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좋은글

〔1만시간의 법칙〕메타 언어(meta language) / 창조적 공부방법

Paul Ahn 2020. 1. 20. 17:15

메타 언어(meta language)

 

인생은 100세 시대

60세에 정년퇴직하고 나서 40년동안을 무엇으로 지낼래?

수명 100년에서 늘어난 40년 어떻게 살아야 하나에 대한 답은?

50세까지는 근면, 성실하면 되었다.

100세까지 살려면 재미와 공부가 필요하다.

 

김정운 교수의 "오늘 미래를 만나다" 강의를 듣고 [1]~[3]편 요약

 

 [1]

 

Q1. 인생에 있어서 창조적인 삶을 살아가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

 

맥락을 바꿔야 내인생이 바뀐다고 ..

맥락을 바꾸기 위해선 지금 하던 일을 놓고 자기에게 여유를 줘야 한다.

남의 시각에서, 보여주기 위해서 사는 것 / 행동하는 것보다 좀더 인생을 창조적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자기가 재미있는 일을 할 시간적인 여유를 주어라는 것이다.

 

 

 [2]

 

Q2. 창조적 행동은 콕찝어서 어떠해야 하나?

 

무엇이던 편집을 하면 달라져 보인다.

인생을 편집하라.

창조는 편집이다 (창조적 삶을 하려면 편집을 해야 한다.)

편집을 하는 이유는.그 결과가 재미있기 때문이다

인생에 있어서 재미라는 가치를 불어넣어라.

 

Q3. 가장 재미 있는 것은 무엇인가?

 

가장 재미있는 것은 공부하는 거다 학교는 그 재미를 가르치는 곳이다.

(늙어서) 가장 재미있는 것은 공부하는.것이다.

 

Q4. 인생을 재미 있게 하기위해, 편집하라고 했는데 어떻게 해야하나?

 

남들 때문에 할 수 없이 하지 말고, 주체적으로 편집을 해야 재미가 있다.

좋아 하는 것을 공부하여 블로그나 위키백과나 책으로 남기는게 인생을 재미있게 사는 방법이다.

 

 

  [3]

 

Q5. 창조적 공부방법은?

 

일반적으로 많은 data에서 관심이 있는 내용을 스크랩하는 정보를 블로그에 정리하곤 한다.

여기서 각각의 정보들를 아우르는 한단어가 필요한데 이게 메타언어이다.

이 메타언어 아래 일목요연하게 정리가 되어 있으면 이는 지식이 된다.

이 메타언어를 붙이고 관리하는게 실력이다.

메타언어를 만들어 낼려면 그 정보들에서 관계를 이끌어내고, 창조적 생각의 결과로 만들어 진다.

이 메타언어에서 발전하면 다층적 메타언어로 만들어 내는것이 그 다음 수순이다.

 

Q6. 조급함/불안이 있으면 어떻게 되나?

 

불안한 사람은 전체를 보지 못한다. 고로 메타언어를 못 만들어 낸다.

 

Q7. 재미와 시회적인 의미와 관계가 있나?

 

재미가 시회적 의미를 가져야 가치가 있다.

재미와 의미를 생각하는 오늘, 여러분들은 재미있게 사는 거고, 행복한 거다.

(database를 만들고, 메타언어를 만들어 붙이면서 사는 오늘이 재미있는 거다.)

 

 

우리들의 삶이야기

http://blog.daum.net/kjs4311/8518411

  

 

김정운

 

 

 

심리학자

전 대학교수

서울출생 1962 3 27 ( 52)

여러가지문제연구소 소장

학력 베를린 자유대학교

문학심리학 박사외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