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K-POP을 넘어 K-CULTURE로
- 연평균 21% 성장하는 중국의 문화산업 - - 기존의 가요, 드라마 위주 아닌 새로운 콘텐츠로 접근 -
□ 중국 문화산업 현황
○ 점점 커지는 중국 문화산업 규모
- 2008~2012년도까지 중국의 문화산업 규모는 연평균 21%씩 급성장하고 있음.
- 하지만 2012년도 중국 GDP에서 문화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3%로 미국의 18%에 비하면 매우 적은 편으로 향후 관련시장 확대 가능성이 큼.
자료원: 时代经贸
○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 중국 정부는 2012년 11월 베이징에서 열렸던 중국 공산당 18차 당대표대회(第十八次全国代表大会)에서 ‘문화강국 건설’을 발전목표로 설정하고 2020년까지 문화산업을 국가 중점산업으로 육성해 중국을 미국과 같은 문화강국으로 발전시킬 계획이 있음.
- 중국 국무원(国务院)이 2012년 2월 15일에 발표한 ≪12.5 문화개혁발전계획강령(12.5期间文化改革发展计划)≫에 따르면 12.5(2010~2015년)의 문화산업 증가치는 연평균 20%의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 국무원은 11개 문화산업을 전략육성대상으로 선정하고 정부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발표함.
* 11개 산업: 연예오락, 애니메이션, 캐릭터, 공연, 전시, 모바일, 신문, 출판, 영화 및 영상 콘텐츠, 인터넷, 페스티벌
□ 중국 문화산업의 트렌드 변화
○ 과거 중국은 불법 다운로드, 저작권 관련 인식부족, 가요, 드라마, 영화에 편중된 산업구조 등 문화산업 발전의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음. 그러나 2010년 이후 중국 정부의 문화산업 육성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 문화산업 콘텐츠 다양화로 인해 새로운 기회들이 창출되고 있음.
○ 저작권 보호 강화
- 중국 정부는 문화산업이 건전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 저작권 보호가 필수적임을 인지하고 관련 법 개정에 나서는 등 정부 차원의 저작권 보호를 강화함.
- 지난 2012년 3월 ≪저작권법(著作权法)≫이 3번째 개정을 거쳤고, 각계각층 전문가의 의견이 수렴돼 완성된 ≪중화인민공화국 저작권법 (中华人民共和国 著作权法) (수정초안)≫을 통해 중국 내 창작 콘텐츠 판권및 저작권 보호 환경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단속으로 지난해에만 300여 개의 불법 음원 다운로드 사이트가 폐쇄
○ 프로그램 포맷 수입 증가
- 중국이 프로그램 불법모방에서 판권도입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2013년에도 포맷 수입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됨.
- 보이스 오브 차이나(中国好声音)는 2012년 7월, 네덜란드 방송사 RTL4가 제작한 세계적인 음악 서바이벌 프로그램 포맷을 수입해 제작한 프로그램으로 중국에서 큰 성공을 거둠.
- CCTV, 후난 위성을 비롯한 각 지역 위성방송은 보이스 오브 차이나(中国好声音)의 성공을 벤치마킹해 올해 네덜란드의 엔델, 영국의 브리티시 갓 탤런트, 미국의 도전! 슈퍼모델 등 총 18개의 국외 예능프로그램 포맷을 수입 예정임.
○ 뮤지컬에 대한 관심 인구 증가
- 2000년대 이전까지 중국은 뮤지컬의 불모지였으나 최근 경제발전에 따른 해외 여행객의 증가로 뮤지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 2002년 상하이에서 공연된 뮤지컬이 대성공을 거둔 후 뮤지컬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뮤지컬 공연 횟수가 크게 늘어남.
- 캣츠, 맘마미아, 레미제라블 등 해외 라이선스 뮤지컬이 잇따라 성공하자 해외 뮤지컬 라이선스의 수입이 크게 늘고 뮤지컬산업의 주요 소비층은 상하이, 베이징 등 대도시의 바링허우(80后)로 불리는 젊은 30대임.
○ 애니메이션에 대한 관심 증가
- 2012년도 중국의 애니메이션 시장은 지난해보다 50%가까이 급격하게 성장했으며, 그 규모가 59억 위안에 달함.
- 특히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교육용 애니메이션에 대한 시장의 관심도가 높음.
□ 한국의 중국문화산업 진출 현황 및 애로사항
○ 중국 문화산업 진출현황 및 애로사항
- 현재 CJ E &M, SM, JYP 등의 주요 대형 엔터테이먼트 기업들이 중국 문화산업에 진출해 있음.
- 과거 중국에 진출한 한국 문화상품은 K-POP, 영화, 드라마가 주를 이루나 불법 다운로드와 중국 정부의 자국 문화산업 보호정책 등의 문제로 성장에 한계가 있었음.
- 많은 중국인이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 영화, 드라마, 가요 등을 DVD와 인터넷 다운로드 등의 방법으로 접했지만, 대다수의 문화상품은 불법으로 다운로드되거나 복제됨. 2012년 중국에서 온라인으로 유통된 한국 음원의 98.8%가 불법 유통됐음.
□ 중국 문화산업의 트렌드 변화에 따른 기회
○ 저작권 보호 강화
- 정부의 대대적인 단속과 음원 다운로드 유료화 결정 등 중국 정부와 관련 업계의 저작권 보호 강화조치로 그동안 중국의 저작권법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아 가장 큰 피해를 입었던 한국의 음반, 영화, 드라마 등 한국 문화 상품의 수익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므로 저작권 등록 등 관련 법령을 정확히 이해한 후 시장에 진출해야 함.
○ 프로그램 포맷 수입증가에 따른 기회
- 현재 중국 인터넷 최대 동영상 사이트인 YOUKU와 TUDOU에서 런닝맨, 무한도전 등 한국 예능프로가 큰 인기를 끌고 있음.
- 한국의 예능 프로그램들이 중국에서 큰 인기를 끄는 만큼 한국의 런닝맨, 무한도전 등과 같은 우수 예능프로그램 포맷을 수출하면 큰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임.
중국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 내 인기 해외 예능 비중(%)
○ 뮤지컬 인구 증가에 따른 기회
- 2011년도 상하이, 베이징, 우한 등 6개 도시를 돌며 큰 인기를 끌었던 뮤지컬 '맘마미아'는 한국의 'CJ E &M'과 ‘중국대외문화집단공사’, ‘상하이동방미디어유한공사’가 공동투자해 만든 작품으로 6개월간 총 200여 회 공연, 25만 명 관객 동원, 2000만 위안 매출을 달성하며 대성공을 거두었음.
- 현재 중국에서 인기 많은 한국 드라마와 영화를 기반으로 제작한 뮤지컬 작품과 난타, 영웅, 김종욱 찾기 등 한국 대표 뮤지컬을 중국에 수출하면 중국 소비자에게 큰 인기를 끌 것으로 기대됨.
○ 애니메이션 관심 증가에 따른 기회
- 소황제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자녀에게 모든 것을 헌신하는 중국인들에게 뽀로로, 로보카 폴리 등 한국의 우수한 교육용 애니메이션을 중국시장에 수출하면 좋은 반응을 얻을 것으로 예상됨.
□ 시사점
○ 한국에서 방영된 드라마를 그대로 수출하는 1차원적인 방식이 아닌 드라마 리메이크, 예능프로그램 포맷 수출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시장에 진출하면 저작권 보호강화 정책으로 생긴 기회와 맞물려 큰 수익을 올릴 것으로 예상됨.
○ 계속해서 높아지는 중국인들의 소득수준과 함께 문화수준 역시 함께 올라가는 상황에서 뮤지컬과 같은 고급문화산업을 중국 내 한류 열풍과 연계해 공략하는 것이 바람직함.
자료원: 한국콘텐츠진흥원, 중국경제무역타임즈《时代经贸》, 중국국가통계국(中国国家统计局), 코트라 우한 무역관 자체조사, 인터넷 조사
'Trend & Issue > @Mega Tr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류〕K-뷰티 미국에서 순항 중 (0) | 2018.04.20 |
---|---|
〔한류〕글로벌 식탁 점령하는 한국 식품 (0) | 2018.04.20 |
〔한류〕기반 소비재(K-Product)의 수출 현황과 시사점 (0) | 2018.04.20 |
〔한류〕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과 시사점 (0) | 2018.04.20 |
〔한류〕일본내 한류동향 (0) | 2018.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