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 of Operation/@Grocery Store

⊙프리미엄 푸드마켓

Paul Ahn 2007. 6. 11. 11:13

⊙프리미엄 푸드마켓

 

이마트·롯데쇼핑 ‘프리미엄 수퍼’ 기로에 섰나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379504

 

이마트, 작년 1곳 폐점에 미국 진출도 삐끗…롯데쇼핑, 온라인몰 구축·매장 전환

 

“비싸긴 하지만 친절한 서비스에 제품도 만족스럽다” 한 고객이 서울 도곡동에 위치한 ‘SSG 푸드마켓 도곡점’을 이용한 뒤 온라인 커뮤니티에 남긴 후기 내용이다. 이마트·롯데쇼핑 등 두 유력 유통업체는 현재 구매력 높은 소비자들이 모여 있는 상권에서 ‘프리미엄 수퍼’를 운영하고 있다. 사업 업력은 비교적 짧지만 타깃 고객들 사이에서 꾸준히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마트·롯데쇼핑은 프리미엄 수퍼 매장을 각각 6곳, 9곳 운영하고 있다.

 

두 업체 모두 서울 강남이나 부산광역시 핵심 상권 등 비교적 높은 소득 수준을 갖춘 인구가 밀집한 곳에 프리미엄 수퍼 매장을 세운 공통점을 갖고 있다. 사업 특성에 있어서도 많은 부분에서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 이마트 PK마켓. 출처= 신세계그룹 공식 블로그 캡처.

 

이마트, PK 마켓·SSG 푸드마켓 운영…그로서란트·고급 서비스로 차별화

 

이마트는 신세계 그룹 계열사 신세계 프라퍼티에서 운영하는 복합쇼핑몰 스타필드 3곳에 하나씩 입점 돼 있는 ‘PK마켓’을 운영하고 있다. 2016년 9월 1호점인 하남점을 시작으로 올해까지 3년여 기간 동안 사업을 이어왔다.

 

PK마켓은 고객이 현장에서 구매한 식재료를 셰프에게 전달하면 바로 조리해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한 특징으로 갖췄다. 이마트는 이 같은 매장 형태를 ‘그로서란트’라고 설명한다. 그로서란트는 식재료(grocery)와 레스토랑(restaurant) 두 단어의 합성어다. 소비자에게 식재료를 고르게 하는 대신 조리 음식의 가격을 저렴하게 책정한다.

 

이마트 PK마켓이 프리미엄 수퍼로 분류되는 이유는 고급 식재료를 취급하고 현장에서 조리하는 등 차별화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PK마켓 고양점에서는 랍스터, 소고기 스테이크를 원재료로 쓰는 점포를 적극 홍보하기도 했다.

 

이마트는 또 작년 12월 신세계백화점으로부터 양수한 프리미엄 수퍼 ‘SSG 푸드마켓’을 서울·부산 등 두 지역에서 3곳 운영하고 있다. SSG 푸드마켓도 PK마켓과 마찬가지로 고급 식재료와 함께 수입한 와인, 가공식품 등 고급 상품들을 다양하게 판매하고 있다. SSG 푸드마켓은 고객에게 식재료에 대한 전문 정보를 알려주는 직원 ‘SSG 파트너’를 운용하고 발렛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점도 차별성으로 내세운다.

 

 ▲ 롯데 프리미엄 푸드마켓 일원점의 내부 모습. 출처= 롯데쇼핑라이브 공식 블로그 캡처

 

롯데쇼핑, ‘롯데 프리미엄 푸드 마켓’

 

롯데쇼핑은 ‘소득 상위 30%’ 고객을 공식적인 공략 타깃으로 둔 고급 매장 ‘프리미엄 푸드 마켓’을 2016년 6월부터 운영해오고 있다.

 

롯데 프리미엄 푸드 마켓은 이마트의 두 프리미엄 수퍼 브랜드와는 점포 설립 방식이나 입점 형태에서 다소 차이를 보인다. 롯데 프리미엄 푸드 마켓은 단독 매장으로 신규 출점되거나 기존 준대형 점포(SSM) 롯데수퍼 매장에서 콘셉트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설립된다.

 

이에 비해 PK마켓은 스타필드에 입점하는 숍인숍 방식으로 설립된다. SSG 푸드마켓은 단독 매장으로 처음 오픈하거나 2003년부터 운영돼온 그룹 프리미엄 수퍼 브랜드의 시초 ‘스타슈퍼’에서 전환(서울 도곡점)되는 등 방식으로 세워졌다.

 

롯데 프리미엄 푸드 마켓의 컨셉트는 이마트의 동종 매장들과 유사하다. 취급 상품 8000여종 가운데 5%를 매장 단독 고급 상품으로 구성하고 있다. 차이점으로는 나머지 진열 상품 95%을 기존 롯데수퍼 매장의 고급 식품관(40%)이나 일반 상품(55%)으로 채운 점이 꼽힌다. 고급 상품으로 차별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여러 가격대의 상품을 찾는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 전략이다.

 

 ▲ 이마트 SSG 푸드 마켓. 출처= 신세계그룹 공식 블로그 캡처

 

이마트는 ‘고전’, 롯데쇼핑은 ‘고심’

 

현재 양사 모두 각 프리미엄 수퍼 사업의 실적을 공개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최근 일련의 행보를 살펴볼 때 두 업체의 사업 성과에는 온도 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마트는 작년 1월 서울 목동에 위치한 SSG 푸드마켓 목동점을 폐점했다. 폐점 사유를 밝히지는 않고 있다. 목동점 소재지에 다른 점포를 열거나 새 위치에 신규 출점하지 않은 점을 미뤄볼 때 저조한 수익성을 감안한 결정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후 현재까지 SSG 푸드마켓 점포 수는 3개로 2년 가까이 유지돼오고 있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이 작년 8월 선언했던 PK마켓 미국 진출도 유야무야해진 실정이다. 정용진 부회장은 당초 올해 하반기 가정간편식(HMR) 브랜드 ‘피코크(Peacock)’의 제품과 고급 식재료를 강점으로 지닌 PK마켓을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 오픈할 예정이었다. LA 번화가인 사우스 올리브 스트리트에 위치한 복합상업시설의 세 개 층을 임대하기도 했다. 이날 현재 오픈 일정은 내년으로 미뤄진 상태다. 국내 사업이 녹록지 않은 가운데 PK마켓의 현지화에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마트 관계자는 “미국 PK마켓은 그로서란트 매장 형태로 조성할 예정이지만 아직 다양한 변수를 검토하고 있다”며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매장들의 실적을 끌어올리는데 힘쓰는 중”이라고 말했다.

 

롯데쇼핑은 기존 롯데수퍼 점포를 상권 특성에 맞춰 프리미엄 푸드 마켓으로 전환하는 전략을 활용해 이마트 보단 빠른 속도로 점포 수를 늘려왔다. 작년 12월에는 온라인몰을 구축해 기존 롯데수퍼 온라인몰과 연동시키는 등 차별화에 주력하고 있다.

 

롯데쇼핑은 이마트와 달리 프리미엄 푸드 마켓을 국내에서만 지속적으로 늘려가는 출점 전략을 선택했다. 유통산업발전법 등 규제의 영향으로, 매장을 신규 오픈하기보다 기존 롯데수퍼 매장을 전환하는 방식 위주로 점포를 늘려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롯데쇼핑에 따르면 롯데 프리미엄 푸드 마켓 9곳의 매출액 신장률은 올해를 기준으로 전년 대비 20% 가량 늘어나는 등 양호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롯데쇼핑 관계자는 “롯데쇼핑은 롯데 프리미엄 푸드 마켓의 신규 입점 위치로 수도권이나 전국 프리미엄 상권에서 발굴하고 있다”며 “기존 롯데수퍼 매장 가운데 프리미엄 상권에 위치한 점포를 전환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통 업계에서는 현재 업황을 미뤄볼 때 두 업체가 프리미엄 수퍼 사업을 이어가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고급 콘셉트를 지향하는 매장 특성 상 인적자원을 관리하는 등 운영 과정에 드는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또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상권을 찾기 어려워 브랜드 입지를 확장하기 녹록지 않다는 관측이다. 때문에 사업 초기 앞세운 고급 감성을 살리는 동시에, 모객을 위한 차별화 전략을 전개해야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민동원 단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구매력을 갖춘 소비자들은 현재 단순히 비싸거나 품질 좋은 제품들을 많이 갖추고 있다고 해당 매장을 찾진 않는다”며 “프리미엄 수퍼는 편리한 배송 서비스를 구축하거나 포장 편의성을 강화하는 등 신규 차별화 전략을 발굴·도입해야만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코노믹리뷰

2019.12.08

최동훈 기자 cdhz@econovill.com  |  승인 2019.12.08  18:00:00

 

 

SSG Food Market 과 홍콩 City Super 비교

www.tigermall.co.kr

 

우리나라에도 프리미엄 푸드마켓이 열리고 있는 중이다.

 

이중에서 ‘SSG 푸드마켓’은 신세계백화점이 야심차게 만든 새로운 업태이다. 우리나라에 '프레미엄 푸드마켓'이라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도전에 박수를 보내고 싶다. 신세계백화점의 SSG푸드마켓의 런칭은 패션 등 다른 유통분야에 비해 뒤쳐져 있었던 식품유통분야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진일보로 평가받고 있다.

 

‘이성과 감성의 조화 위 전통시장의 새로운 재해석’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가지고 진행된 리테일디자인은 뉴욕의 첼시마켓과 홀푸즈마켓을 조금 더 고급스러운 버젼으로 섞어놓은 모양세이다. 이에 그치지 않고 1층에는 편집샵 the boon과 와인샵을 배치함으로서 라이프스타일마켓의 모양새를 갖췄다.

 

 서울 청담동이라는 지역 수요를 반영해 고급 식재료와 우리나라에서는 쉽게 찾기 힘든 수입 식재료들을 두루 갖춘 매장,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 1층에는 신세계백화점의 분더샵을 옮겨놓은 듯한 '마이분(My Boon)'도 입점시켜 기존의 식품매장과는 차별화시킨 모습이 역력하다.

 

SSG 푸드마켓을 찾은 고객들은 '청담동 며느리'의 이미지를 지닌 듯하다. 이곳에서 쇼핑을 하면서 과거 유학시절에 먹던 음식들의 재료를 다시 한국에서 만나게 되는 느낌을 받기도 하는 듯 해 보인다. 곳곳에 수입 식재료들이 배치되어 있어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호주산 와규, 스톤월키친, 마메후쿠(일본식 콩과자) 등 그리고 국산제품으로는 대부분 유기농 식재료 중심으로 전시,진열되어 있다. 이곳의 특징중의 하나는 매장 구성 및 진열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곳은 총 4개 존(Zone)으로 나뉜다. 과일야채, 정육수산, 델리&사이드디시와 그로서리 등으로 구성되었고, 일방향 쇼핑 동선을 구축했다는 점이다. 과일야채존을 시작으로 정육수산존과 델리&사이드디시존을 거쳐 그로서리존을 지나야만 계산대를 만날 수 있도록 하는 `룸투룸(Room-to Room)` 방식을 도입한 것이다. 당연히 가격은 동네 슈퍼나 대형마트와 비교하면 비싼 편이다.

 

우리나라에서의 새로운 시도이므로 앞으로 프리미엄 식품전문관으로 발전하리라 보인다. 특정 계층만을 위한 마켓 세그맨테이션이 착착 진행되는 듯 보인다. 앞으로 식품뿐만 아니라 전 상품군에 걸쳐서 특정고객층만을 위한 전문관으로 자리를 잡으리라 보인다. 당연히 먹는 식품산업에도 프리미엄 시장이 형성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 프리미엄 푸드마켓의 선두주자, 'SSG 푸드마켓'이 있다면 홍콩에는 1996년부터 비슷한 업태가 선을 보였다. 이름하여 '홍콩 시티슈퍼'. 홍콩을 방문한 우리나라 방문객들의 대부분이 들렀던 슈퍼마켓형 백화점이다.

 

시티슈퍼는 1996년 홍콩 타임스퀘어에 첫선을 보였다. 이미 대형마트를 비롯해 여러 종류 슈퍼마켓들이 홍콩 유통시장에 진출이 완료된 상태였다. 홍콩 소비자들의 주머니가 두둑해질수록 더 나은 식품을 찾으리라고 선견지명을 한 시티슈퍼 회장이 지금까지 전례가 없던 색다른 컨셉트의 슈퍼마켓을 개장하게 된다. 유기농 먹을거리를 비롯해 라이프스타일 편집숍, 선물코너 등 다양한 제품을 고객에게 제시하는 프리미엄 식품이 차별화된 일류백화점이라고 보는 편이 쉽다.

 

그래서 지금까지 슈퍼마켓 또는 대형마트 쇼핑이 철저히 `효율` 위주였다면, 시티슈퍼는 '슬로쇼핑(slow shopping)'에 주안점을 두었다. 전세계 각국에서 가장 품질이 좋은 상품만을 엄선해서 진열, 판매하는 식품관에 발을 들여 놓은 고객들은 이 상품이 어떤 상품인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요리를 해야 맛이 있는지를 생각하느라 시간 가는 줄 모르게 만들었다는 점이다. 물론 새로 나온 상품에 관한 시연을 해 주는 직원이 있지만 말이다.

 

비단 먹을거리에만 국한되지 않고, 음악ㆍ책ㆍ의류ㆍ액세서리를 비롯해 전반적인 '라이프스타일(Life Style)' 변화를 이끌어 올 수 있도록 매장을 설계되었다는 점이 홍콩의 핫플레이스(hot place)로 자리매김을 한 것이다.

 

여기에 한 가지 더 칭찬해 주고 싶은 점은 프리미엄격 푸드코트(food court)이다. 모두 프리미엄화한 최상급(gourmet) 음식으로 고급식당에서 먹는 양질의 음식을 만나볼 수 있게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무리 멋지게 만든 복합쇼핑몰을 가더라도 식사시간이 되면 짜증이 나게 된다. 음식의 질은 형편없는 것에 비해 터무니 없이 비싼 가격 때문이다. 하지만 이곳, 홍콩 시티슈퍼에서는 전혀 다른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획일적인 푸드코트 메뉴 대신 각 매장에서 섭외할 수 있는 최고 요리사들로 푸드코트를 채운다.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프리미엄 슈퍼마켓 시대가 시작됐다. 전 세계 구석구석에서 최고 품질의 상품을 선별해서 해당하는 고급 서비스를 제시해 주길 바란다. 고객으로 하여금 고급 식문화를 체험하게 하고, 느끼게 해 주길 바란다. 물론 당분간 일부 계층을 위한 제안이겠지만 말이다.

 

국우수전통시장박람회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