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ail Issue/@Retail Trend

2013년 유통결산 ②생산자·소비자간 농산물 직거래 ‘활기’

Paul Ahn 2013. 1. 1. 14:15

2013년 유통결산 ②생산자·소비자간 농산물 직거래 ‘활기’

http://www.nongmin.com/article/ar_detail.htm?ar_id=226304&subMenu=dsearch&key=2013+유통결산

생산자·소비자간 농산물 직거래 ‘활기’

2013 유통결산
제값 받고 팔고 저렴한 가격에 구입 ‘만족’
로컬푸드직매장 증가·꾸러미사업 급성장
정부, 지속적 발전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도
 농산물 직거래는 복잡한 우리 농산물 유통단계를 축소해 그 비용을 줄일 목적으로 역대 정부에서 다양한 형태로 추진돼 왔다.

 과거 정부의 직거래 추진사례를 보면 김영삼 정부(1993~1997년)에서는 우루과이라운드(UR) 등 시장개방에 대비, 유통비용을 줄여 농가의 소득을 보전한다는 차원에서 직거래가 추진됐다. 김대중 정부(1998~2002년) 들어서는 농산물 유통혁신의 핵심수단이란 관점에서 농산물 직거래가 이뤄졌다.

 그 당시 직거래 유형이 도시 직판장·주말 농어민시장·도농자매결연(김영삼 정부)과 직거래장터·농협 내 직판장·소비자생활협동조합법 제정(김대중 정부) 등으로 구체화되기도 했으나, 이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없어 노무현 정부(2003~2007년)에서는 1사1촌 등 도농교류 사업 수준으로 축소됐다. 또 이명박 정부(2008~2012년)에서도 그 추진동력이 크게 떨어졌다.

 이에 올해 새로 들어선 박근혜 정부는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직거래 지원센터’를 설치하고 ‘(가칭)농산물직거래 활성화에 관한 법’ 제정에 나서는 등 과거 정부와 달리 다양한 형태의 직거래가 지속적으로 성장·발전할 수 있도록 제도화에 역점을 두고 직거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 참여형 직거래와 정보통신기술(ICT) 등과 융합된 새로운 직거래 유형의 발굴과 지원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대표적인 소비자 참여형 직거래 유형인 로컬푸드직매장의 경우 지난해 4월 전북 완주 용진농협에서 첫선을 보인 이후 11월 말 현재 농협과 민간업체를 포함해 35곳이 운영에 들어갔으며, 연말까지 5곳이 추가로 문을 열 예정이다.

 2009년 처음 시작된 꾸러미사업 역시 올 들어 70개에 달할 만큼 급속한 성장세를 보였으며, 올해 5월 시작된 농협의 ‘꾸러미 하나로 서비스’는 3개월 만에 2000여명의 소비자를 확보하기도 했다.

 직거래장터 역시 정부와 농협· 지자체에서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면서 활발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 농산물 전자상거래도 정보통신기술로 무장한 젊은 세대가 속속 뛰어들고 있어 그 미래를 밝게 하고 있다.

 이같이 농산물 직거래가 크게 늘어나는 것은 무엇보다 유통단계 축소로 생산농가와 소비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로컬푸드 직매장의 경우 판매가격이 시중보다 평균 35% 이상 낮고, 이에 참여한 농가들은 최대 200%까지 소득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거래장터 역시 시중보다 30% 정도 싼값에 농산물을 판매해 소비자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다.

 농식품부는 이 같은 농산물 직거래 사업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2014년 중에 관련 법률을 제정해 직거래의 개념을 보다 명확하게 정립하고 ‘우수 직거래 사업자’ 인증제도를 도입해 직거래 취지에 부합하는 사업자의 보호에도 나설 계획이다.

 또 새로운 유형의 직거래의 발굴·육성 등을 통해 현재 4% 수준인 농산물 직거래 비중을 2016년까지 10%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올해 처음 개최해 창의적인 직거래 유형을 발굴하는 데 큰 도움이 된 것으로 평가받는 ‘농산물 직거래 콘테스트’를 내년부터 확대 실시하기로 했다.

 김철웅 기자 cwkim@nong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