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시장〕북한의 대표적인 종합시장
최대 규모의 도·소매 상품이 유통되는 평양 인근의 @평성시장,
2003년 8월 현대식 시장으로 개장된 @통일거리,
@중앙시장 등이 있다.
지방에는 황해북도 @사리원시장과
중국 수입품의 유통 경로인 신의주 @채하시장,
중국 상인이 거래할 수 있는 함경북도 @회령시장 등이 있다.
하루 10만명 이용하는 北 장마당 어딘가 하니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20209500006
거슈먼 NED회장 “돈으로 자리까지 거래 북한판 시장경제 진화”
북한이 2009년 화폐개혁 실패 후 장마당(시장) 통제를 완화하면서 하루 유동 인구가 10만명에 이르는 초대형 장마당이 등장한 것으로 파악됐다. 또 장마당 상인끼리 돈으로 자리를 거래하는, 남한의 ‘권리금’과 유사한 현상이 나타나는 등 북한판 시장경제의 진화가 목격되고 있다.
▲ 평안북도 운산군 장마당
사진=주진조선/노컷뉴스
미국 국립민주주의기금(NED) 산하 연구소가 북한 내 50개 장마당을 조사한 결과 적어도 2개의 장마당이 하루 최고 10만명이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8일 전했다.
칼 거슈먼 NED 회장은 “북한에 있는 50개 장마당의 위치와 규모, 거래되는 물품의 종류 등을 조사해 보니 상품뿐 아니라 정보가 교환되고 소통이 이뤄지고 있었다.”면서 “장마당을 북한판 시민사회의 시작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국내 정보당국이 파악 중인 북한 내 장마당은 300개 안팎이다. 대도시의 경우 구역마다 1개씩, 군 단위에는 1~2개가 설치돼 있다. 북한의 대표적 시장으로는 최대 규모의 도·소매 상품이 유통되는 평양 인근의 평성시장, 2003년 8월 현대식 시장으로 개장된 통일거리, 중앙시장 등이 있다. 지방에는 황해북도 사리원시장과 중국 수입품의 유통 경로인 신의주 채하시장, 중국 상인이 거래할 수 있는 함경북도 회령시장 등이 있다.
이에 대해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 당국이 전력난 등으로 오후 2시부터 7시까지 시장 영업을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상황에서 하루 10만명이 이용하는 대규모 장마당이 존재할 수 있을지 의문스럽다.”고 말했다.
북한은 2002년 7·1 ‘경제관리개선조치’와 2003년 5월 ‘종합시장운영조치’ 등을 통해 시장 활동을 합법화시켰다. 시장 경제의 확대로 체제 위기가 커지자 북한 당국은 2009년 7월 평성시장을 폐쇄하고 같은 해 11월 화폐개혁을 실시하며 통제를 강화했다.
홍익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북한의 경우 기관이 종합시장을 운영하지만 간혹 개인에게 돈을 받고 영업권을 할당하는 경우가 있고 자본주의적 성격도 가미되고 있다.”면서도 “여전히 계획경제의 보완을 위해 시장을 활용하는 수준이고 당국의 통제 범위 내에서 시장 경제를 용인하는 정도에 머물고 있다.”고 말했다.
2012-02-08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Retail Issue > @Retail Tr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화점〕'급'이 있는 평양의 백화점들 (0) | 2019.06.12 |
---|---|
〔백화점〕북한 백화점의 뜻밖의 모습. (0) | 2019.06.12 |
〔장마당〕북한의 농민시장 (0) | 2019.06.12 |
〔장마당〕 “北 장마당, 10년새 2배로 늘어… (0) | 2019.06.12 |
〔유통〕북한의 상품유통 실태 (0) | 2019.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