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 of Operation/@Casual Dept

■ 대구백화점(DEBEC) 1969 ~ 2021

Paul Ahn 2017. 8. 3. 09:11

■ 대구백화점(DEBEC) 1969

http://www.debec.co.kr/

 

창립 : 1944 1 10 (대구상회)

개점 : 1969 12 26 (대구백화점) / 2021년 7월

본사 : 대구광역시 중구 동성로 30

자본금 : 541억원 (2014)

매출액 : 1,581억원 (2014)

종업원 : 437

 

 

1944 1 10 - 대구상회로 창업한 구본흥에 의해 백화점 설립

1962 3 5 - 합자회사 대구백화점으로 신규 설립

1969 12 26 - 대구 중구 동성로에 대구백화점 본점 개장

1971 5 13 - 대백갤러리 개관

1973 4 9 - 정찰제 시범업체로 지정 (경북상정 제 1 )

1977 3 6 - 상공부 제15호로 수퍼체인본부 회사로 지정

1979 8 1 - 신용판매(크레디트 카드제)제도 도입실시

1982 3 20 - 대통령표창 (상공의 날)

1982 6 1 - 전국최초의 시범유통사업체 지정 (상공부 제1)

1984 11 - 계열사 대백상호신용금고(. 대백상호저축은행) 신설

1986 4 - CI로 변경 (일본 동경도랑 같은 CI라고 하지만 1년 먼저 사용)

1987 3 1 - 본점신관 전관 오픈

1988 - 포항 신라쇼핑을 인수, 대백쇼핑으로 재개장

1988 9 15 - 기업공개

1988 10 10 - 주식상장

1989 1 10 - 중구 대봉1동에 대백프라자[2] 를 착공

1993 9 15 - 대백프라자 개점

2002 - 신세계백화점과 업무 제휴

2005 2 - 포항 대백쇼핑이 폐점

20099월 대구백화점 직영마트 1호점 디마켓 신매점, 2호점 디마켓 사월점 개점

2009 - 대구은행 제휴사 직불카드 도입

2009 7 - ISJ커뮤니케이션 계열사 편입

2011 - 짐매니아플러스(·대백가구 범어점) 계열사 편입

2013 9 30일 신세계와의 제휴 종료

2014년 짐매니아 플러스 계열사 분리

20158 1일 인성아이엔씨(대백아울렛) 계열사 편입

 

점포현황〉

본점 (1969.12.26 개점)

프라자점 (1993.9.15 개점)

 

 

대구백화점 본점 매각됐다...철거 뒤 개발 예정

(chosun.com)

 

대구 번화가인 동성로의 상징이자 대구 유통업계를 선도했던 대구백화점(대백) 본점 건물과 토지가 매각돼 곧 철거될 전망이다.

 

대구백화점은 20일 공시를 통해 중구 동성로 본점 건물과 토지를 2125억원에 제이에이치비홀딩스에 양도한다고 밝혔다. 이는 대백의 자산 총액 대비 약 41% 수준이다.

 

메수자 측인 제이에이치비홀딩스는 전국 상가MD, 컨설팅, 시행을 전문으로 하는 제이에이치비개발을 모태로 한 기업으로 주로 주상복합 시행을 통해 수익을 거두는 회사로 알려졌다.

 

양도기준일과 등기예정일은 오는 1130일이다. 제이에이치비홀딩스측은 이후 건물을 철거한 뒤 주상복합건물이나 오피스텔로 개발할 예정이다. 제이에이치비홀딩스 측은대구시와 중구의 발전을 위한 형태로 개발 사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구백화점 본점은 수익성 악화 등으로 개점 52년만인 지난해 7월부터 잠정 휴업에 들어갔다.

 

대구백화점 본점은 1969년 대구 중구 동성로 중심부에 건립된 10층짜리 대형 백화점으로 영업을 시작해 1993년에는 대구백화점 프라자점을 여는 등 대구지역 유통업계의 전성시대를 열었다.

 

그러나 롯데백화점, 현대백화점, 신세계백화점 등 이른바 빅3사 백화점이 대구에 잇따라 진출하면서 영업부진 등쇠락의 길을 걸었다.

 

대구백화점 측은본점 건물을 매각, 금융 부채를 상환하고 무차입 경영을 통해 재무구조 및 경영을 효율화 함으로써 지역 유통업계 대표주자로서 역사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본점 건물은 매각됐지만 중구 명덕로 대구백화점 프라자점은 남아 영업 중이다.

 

2022.01.20 19:16

박원수 기자

 

 

창업 100년을 향해대구의 장수기업들 - 대구백화점

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150908.010050722490001

 

지역에 본사 둔 국내 유일 향토백화점신용·뚝심경영이 원동력

 

 

대구상회가 모태인 1950년대 대구백화점.

백화점 앞에 서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는 시민들 모습이 눈에 띈다. <대구백화점 제공>

 

대구백화점은 지역에 본사를 둔 국내 유일의 향토백화점이다. 올해 71주년을 맞는 대구백화점은 대기업의 유통 채널 다변화 등 여러 가지 악조건 속에서 다시 한번 날갯짓을 준비하고 있다. 대구지역의 한 경제학 교수는향토백화점이 줄줄이 문을 닫고 대기업 유통업체가 판을 치는 이때에 대구백화점은 생존 그 자체만으로 칭찬받을 만하다. 또한 생존력 하나만으로 충분한 연구가치가 있는 탁월한 기업이라고 극찬한 바 있다.

 

71 삼덕동 대구상회로 유통업 첫발

반년 뒤 유복상회 인수 후백화점출발

69년 동성로 10층 건물한강 이남 최대

90년대 유통환경 다변화에 공격적 경영

93년 대백프라자 오픈으로 또한번 도약

층별 품목그룹화·거북동선 전국적 명성

 

1944년 대구상회가 모태

대구백화점의 모태는 1944 1월 대구 삼덕동 대구상회로 거슬러 올라간다.

 

 

66㎡ 남짓한 상회에선 잡화류를 주로 판매했고, 개점 후 불과 6개월 만에 점포 인수가격의 50%에 달하는 이익을 냈다. () 구본흥 대구백화점 창업주는 이 시기에 대구백화점 본점 자리에 있던 유복상회를 인수했다. 대구상회 규모의 10배나 되는 대형점포(660)였다. 점포대금도 160만원으로 당시로선 꽤 큰 금액이었다. ‘대구백화점이란 상호는 이때부터 사용했다.

 

6·25전쟁이 끝나자 구 창업주는 사업을 확장할 결심을 한다. 대구백화점과 별도로 교동시장 내 분점도 냈다. 1955년 가구 제조회사인 대구가구공예사를 세워 대구백화점 본점과 교동시장 내 분점에서 영업을 시작했다.

 

점포는 나날이 번창했다. 1960년대 중반 교동 분점의 직원만 30명 가까이 됐다. 구 창업주는 여기서 안주하지 않았다. 당시 대구시장이던 강계원씨와 여상원 대구상공회의소 회장, 김준성 대구은행장을 만나대구에 10층짜리 백화점을 건설하자고 도움을 청했다. 10층짜리 건물이 지어진다는 것만으로도 하나의 사건이 되던 때였다.

 

1969 1226일 한강 이남에서 가장 큰 백화점이 동성로에서 문을 열었다. 이와 더불어 지역 최초로 정찰제 판매가 시작됐다. 오픈과 동시에 대구백화점은 동성로 상권의 핵심점포로 자리 잡았다. 김태식 대구백화점 부사장은 “70~80년대 대구백화점을 중심으로 젊음과 패션의 거리가 생겨났다. 이 일대에서 못 어울리는 이들은 어찌 보면 소외받는 젊음이었다고 당시를 떠올렸다. 당시 대구백화점 본점에서 판매하던 상품은 전기제품·소아복·여성복·남성복·화장품·도자기류·침구류 등으로 현재의 백화점 모습을 얼추 갖췄다.

 

90년대 유통 아이콘대백프라자

90년대는 유통업계의 다변화가 시작된 때다. 대기업의 자본력을 바탕으로 한 대형마트와 백화점이 줄줄이 생겨나기 시작했고, 그 여파로 지역 향토백화점들은 줄줄이 문을 닫았다. 공사를 하던 중 대기업에 인수된 지역백화점도 있었다.

 

이러한 시기에 대백프라자가 오픈한 것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퇴보의 시기에 다시 한 번 전진하게 된 것이다. 대백프라자는 1993 9월 당시 한강 이남 유통업체 중 최대 규모(지하 5~지상 11)로 개점한 것이다. 국내 유명 패션 디자이너들이 앞다퉈 이곳 의류매장을 들렀다.

 

대백프라자는 1990년대 유통의 아이콘이었다. 백화점 층별로 판매품목을 그룹화한버티컬 MD기법’, 소비자가 매장 곳곳을 지그재그식으로 천천히 둘러보며 목적지까지 가도록 하는거북 동선은 대백프라자가 가장 먼저 도입해 전국 백화점들이 벤치마킹했다.

 

2015-09-08 

이효설기자 hobak@yeongnam.com

 

 

신세계 개점 맞서 군살빼는 대구백화점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53233&yy=2016

 

최관웅 사장 취임 한달째 대대적인 조직 개편 단행

차장급 6명 이미 구조조정


대구백화점이 부서를 줄이고 팀장급을 대상으로 한 구조조정을 단행하는 등 군살빼기를 본격화하고 있다. 12월 중순 개점하는 신세계백화점 대구점이 생존의 최대 위기로 다가서는 가운데 취임 한 달째를 맞은 최관웅 신임 사장이 서서히 자기 색깔을 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1978년 현대건설에 입사해 2013년 현대백화점 전무로 퇴사한 최 사장은 101일 자로 대구백화점의 사령탑을 맡았다. 그는 '농구선수 출신답게 강력한 추진력을 가진 불도저'라는 평을 받는 등 업계 안팎으로 두루 신임을 받는 인물이다.

지난주 대구백화점은 팀장급(차장) 6명에게 10개월치 급여를 주는 조건으로 권고사직을 통보했다. 형식은 권고사직이지만 성과 중심의 구조조정을 본격화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선 최 사장이 구조조정을 진두지휘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업계에선 이미 그가 오기 전부터 대구백화점이 지역 경쟁 백화점을 상대로 권고사직 사례 등을 파악했다는 전언이다.


조직 슬림화도 꾀했다. 대구백화점 내부 문건에 따르면, 최근 인사팀과 총무팀을 합쳐 인사총무팀으로 만들었고, 슈퍼사업팀과 식품매입팀을 통합해 식품MD팀을 꾸렸다. 본점의 여성패션팀과 남성스포츠팀은 의류패션팀으로 묶었으며, 본점의 식품가정용품팀과 패션잡화팀을 잡화가용팀으로 합쳤다. 홍보실도 마케팅실 아래에 뒀다. 아예 조직도에서 사라져버린 부서도 있다. 사회공헌팀, MD개발실, 전략MD, 식품MD실을 해체하고 관련 부서로 업무를 넘겼다.


문건에는 조직 개편의 목적을 경쟁 환경 변화에 대응해조직 간 시너지직원의 다기능화생산성 향상이라 밝히고 있어 신세계백화점 대구점 개점에 초점을 둔 조직 개편으로 읽힌다.


선택과 집중을 생존전략으로 꺼내 들었다. 식품 브랜드를 제외한 500개 브랜드가 있는 프라자점은 100개의 특화된 브랜드를 육성하고, 본점도 380개 브랜드 중 50개를 집중적으로 키운다. 만남의 광장으로 통하는 본점 앞 유동고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식당가가 있는 8`9층을 리뉴얼할 계획이다.


대구백화점 측은 "12월 신세계백화점 대구 상륙으로 유통 환경이 급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임 사장을 중심으로 조직변화 등 다양한 생존전략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매일신문

2016-11-02

임상준 기자 news@ms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