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럭스토아(Drug Store)
•의약품이나 화장품·생활용품, 식품 등을 모두 취급하는 복합 점포를 일반 슈퍼마켓이나 편의점과 구분하여 드럭스토어(Drugstore)라고 하며, 이를 건강 및 미용과 관련된 제품들을 판매한다고 하여 H&BC(Health & Beauty Care) shop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국의 경우, 의약품 규제나 약국 입점 조건이 까다로워 의약품을 위주로 취급하는 해외의 드럭 스토어와 달리 화장품, 건강식품을 중심으로 한 'Health&Beauty 스토어' 컨셉으로 운영하고 있다.
•드럭스토어는 의사의 처방이 필요 없이 이용 가능한 의약품, 화장품, 생활용품, 식품 등을 취급하는 복합점포로 국내의 경우 CJ올리브영이 최초로 매장을 연 뒤 w스토어, GS왓슨스가 뒤를 이었다. 국내의 드럭스토어 업체는 2011년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일부 일반 의약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되었고 점포 수가 급증하였다.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중심으로 발전
해외에서는 드럭스토어가 편의점과 같이 보편화되어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미국의 경우 세계 최대의 드럭스토어 체인인 Walgreen을 비롯, CVS 등이 각 지역에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영국의 Boots, 대만 및 홍콩의 Watsons, 일본의 마츠모토 기요시 등이 각국의 대표적인 드럭스토어 업체들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과 유럽의 드럭스토어가 100여년에 걸쳐 장기간 발전해 온 것과는 달리 대만, 일본 등의 드럭스토어는 비교적 짧은 기간 안에 성장하여 현재 대중화 단계에 들어섰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일본 드럭스토어의 경우 기업화, 대형화를 거듭한 결과 그 시장 규모가 2조 5천억엔대에 이르는 등 이미 안정적인 유통 형태로 자리잡았다.
◇대기업 시장 진입으로 국내서도 급증
국내에서도 건강이나 웰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2000년대부터 드럭스토어가 본격적으로 생겨나고 있다. 앞서 언급한 CJ의 올리브영을 비롯, 코오롱의 W-스토어, GS리테일과 대만 AS왓슨의 합작 기업인 GS왓슨스 등이 대표적인 국내 드럭스토어들이다.
국내 드럭스토어 수는 2004년 연말 기준으로 총 20여개 점포에 불과했다. 하지만 업체들의 공격적인 신규 매장 확대 노력에 힘입어 올해에만 120개의 신규 점포가 오픈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드럭스토어의 경우 아직까지는 화장품 등 미용제품 위주로 구색이 갖추어져 있으며(5~60%) 앞서 언급한 해외의 드럭스토어들에 비해 의약품의 비중은 매우 낮은 편이다.
나라별로 조금씩 차이는 있으나, 해외의 드럭스토어는 전통적으로 의약품 중심으로 발전됐다. 처방전에 의한 조제의약품 매출이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이며 나머지 부분을 잡화류, 건강식품, 화장품 등이 차지한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약사법 등의 장애 요인으로 인해 ‘약’ 부분이 최소화되어 있다.
◇화장품 시장에서 영향력 높아질 전망
이같은 여건상 국내에서는 의약품 유통에서 드럭스토어 채널이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할 전망이다. 그 대신 드럭스토어는 수년 안에 화장품 판매의 주요한 채널로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화장품 업체들은 이미 이에 대비해 건강·미용 컨셉에 맞는 기능성 제품이나 먹는 화장품 등을 강화하는 추세이다.
국내에서는 아직 드럭스토어가 단순 잡화점 이상으로는 인식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진정한 ‘웰빙 토털 숍’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나름대로의 특화된 이미지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주요 드러그스토어〉
⊙올리브영(OLIVE YOUNG) / CJ올리브네트웍스 운영
-올리브영 전체 매출은 전년대비 35% 이상 증가한 750억 원을 올렸다. 지난해 6월 개점한 압구정점을 시발로 더모 코스메틱(약국전용 화장품)존을 운영하기 시작했습니다.
⊙랄라블라(lalavla) / GS리테일 운영
⊙더블유스토어(W-store) / 코오롱웰케어 운영
지난해 출점 속도는 늦춘 대신 새로운 매장 컨셉트를 적용한 신규점을 선보였다. 2004년 4개, 2005년 17개, 2006년 22개를 개점했고, 2007년 12개를 개점한 이래 지난해는 4개점을 출점했다.
⊙롭스(LOHB's) / 롯데쇼핑 운영
⊙부츠(Boots) / 이마트 운영⊙어바웃 미(About Me) / 삼양사 운영
⊙판도라(Pandora) / 농심 운영
〈구미에서의 정의〉
구미에서는 약제사가 상주해, 조제나 의약품의 판매를 행한다. 특히 미국에서는 잡화점이 동거 상태에 있는 가게도 많다. 원래 약국에는 소다·파운틴 등의 음식 시설이 병설되고 있었기 때문에, 푸드 코트를 마련하고 있기도 한다. (코카·콜라도, 이러한 문화의 소지로부터 태어난 상품이다.)
〈일본의 드럭스토어〉
•드럭스토아란, 일반용 의약품을 중심으로 건강· 미용에 관한 상품이나 일용품, 신선식품 이외의 식품(음료·일일배달 식품 등)을 셀프서비스로 단시간에 살 수 있도록 한 소매업태이다. 일본의 유통업계에서는 디스카운트 스토어(DS)와 구별하여 「DgS」 「Dg.S」혹은 「DRG」라고 약칭해서 부른다.
•덧붙여 일반용 의약품을 취급하지 않고 조제 기능만을 가지는 경우는 드럭스토아 라고는 부르지 못하고 단지 약국 혹은 조제전문약국 등으로 불린다.
•또 일반용 의약품을 판매하는 것의 조제 기능을 가지지 않고 셀프서비스가 아닌 경우는 약방 혹은 약포 등으로 불린다.
〈일본의 Drug Store 분류〉
점포 면적을 기준으로서 이하와 같이 구분된다.
◦메가 Drug :
점포 면적 600평방 미터 이상의 거대 점포를 가리킨다. 일용품, 의약품 외에도 식품을 취급하는 것이 많아, 거대한 상권을 가진다. 카와치약품이나 겐키 등은 이 스타일이 주류이다.
◦슈퍼 Drug :
점포 면적 300평방 미터 이상의 대형점포를 가리켜, 많은 교외형 약국이 이 형태가 되고 있다.
◦컨비니언스 Drug :
점포 면적 100~300평방 미터 점포의 나카미세포를 가리킨다. 주택지에서 부근의 거주자가 평소 쇼핑을 하는데 적합한 스타일이다.
•미니 Drug :
점포 면적 100평방 미터 미만의 소규모 스토어.주로 상가나 지하가, 빌딩등의 세입자로서 출점해, 비즈니스 퍼슨 전용으로 판매. 뷰티 상품에 특화하고 있는 가게도 많다.
'Type of Business > @Drug & H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 10대 드럭스토어·의약품 業態動向 (0) | 2005.07.01 |
---|---|
⊙유럽의 드럭스토어 현황 (0) | 2004.11.12 |
⊙일본의 드럭스토어 현황 (0) | 2004.11.12 |
⊙미국의 드럭스토어 현황 (0) | 2004.11.03 |
⊙한국의 드럭스토어 현황* (0) | 2004.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