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좋은글

⊙밀가루 두 포대의 기적(奇蹟), 대전 성심당(聖心堂)

Paul Ahn 2024. 5. 26. 18:47

밀가루 두 포대의 기적(奇蹟), 대전 성심당(聖心堂)

(chosun.com)

 

한국전쟁 때 흥남 철수선을 타고 탈출(脫出)한 실향민(失鄕民) 임길순씨가 진해에서 서울로 가려다 열차(列車)에 문제가 생겨 대전(大田)에서 내렸다.

 

생계가 막막하던 그에게 대전 대흥동 성당(聖堂)이 구호물자였던 밀가루 두 포대를 내줬다.

 

임씨는 가족(家族) 끼니를 해결하고 남은 밀가루로 찐빵을 만들어 대전역(大田驛) 앞에서 장사를 시작(始作)했다.

 

나무 간판에성스러운 마음이란 성심(聖心)을 새겨 넣었다. 대전의 명물 빵집, 성심당의 시작(始作)이었다.

 

 

북한을 탈출(脫出)할 때, 임씨는이번에 살아남으면 남은 인생(人生)은 남에게 베풀기 위해 살겠다! 고 다짐했다.

 

임씨는 하루에 만든 빵 중 100개는 이웃에게 나눠줬다.

당일 만든 빵 중 안 팔린 빵은 모두 가난한 이웃에게 나눠주는 성심당(聖心堂)의 전통(傳統)은 이렇게 만들어졌다.

 

지난해 성심당(聖心堂)이 지역사회(地域社會)에 베푼 나눔 빵은 10억 원어치가 넘는다.

직원들은 매일 각지에 보낼 나눔 빵을 포장하며사랑을 체감(體感)한다.

 

가업(家業)을 물려받은 아들 임영진 대표가 1981년 소보로, 앙금빵, 도넛을 합친 듯한튀김 소보로를 개발(開發), 히트를 쳤다.

 

2005년 화재(火災)로 매장과 빵 공장이 모두 소실되는 위기가 찾아왔다. 사장은 장사를 접으려 했지만, 직원들이잿더미 회사, 우리가 일으켜 세우자는 플래카드까지 내걸고 재건(再建)에 나섰다.

 

성심당(聖心堂)은 직원 인사 고과에사랑항목(項目)을 만들어 배점 40%를 주고, 퇴사(退社) 직원에겐재입사 권리를 보장하며 화답(和答)했다.

 

2012년 부친(父親)의 창업지였던 대전역에 분점(分店)을 낸 것이전국구 빵집도약(跳躍)을 이끌었다.

대전(大田)을 방문한 외지인들이 성심당(聖心堂) 빵을 앞 다퉈 사가면서 군산 이성당과 함께전국 2대 빵집반열에 올랐다.

 

하루 내방객이 17000명이 넘는 성심당(聖心堂) 1년에 하루 직원 체육대회(體育大會) 날에만 문을 닫는다.

그날이 되면재난 문자로 휴업 알려주세요! “KTX가 대전역 무정차 통과하게 해주세요! 라는 등의 광()팬들 요청이 소셜미디어를 달군다.

 

성심당(聖心堂)이 지난해 1243억 원의 매출(賣出)을 올려 동네 빵집 최초로 1000억 원을 넘어섰다.

영업이익은 무려 315억 원에 달해, 파리바게뜨(199억 원), 뚜레쥬르(214억 원) 등 대기업 빵집 프랜차이즈를 앞질렀다.

작년에 선보인딸기 시루가 가성비 케이크로 입소문을 타면서 매출(賣出)을 끌어올렸다고 한다.

 

성심당 임 대표 책상 위엔모든 이가 다 좋게 여기는 일을 하도록 하십시오!” 라고 적힌 명패가 놓여 있다.

동네 가게가 대기업(大企業)과의 경쟁에서 이겨 향토(鄕土) 기업이 되고, 지역사회에 선한 영향력(影響力)을 행사하며 문화(文化) 아이콘으로 자리 잡는성심당 모델이 계속 나오면 좋겠다.

 

"성심당(聖心堂) 정말이지 대전(大田)의 자랑거리입니다"

 

김홍수 논설위원

2024.04.22.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