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 Issue/@Gen Trend

〔5村2都〕탈도시화 시대의 뉴 비즈니스, 틈새시장 ‘ 주목’

Paul Ahn 2018. 7. 15. 19:46

〔5村2都〕탈도시화 시대의 뉴 비즈니스, 틈새시장 ‘ 주목’

http://magazine.hankyung.com/business/apps/news?popup=0&nid=01&c1=1003&nkey=2012072600869000351&mode=sub_view

 

수도권의 인구가 줄고 있다. 통계청이 올 초 발표한 ‘최근 10년간 수도권 인구 이동’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수도권에서 8000명이 순유출됐다.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428만4000명이 전입한 반면 수도권에서 429만2000명이 빠져나간 결과다. 수도권에서 인구가 순유출된 건 1970년 통계를 작성한 이후 40년 만에 처음이다. 수도권으로의 인구 순유입은 2002년(210만 명) 정점을 찍은 뒤 지속적으로 줄어들다가 지난해 감소세로 반전됐다.

서울에서만 1년 만에 11만3000명이 순유출됐다. 경기도에는 순유입됐지만 규모는 7만6000명으로 전년(14만2000명)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10~2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탈(脫)수도권 바람이 거셌다. 40대에서 1만3000명이 순유출됐고 30대와 50대도 1만2000명씩 줄어들었다. 10대와 20대도 1년 전보다 순유입 강도는 크게 약화됐다.

수도권, 40년 만에 인구 줄어
이와 관련해 이제 본격적으로 한국에서도 ‘탈도시화’를 대비해야 한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도시는 경제성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1970년부터 2009년까지 약 16배 증가했다. 이 기간 동안 도시화율은 40.7%에서 81.7%로 2배 이상 늘어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분석에 따르면 GDP 규모와 도시화율의 상관관계는 1970년부터 2010년까지 0.887이라는 강력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박종규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그간의 정책은 수도권과 대도시에 대한 인구 과밀 해소를 위한 ‘분산 정책’이었다면 이제는 인구 및 산업 유출에 따른 도시 경쟁력 저하의 효과를 함께 따져봐야 할 때가 됐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도시의 경제성에 대한 유명 저서인 ‘오셜리반의 도시경제학’에 따르면 도시의 규모를 2배로 늘리면 노동생산성이 5~10% 정도 늘어난다. 이유는 도시에서는 다양한 인적·물적 자원을 기업들이 공동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의 도시화율은 한계치에 도달한 것으로 분석된다. OECD 국가의 도시화율은 80% 수준에서 정체되고 있는데 한국의 도시화율은 이미 이를 넘어선 81%(월드뱅크 기준)로 분석된다. 특히 정부의 통계 기준에 따르면 한국의 도시화율은 이미 90%를 넘어선다.

이처럼 지칠 줄 모르고 늘어나던 도시 인구가 정체 상태이거나 혹은 줄어들고 있는 이유는 여러 가지다. 박 수석연구원은 “도시화의 한계로 S자형을 그리는 도시 성장이 한계점에 도달해 수도권이나 대도시의 인구 유입력이 약화된 반면 인구 분산 압력은 오히려 커졌다”고 말했다. 여기에 세종시나 혁신도시 등 공공 기관 이전이 가시화되면서 인구 분산을 촉진했다. 또 비용 절감, 쾌적한 근무 환경과 직원의 삶의 질 제고 등을 위해 대도시 기업의 지방 이전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실제로 한국의 정보기술(IT) 기업인 다음과 넥슨은 본사를 제주로 이전했다. 이 밖에 베이비 부머의 은퇴, 기업의 유연 근무제 등도 인구의 탈도시화에 불을 붙이고 있다.

중요한 것은 이제 ‘도시화 시대의 비즈니스’가 아닌 ‘탈도시화 시대의 비즈니스’에 대해 고민해 볼 때라는 점이다.

실제로 도시화가 정체되고 주택 보급률이 100%를 돌파하면서 기존 ‘도시화 시대’의 대규모 택지 개발이나 주택단지 건설과 같은 ‘양적 늘리기’는 이미 한계에 다다랐다. 한국의 주택 보급률은 2002년 100%를 넘어섰고 2011년 말 기준 112.9%에 달한다. 즉 이제는 주택 시장도 ‘틈새시장’을 공략할 필요가 생겼다는 것이다. 박 수석연구원은 “리노베이션, 세컨드 하우스, 타운하우스, 맞춤형 주거 등 주택 시장의 세분화에 따른 틈새시장 공략이 주택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관건”이라고 말했다.

한국에서도 고소득층은 교외의 고급 주택지나 리조트 지역 주택지에 거주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IT의 발전으로 모바일 워킹, 스마트 워킹 등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IT에 능숙한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은 기존 재계 총수들이 선호하던 용산이나 강남 등이 아닌 서판교 지역의 저택에서 살고 있다.

‘5촌2도(5村2都: 평일 업무는 비도시에서 하고 주말에는 도시에 나와 문화나 쇼핑을 즐김)’, ‘5도2촌(5都2村: 평일에는 직장이 있는 도시에서 거주하고 주말은 시골에서 보냄)’의 경향이 늘어남에 따라 멀티 해비테이션(Multi Habitation: 도시와 농촌 등 서로 다른 지역에 각각 집을 마련해 양쪽 모두에 거주하는 형태의 주거)의 경향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증가하는 빈집을 활용하는 리로케이션(Relocation) 서비스에서도 새로운 비즈니스의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리로케이션 서시스는 임대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종합적으로 편의를 봐주는 비즈니스다. 해외에서는 주로 전근자 상대의 생활 관련 종합 서비스로, 빈집 관리와 임차인 알선, 증·개축 및 수리는 물론 부임지까지 이삿짐을 날라 주고 각종 통신 판매를 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를 해 준다. 국내에서도 주한 외국인이나 해외로 전근하는 사람을 상대로 리로케이션 서비스를 하고 있지만 탈도시화가 가속화되면 훨씬 다양한 분야에 이를 응용할 수 있다.

이미 귀농·귀촌을 원하는 사람에게 빈집을 찾아주는 사업이 공공·민간 부문 할 것 없이 활발하다. 나아가 주말농장을 찾는 이들을 위한 편의 시설로 빈집을 제공하는 방안도 나온다. 이미 우리보다 탈도시화가 빨리 진행된 일본은 리로케이션 서비스가 일찌감치 발달했다. 기업들이 장기 불황으로 현금화를 위해 지방 근무자를 위한 ‘사택’을 팔고 리로케이션 서비스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IBM·지멘스, 도심 재생 사업 진출
이보다 좀 더 눈을 넓혀 보면 최근 눈길을 모으고 있는 ‘도심 재생 사업’에서도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탄생할 수 있다. 도심 재생 사업은 탈도시화 현상으로 공동화되고 있는 도심을 종전의 주거·상업 등 단일 기능이 아닌 을 복합 기능 도시 개발로 탈바꿈시켜 유동인구와 대기업을 유치하는 사업이다. 일본의 도쿄미드타운, 롯폰기힐스 등이 대표적인 도심 재생 사업이다.

이와 관련, 박 연구원은 “도심의 기능 회복을 위한 ‘압축 도시(Compact city)’ 건설, 기존 도시의 인프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스마트 시티’의 수익 모델을 발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압축 도시는 도시 중심부에 초고층 빌딩을 밀집시켜 별도의 교통수단 없이도 주변 편의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도시 개발 방식을 뜻한다.

미국 대도시나 홍콩 도심부가 대표적인 예로, 개발 면적을 최소화하고 교통량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스마티트 시티는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해 주요 도시의 공공 기능을 네트워크화한 이른바 똑똑한 도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영상회의 등 첨단 IT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첨단 도시다.

글로벌 기업인 IBM이나 지멘스·시스코 등은 이 부문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IBM은 자사의 ‘스마트 시티 챌린저’ 프로그램을 통해 지능형 도시 인프라 분야의 기술 자문과 솔루션을 제공하는 맞춤형 스마트 시티 사업에 진출했다. 일례로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와 중국의 충칭은 IBM의 솔루션을 활용해 ‘스마터 시티 지능형 운영센터’라는 도시 관제센터를 도입했다.

이곳은 기상정보는 물론이고 시민들의 움직임과 주요 행사 일정 같은 종합적인 정보를 파악한 뒤 이를 분석하는 새로운 형태의 관제탑 역할을 하고 있다.

또 한국지멘스 역시 작년 말부터 인프라&도시 사업 부문을 신설했다. 이 회사는 도시 내 지속 가능한 운송, 환경보호 및 에너지 절약을 위한 친환경 솔루션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시스코 역시 뭄바이 외곽에서 ‘e-시티’로 불리는 녹색 단지 개발 사업을 추진 중이다.

박강아 삼성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도심 재생은 기업에 지속적인 사업 기회를 제공한다”면서 “전력·용수·교통 등의 인프라 관련 사업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선진국의 도시 인프라 시장만 해도 매년 1조6000억 달러(OECD) 이상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강조했다.

이홍표 기자 hawl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