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ket Issue/@Marketing

〔발상의 전환〕토라농법(TORA 農法)

Paul Ahn 2020. 2. 17. 15:10

〔발상의 전환〕토라농법(TORA 農法)

 

이스라엘 국토 면적은 한반도의 십분의 일에 머문다. 게다가 국토의 절반 이상이 연강우량 200mm 이하이다. 농사를 짓기에는 거의 불가능한 여건이다. 그럼에도 농업을 일으키는데 성공하여, 식량을 자급하고서도 연 수출이 100억 달러를 넘고 있다. 그 비결이 무엇일까?

 

우리나라는 국토 넓이로는 이스라엘의 10배가 넘는 땅에 연 강우량이 1,300mm를 넘는데다 국토의 어디를 파도 지하수가 나온다. 이런 조건에서도 농축산물의 수입액이 350억 달러에 이른다. 그 차이가 어디에서 비롯되는 것일까? 마음가짐 탓이다. 나라를 이끄는 지도자들과 농사를 짓는 농민들과 농산물을 먹는 국민들의 마음가짐 탓이다.

 

내가 20년 전 이스라엘에 성지순례 여행을 갔을 때다. 당시에 남양만 농촌에서 공동체 마을을 운영하며 농사를 짓고 있을 때였는지라 여행 도중에 틈을 내어 키부츠 공동체를 방문하였다. 방문한 키부츠에서 나를 안내하는 분이 전직 농림부 차관이었다. 당시 한국은 농산물 수입이 120억 달러에 이를 때인데 이스라엘에서는 농산물을 자급하고도 32억 달러를 수출하고 있었다.

 

나는 안내하는 분에게 물었다

"당신네 나라가 농업이 거의 불가능할 것처럼 보이는 여건을 극복하고, 농산물을 자급하고 30억 달러가 넘게 수출할 수 있는 비결이 무엇입니까?"

 

나의 물음에 그가 내게 직업이 무엇인지 묻기에, 한국에서 프로테스탄트 교회 목사이면서 농업 공동체를 이끌고 있노라 답하였다. 그가 미소를 지으며 “그렇다면 내 말을 이해할 수 있겠군요." 하면서 간결하게 말했다.

 

"우리 이스라엘이 농업에 성공한 비결은 ‘토라농법(TORA 農法)’ 때문입니다."

 

토라란 말은 말씀 혹은 율법을 일컫는다. 그러니 ‘토라농법’이란 말씀농업이란 말이다. 그러기에 내가 묻기를 “나도 구약성경을 읽고 설교도 하는데 구약성경에 농법에 대한 구절이 없지 않습니까?” 하였더니 그가 미소를 지으며 “이사야 43장 18절에서부터 읽어보십시오. 거기에 분명히 토라농법이 나옵니다." 하기에 나는 그 자리에서 성경을 펴고 이사야 43장의 말씀을 찾아 읽었다.

 

"너희는 이전 일을 기억하지 말며 옛날 일을 생각하지 말라 보라 내가 새 일을 행하리니 이제 나타낼 것이라 너희가 그것을 알지 못하겠느냐 반드시 내가 광야에 길을 사막에 강을 내리라"(이사야 4318절과 19)

 

이스라엘 전직 농업부 차관이 자기들이 농업입국에 성공할 수 있었던 비결이 토라농법(TORA 農法)을 실천한 덕분이라면서, 이사야서 4318절부터 21절까지를 읽어 보라 하였다. 나는 그 자리에서 성경을 펴고 그 말씀을 읽었다. 내가 본문 성경을 읽고 그를 쳐다보니 그가 찬찬히 일러주었다.

 

먼저 "너희는 이전 일을 기억하지 말라"는 말씀을 농업에 적용하기를 사막에서는 물이 없으니 농업이 안 된다는 이전의 생각, 이전의 사고방식을 버리라는 뜻으로 받아들였다 하였다. 그리고 이어서 나오는 "보라 내가 새 일을 행하리라"는 말씀을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땅에서 새로운 농업을 일으키리라는 말씀으로 받아들였다는 것이다.

 

그들은 그 새로운 농업의 내용을 "광야에 길을 사막에 강을 내리라" 한 대로 사막에 농로를 열고 황무지에 시냇물이 흐르게 하신다는 말씀으로 적용하였다. 그래서 400km에 이르는 수로를 닦아 갈릴리 호수의 물을 끌어들이고, 사막에 트랙터가 다니는 농로를 건설하였다. 그렇게 사막농업을 개척하였다. 그런데 사막 땅에 물을 끌어들여 심은 작물이 얼마 자라다가 성장을 멈추었다. 낙심하여 정부 관리와 농학자, 농민들이 모여 그 원인을 찾기 위해 고심하였다. 연구에 연구를 거듭한 결과 원인을 알게 되었다.

 

사막 토양에 알칼리 성분이 너무 높아 작물 성장이 제대로 되지 않았던 것이다. 토양이 약알칼리 성분일 때 작물이 잘 자라고 열매를 맺는다. 그런데 사막 토양의 성분은 강한 알칼리여서 농작물 성장에 장애가 있는 것이었다. 이에 그들은 뜻을 모아 2가지 연구에 몰두하였다. 첫째는 알칼리 토양성분을 어떻게 중화시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고, 둘째는 알칼리 토양에 적합한 작물이 어떤 것인가 하는 것이었다.

 

 한 그루에 4천 송이가 열리는 포도나무

 

끈기 있는 연구 결과 오렌지가 알칼리 토양에 강한 작물임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높은 품질의 오렌지를 생산할 수 있을까 하는 연구에 몰두하였다. 화학비료를 주고 농약을 치는 식으로는 국제시장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고품질의 오렌지를 생산할 수 없음을 알고, 농약과 비료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오렌지를 재배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그러려면 양질의 퇴비가 생산되어야 하는데 사막에서 퇴비를 구할 수 있는 길이 없었다.

 

 

자파 오렌지

 

끈질긴 연구와 실험 결과 1 ha(3000평) 당 젖소 70마리와 돼지 300마리에서 나오는 퇴비가 필수임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1 ha 당 젖소 70마리와 돼지 300마리를 사육하고, 그 부산물을 발효시켜 오렌지 밭에 뿌려 질 높은 오렌지를 생산하는 시스템을 발전시켰다.

 

내가 몇 해 전 유럽을 여행할 때에 과일가게에 들렀던 적이 있다. 오렌지를 사려하니 스페인산이나 프랑스산에 비해 두 배나 비싼 오렌지가 있었는데, 이스라엘산이었다. 이 오렌지는 왜 이렇게 비싸냐고 물었더니, 가게 주인이 하나 먹어 보라며 맛보기로 주기에 그 자리에서 먹어보았다. 그 맛은 보통 오렌지 맛이 아니라 꿀처럼 단맛이었다. 이스라엘 사막 땅에 내려 비치는 태양열과 퇴비로만 재배한 오렌지는, 다른 나라에서 생산된 것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고품질로 그 만큼 비싼 가격에 팔리는 것이었다.

 

내가 방문한 키부츠에서 딸기 농사를 하는데 딸기를 기르는 밭이 유별났다. 그냥 밭이 아니라 마치 아파트처럼 벽에 층층이 이랑을 만들어 재배하는 방식이었다. 딸기를 왜 이렇게 재배하느냐 물은즉 3가지 이점이 있어 자신들이 발전시킨 재배방식이라 일러 주었다.

 

 

 층층이 딸기

 

첫째는 위에서 물을 주면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물을 절약할 수 있었다.

둘째는 선 자세로 일을 하니 허리가 아프지 아니하고 편하게 일할 수 있었다.

셋째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었다.

 

정부와 학계와 농민이 협력하여 함께 연구하고 실험하고 그 결과를 농가에 보급한 결과, 농업이 불가능할 것 같은 땅에서 농업자립을 이루고 수출까지 할 수 있게 되었다. 이스라엘의 경우를 보면 한국농업이 부진한 것은 부끄러운 일이란 생각이 절

 

2017-09-12

김진홍 webmaster@dureone.org

 

 

*******

 

이사야서 제43장

 

새로운 탈출

 

16   주님께서 말씀하신다. 그분은 바다 가운데에 길을 내시고 거센 물 속에 큰길을 내신 분,

 

17   병거와 병마 군대와 용사들을 함께 나오게 하신 분. 그들은 쓰러져 다시는 일어나지 못하고 꺼져 가는 심지처럼 사그라졌다.

 

18   예전의 일들을 기억하지 말고 옛날의 일들을 생각하지 마라.

 

19   보라, 내가 새 일을 하려 한다. 이미 드러나고 있는데 너희는 그것을 알지 못하느냐? 정녕 나는 광야에 길을 내고 사막에 강을 내리라.

 

20   들짐승들과 승냥이와 타조들도 나를 공경하리니 내가 선택한 나의 백성에게 물을 마시게 하려고 광야에는 샘을 내고 사막에는 강을 내기 때문이다.

 

21   이들은 내가 나를 위하여 빚어 만든 백성 이들이 나에 대한 찬양을 전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