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 of Operation/@SSM

⊙SSM에 대응한 중소 슈퍼마켓의 경쟁력 강화방안

Paul Ahn 2012. 11. 3. 11:22

SSM에 대응한 중소 슈퍼마켓의 경쟁력 강화방안

How to Increase Small Retailers' Competitiveness Against Super-Supermarket(SSM).pdf
0.36MB

 

2010 11월에 유통법과 상생법이 국회에서 통과함으로써 SSM을 규제하고 소상공인을 보호하려는 첫발걸음을 떼기는 하였으나, 이들 쌍둥이 법은 실효성에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미국의 경우에도 지자체에서 지역 소상공인의 보호를 위해 월마트의 진출을 조례를 통하여 지연시킨 경우는 있지만 결국에는 월마트의 진출을 막을 수는 없었다. 따라서 쌍둥이 법으로 벌어놓은 3년 동안 소상공인들은 소매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실행에 옮겨야 한다. 또한 정부에서는 소상공인의 자생력 강화를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을 해야 한다.

 

소상공인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정부는 대기업은 할 수 있으나 소상공인은 할 수 없는 일을 맡아서 해야 한다. , 대규모의 자본으로만 가능한 일을 정부가 해야 할 것이다.

 

, 가격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대량구매를 통한 할인이 필요하며, 상품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중앙통제본부에서 지역별로 소비자의 구매패턴을 분석하여 최적의 상품구성을 지역 내 소상공인들에게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대기업처럼 대량구매와 판매정보 분석의 기능이 갖춘 물류센터가 필수적이다.

 

입지경쟁력 중 점포의 매력도 향상을 위해서는 소상공인 슈퍼마켓의 내·외관 개선 및 점포경영의 현대화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나들가게는 중소유통업에 종사하는 소상공인들이 자생력을 가지도록 하는 시발점이라는 점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히 나들가게는 간판, 매장환경 등의 외관과 인테리어만 바꾸는 것이 아니라 POS의 설치를 통하여 나들가게에서 잘 팔리는 물건과 그렇지 않은 물건이 바로 집계되기 때문에 재고관리에도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효율을 중시하는 대기업과 차별화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강화가 매우 중요하다. 고객에 대한 친절 서비스는 기본이고, 소상공인 슈퍼마켓이 입지한 지역별로 적절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커뮤니티 구성원이라는 이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경기도 내의 SSM 분쟁지역의 소비자 조사에서는 소득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고 기존 소상공인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지역에서 SSM이 중소유통의 매출을 잠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에서 제시한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방안은 주민소득이 인근의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낮으며 기존 중소 슈퍼마켓에 대한 주민 만족도가 낮은 지역부터 우선적으로 실시한다면 정책적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고 결론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