는 소비 패턴 분석, 수요 예측, 재고 관리 최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통 산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 글로벌 AI 시장 규모는 2023년 99억 7천만 달러에서 2033년 549억 2천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상의는 “AI를 활용한 맞춤형 서비스와 공급망 최적화는 기업 경쟁력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K-컬처의 전 세계적인 확산은 유통 기업에도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H&B 전문점 올리브영은 K-콘텐츠를 결합한 매장 경험을 통해 외국인 관광객의 관심을 끌고 있으며, 해외 매출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경기 둔화와 물가 상승은 경제적 소비 트렌드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저렴한 상품을 찾는 소비 성향과 필수품 중심의 소비 패턴이 두드러질 것으로 분석되며, 이는 유통 기업들에게 새로운 전략적 접근을 요구한다.
대한상의는 “유통 기업들이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서 혁신적이고 유연한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변화의 시기를 기회로 활용해 새로운 성장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업종합저널
2025.01.08
동향 | 허은철 기자 echheo@industryjournal.co.kr
'Trend & Issue > @Mega Tr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keyword〕 행복한 노년을 위한 키워드 (0) | 2025.04.06 |
---|---|
〔5 keyword〕 세계를 흔드는 '트럼프 스톰' (0) | 2025.04.06 |
〔Trumpism〕 트럼프, 한국에도 거액 청구서 내밀었다. (0) | 2025.03.09 |
〔Trumpism〕 캐나다人, 美 여행도 안 간다… (0) | 2025.03.09 |
〔Trumpism〕 트럼프, 상하원 연설서 ‘김정은’ 한번도 언급안해 (0)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