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 of Operation/@SSM

■ 트라박스(Rra Box) / 2004, 일본의 SSM

Paul Ahn 2018. 9. 15. 18:43

■ 트라박스(Rra Box) / 2004, 일본의 SSM

http://www.trial-net.co.jp/index.html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2&no=291686

 

291686 기사의  이미지
 
지난 5월 3일 오전 10시 부산시 해운대구 재송동, 일본 슈퍼마켓 체인인 트라이얼(TRIAL)컴퍼니의 편의점형 슈퍼 트라박스 재송1호점에는 아침 시간인데도 불구하고 몇몇 사람이 물건을 사고 있었다. 동네에 있는 조그만 슈퍼마켓 같은 느낌의 매장은 좁은 통로에 상품들이 빽빽이 들어차 있어 조금은 답답한 느낌이다.

내비게이션에도 나와 있지 않고 114 전화번호 안내조차 되지 않는 트라박스 재송1호점은 좁은 골목을 한참 들어가야 비로소 찾을 수 있다. 대로변이나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가 아닌, 동네 골목상권을 공략하기 위한 위치 선정이라는 느낌이 든다. 매장 밖에는 ‘트라박스는 365일 싸게 팝니다’라는 대형 플래카드가 나부낀다. 매장 안 곳곳에도 ‘365일 싸게 지역 최저가 실현’이라는 문구를 붙여 제품을 더 싸게 판다는 점을 강조한다.

물건을 사고 나오는 김 모 씨(54·여)는 “트라박스가 일본 체인점인지 몰랐다. 인근 슈퍼마켓이나 마트보다 많이 싸서 자주 이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씨는 “품목에 따라 다르지만 많이 저렴한 것은 30% 이상 싸다”며 “대형마트는 차를 타고 이동해야 하는 등 불편한 점이 있지만 트라박스의 경우 집 바로 인근에 있어 간단한 물건을 살 때는 자주 이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트라이얼컴퍼니 3조원 기업
일본 슈퍼마켓 체인이 초저가와 현지화 전략을 앞세워 부산 지역 골목상권을 속속 파고들고 있다.
일본 후쿠오카에 본사를 둔 트라이얼컴퍼니가 2004년 한국 진출을 위해 설립한 트라이얼코리아는 부산 해운대구에 본사를 두고 트라박스라는 중소 편의점형 슈퍼마켓을 해운대구에만 모두 4개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3월 해운대구 좌동에 1호점을 낸 데 이어 지난 2월 좌동에 2호점, 재송동에 3호점을 열고, 지난달 4일 재송동에 4호점을 열었다. 올 들어 움직임이 부쩍 빨라졌다. 이에 앞서 지난 2005년부터 경남 함안, 김해, 밀양, 경북 내서,영천, 전남 광양 등 모두 6곳에 ‘트라이얼마트’ 또는 ‘트라이얼슈퍼센터’라는 이름의 대형 슈퍼, 일명 기업형 슈퍼마켓(SSM)을 개점한 바 있다.

일본 기후에 본사를 둔 또 다른 유통기업 바로(Valor)도 한국을 공략 중인 일본 슈퍼마켓 체인이다. 바로는 2009년 바로코리아를 설립하고 한국 진출을 준비해 왔다. 현재 부산 부산진구 전포동에 본사를 두고 강서구 명지동과 김해시 장유면에 2개의 ‘바로마트’를 5월에 개장할 예정이다. 바로는 최근 구직 사이트를 통해 점장급 경력사원과 매장 근무 가능한 파트사원 채용까지 완료한 상태다.

업계는 이들 일본 유통기업이 일본의 소비 침체와 극심한 가격 경쟁에 대한 생존 전략으로 한국 시장에 눈을 돌린 것으로 보고 있다. 유통전문지 리테일매거진이 현지 통신원을 통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바로의 다시로 마사에 대표는 지난해 11월 중간결산 석상에서 “한국은 일본과 달리 경쟁이 치열하지 않아 슈퍼마켓의 이익률이 높다”는 이유로 한국 진출을 발표했다.

일본 슈퍼마켓 체인의 한국 진출 전략은 초저가와 현지화다. 트라박스는 주택가 골목 등에 매장을 내고 ‘365일 싸게 지역 최저가 실현’이라는 문구와 함께 주요 생필품을 다른 매장보다 더 싸게 판다는 점을 집중적으로 강조한다.

유통업계에서는 이들 일본 슈퍼마켓 업체들이 한국 유통업체가 갖은 대형마트·SSM 규제로 잠시 뒤로 물러난 틈을 타 규제 사각지대에서 온갖 과실을 다 가져가게 되지 않을까 걱정한다. 정부는 재래시장을 살려야 한다며 유통법과 상생법을 만들어 대형 유통업체를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그 혜택이 재래시장이 아닌, 일본 업체에 돌아갈 확률이 높다는 게 유통 전문가들 생각이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이들의 골목밀착형 영업이 확대될 경우 기존 동네 슈퍼마켓들이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 얼마 전부터 국내 대형마트와 SSM의 경우 한 달에 두 번 의무휴일을 실시하고 있지만 이들은 여기에도 해당되지 않아 골목상권을 보호하자는 정부 취지와도 맞지 않으므로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유통법·상생법 규제 안 받아

 

실제 국내 대형 유통업체는 유통법(전통시장·전통상가 반경 1㎞ 이내에는 출점을 금하는 것)과 상생법(사업조정신청 제도를 통해 대기업의 무분별한 확장을 막는 것)의 2가지 규제를 받고 있지만 일본계 슈퍼는 이 같은 규제와 전혀 상관이 없다.

 

특히 유통법에서는 완전히 자유롭다. 국내 자산규모에 의해 지정되는 대규모기업집단에 지정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상생법은 적용 대상이긴 하다. 그러나 트라이얼마트, 트라박스, 바로 등 상호 자체가 생소하다 보니 소상공인들이 이들을 상대로 사업조정을 신청한 전례나 움직임이 없다. 예를 들어 인근에 ‘홈플러스익스프레스’가 들어온다고 하면 주변 소상공인들이 바짝 긴장하지만 바로가 들어온다고 하면 새로운 중소 독립형 슈퍼마켓이 하나 생기나 보다 하고 넘어가는 식이다. 사실상 이들 일본 업체는 상생법에서도 자유로운 상황인 셈이다.

그러나 이들 일본 업체의 실제 규모는 국내 업체와 비교가 안 될 정도다. 지난해 3월 기준으로 일본에서 트라이얼컴퍼니는 131개 점포에서 연 2344억엔(약 3조2956억원), 일본 슈퍼마켓 6위 업체인 바로는 147개 슈퍼마켓 등 자회사 포함 492개 점포에서 연 3791억엔(약 5조3299억원)의 매출을 거둔 일본의 거대 유통기업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트라이얼컴퍼니와 바로는 ‘남의 입에 오르내릴세라’ 조용히 출점하고 되도록 알리지 않는 방책을 취하고 있다. 일본계 마트라는 것, 국내 유통법 규제를 받지 않지만 실제로는 한국 거대 유통기업보다 더 거대한 존재라는 것이 알려져 봐야 좋을 게 없다는 계산에서다. 심지어 슈퍼마켓 업계 관계자들조차 일본계 슈퍼의 진출 여부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했을 정도다. 일본 업체라는 사실을 절대 드러내지 않는 것도 전략이다. 트라이얼마트나 트라박스 간판을 보면 일본 업체라는 것을 전혀 눈치챌 수 없다. 두 업체 관계자는 언론과의 접촉도 절대적으로 꺼린다. 어떤 답변도 해주지 않는 식이다.

 

▒ 개정유통법 실효성 있나

 

정치적 잇속만 앞세운 결과일 뿐
매달 일요일 이틀 휴무를 강제하기로 한 대형마트와 SSM 규제의 실효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휴무 일요일에 재래시장이나 골목상권으로 손님이 몰리기보다는 규제 적용을 받지 않는 쇼핑센터, 하나로클럽과 하나로마트, 백화점이 붐비게 됐다. 인터넷 주문이 늘고 골목마다 자리 잡고 있는 편의점이 더 반사이익을 누린다는 소리도 들린다.

이미 예견됐던 일이다. 일요일에 대형마트가 영업을 하지 않으면 소비자들이 재래시장으로 발걸음을 돌릴 것으로 정치권은 생각했겠지만, 소비자는 미리 물건을 사두고 유통업체는 강제휴무로 발생한 매출 손실을 만회할 방법을 모색하는 식으로 돌파구를 찾고 있다.

그럼에도 국회가 유통법을 개정해 대형마트의 진출을 법으로 막고, 지자체들이 조례까지 고쳐 강제 휴무를 추진한 것은 대형 유통업체와 골목상권 간 이해관계를 ‘가진 자’와 ‘약한 자’ 간 대결 구도에서 파악했기 때문이다. 실효성 여부를 떠나 정치적으로 보면 사회·경제적 약자 편을 들어 손해 볼 일이 없다는 판단이 크게 작용했다. 대·중소기업 간 상생이 사회·경제적 현안으로 자리 잡으면서 이런 경향은 더 심화됐다.

주중 내내 바빴던 일상에서 벗어나 주말 쇼핑으로 다음 한 주간 먹거리를 챙기며 가족애를 다지는 일반 국민들의 소박한 행복감을 고려하지 않았고 주말 매출을 기대하고 납품하는 농민과 중소기업의 이해관계에 대해서도 눈감았다. 그저 약자를 배려하는 것으로 자신을 강조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정치적 잇속만을 중요하게 생각했을 것이다.

대형 유통업체들 잘못도 지적될 수 있다. 2004~2005년 연간 신설 기업형 슈퍼마켓은 20개를 넘지 않았으나 2009년에는 90개를 넘어섰고 2010년에는 200개 이상의 새로운 점포가 생겼다. 이런 급격한 대형점포 증가가 골목상권의 집단적 반발과 정치권의 규제를 불러온 것은 사실이다.

무리하게 상권을 확장하기보다는 지역발전과 상생협력적 차원에서 영업전략을 모색해야만 정치권의 무리한 규제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종합하면 대형 유통업체의 상생적 마인드, 영세상인 보호와 소비자 권리에 대한 균형 있는 시각을 바탕으로 강제 휴무 확대 여부를 평가해야 할 것이다.

정인교 인하대 경제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