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nefit/⊙Common sense 469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 CM)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 CM)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1XXXXXXX825 발주자의 대리인으로 사업성 검토, 설계와 시공부터 감리까지 맡아주는 ‘기술용역업’을 말한다. 미국은 공공기관의 만성적인 공기 지연과 예산초과를 바로잡기 위해서 1960년에 건설사업관리를 처음 도입했고, 한국은 삼풍백화점과 성수대교 붕괴 등으로 건설산업 불신 문제가 커진 후인 1997년에 도입했다. 건설사업관리사는 의뢰인에게 일일이 건설 과정을 공개하기 때문에 투명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CM협회의 정의 http://www.cmak.or.kr/html/cmdata/cm1.asp [CM의 정의] *건설산업기본법에서의 정의(제2조 8호) : '건설..

⊙녹시율(綠視率, Index of Greenness)

⊙녹시율(綠視率, Index of Greenness) https://ko.wikipedia.org/wiki/%EB%85%B9%EC%8B%9C%EC%9C%A8 녹시율은 '일정 지점에 서 있는 사람의 시계(視界)내에서 식물의 잎이 점하고 있는 비율'을 말한다. 기존에 사용되는 녹지율이 평면적이고 수평적인 한계를 극복하고자 일본에서 개발된 개념이다. 가로 녹시율 산출방법은 우선적으로 대상지 내 가로 유형별로 대표성을 가지는 표본지를 선정한 후, 각 표본지에서 50mm 표준렌즈를 장착한 일안반사식 디지털카메라를 사용하여 가로 중용에 서서 1.5m 내외의 눈높이에서 가로의 소실점을 사진 중앙에 위치시킨 입면 가로경관 사진을 촬영하고, 이 사진에서 사진 전체 면적 중 살아 있는 식물 잎의 영상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

⊙제안요청서(RFP, request for proposal)

⊙제안요청서(RFP, request for proposal) 제안요청서(RFP, request for proposal)는 발주자가 특정 과제의 수행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함으로써 제안자가 제안서를 작성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문서이다. 제안요청서에는 해당 과제의 제목, 목적 및 목표, 내용, 기대성과, 수행기간, 금액(Budget), 참가자격, 제출서류 목록, 요구사항, 제안서 목차, 평가 기준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 제안요청서는 시스템 설계에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해 나중에 사용자의 제안이 잘 실행되고 있는지 판단하기 쉽게 만든다. 제안요청서를 만들면 현재 판매 회사의 상황을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예비타당성조사(PFS :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豫備妥當性調査)

⊙예비타당성조사(PFS :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豫備妥當性調査)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201XXX1903001 예비타당성조사는 정부의 재정지원이 포함되는 대규모 신규 사업에 대해 경제성, 재원조달 방법 등을 검토해 사업성을 판단하는 절차다. 선심성 사업으로 인한 세금 낭비를 막기 위해 1999년 도입했다. 타당성조사가 주로 기술적 타당성을 검토하는 반면, 예비타당성조사는 경제적 타당성을 주된 조사대상으로 삼는다. 총사업비가 500억원 이상이면서 국가재정 지원 규모가 300억원 이상인 건설사업, 정보화사업,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이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이다.

⊙PQ(Prequalification) / 입찰자격사전심사제, 적격심사

⊙PQ(Prequalification) / 입찰자격사전심사제, 적격심사 부실공사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입찰전에 미리 공사 수행능력등을 심사하여 일정수준이상의 능력을 갖춘 자에게만 입찰에 참가할 자격을 부여하는 제도. 면허등 기본적인 자격만 있으면 입찰에 참가할 수 있는 일반적인 정부 공사 입찰과는 달리 일정한 요건을 갖춘 업체를 미리 심사해 최종입찰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정부는 불필요하게 많은 업체가 응찰해 과당경쟁으로 인한 덤핑입찰 및 이에 따른 부실공사를 사전에 방지하고, 건설시장 개방 때 주요공종에 대한 업체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1993년 7월부터 댐·고속도로·항만·지하철 등 14개 공종의 공공 공사 중 공사비가 1백억원 이상인 공사에 대해 이 제도를 적용하고 있다. 현행 PQ(P..

⊙PM(Property Management), FM, AM

⊙PM(Property Management), FM, AM 부동산관리회사는 무슨 일을 할까?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memberNo=38249019&volumeNo=10214603 부동산이 재산 증식의 주요 수단으로 자리매김하면서 부동산관리의 중요성도 날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덩달아 부동산관리회사도 급증하고 있는데요. KT에스테이트에서 부동산관리회사의 역할과 부동산관리의 기본 용어인 PM · FM· AM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세계에서 임대료가 가장 비싼 곳은 어디일까요? 지난 2014년 글로벌 부동산컨설팅사인 쿠시먼앤웨이크필드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 뉴욕 맨해튼 중심지가 1㎡당 3,000달러로 임대료가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뒤를 홍..

⊙딱지(대토권, 이주자택지 등)

⊙딱지(대토권, 이주자택지 등) @대토권 공익사업에 따라 수용되는 토지의 보상금을 현금대신 “개발 이후의 땅”으로 보상해 주는 땅 - 토지소유자가 희망할 경우 상업용지, 단독주택용지, 공동주택용지 등을 받을 수 있음. - 대토를 위한 보상금은 “일반 분양가격”을 기준으로 희망자에 한해 1인당 주택용지는 330㎡, 상업용지는 1,100㎡ 이내에서 받을 수 있으며, 보상금액이 이를 초과하는 경우 나머지는 현금으로 지급됨. - 사업시행자가 사업계획 등을 고려해 대토보상이 가능한 면적의 한도를 정하고 보상하기 때문에 1인당 받을 수 있는 한도까지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음. @이주자 택지 - 토지공사 등이 택지개발지구로 지정해 사업을 시행하면서 지구 내에서 토지나 주택을 제공함으로써 생활근거지를 잃어버린 ..

⊙BTO. BOT. BOO. BTL

⊙BTO. BOT. BOO. BTL http://pimac.kdi.re.kr/about/private.jsp •BTO(Build-Transfer-Operate) 방식 : 건설 ▷ 양도 ▷ 운영 / 민자도로 민간이 민간의 자본으로 건설한 뒤 제반 시설,건축물 등을 국가나 지자체에 소유권 이전한 뒤에 일정한 기간 동안 직접운영 하여 투자비를 회수한다 시설의 준공과 동시에 해당 시설의 소유권이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귀속되며, 사업시행자에게 일정기간의 시설관리운영권을 인정하는 방식 BTO 방식에는 사업별 특성에 따라 투자위험을 전적으로 사업시행자가 부담하는 형태(일반적 BTO 사업)와 주무관청과 사업시행자가 분담하는 형태(위험분담형 BTO 사업)로 구분함. 일정기간이 지나면 국가에서 운영하게 되며 주로 민자..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심리 및 행태 변화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심리 및 행태 변화 https://www.digieco.co.kr/ https://www.digieco.co.kr/ www.digieco.co.kr 코로나19가 본격화된 2월 이후, 오름세로 돌아섰던 소비지출 전망지수가 다시 크게 하락하는 등 소비심리의 위축이 나타났다. 특히, 여행비, 문화/오락/취미비, 외식비, 내구재 구입비 부문에서 큰 하락폭을 보였다. 5월 들어 재난지원금 등의 영향으로 소비심리가 소폭 반등했으나,정부의 경기부양책에 따른 일시적인 효과일 가능성이 커 한치 앞도 내다보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한편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구매 비중이 처음으로 60%를 넘어서는 등 소비자의 상품구입형태 또한 오프라인 중심에서 온라인 중심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또한 구입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자영업 시장의 변화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자영업 시장의 변화 https://kbfg.com/kbresearch/vitamin/reportView.do?vitaminId=2000163 코로나19 확산으로 고강도 사화적 거리두기가 장기화되고 사람들의 외부활동이 크게 줄어들면서 일상에도 많은 변화가 발생 •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다양한 활동을 집 안에서 해결하는 홈코노미 트랜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업무, 학습, 운동, 뷰티, 취미활동 등 활동의 종류와 범위도 크게 확대 • 외부 활동이 줄어들면서 직접 매장을 방문하지 않고 온라인으로 제품을 구매하는 언택트소비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온라인화가 더디게 진행되던 농축수산물, 음·식료품의 온라인 거래도 크게 증가, 자영업시장에서는 매출감소로 어려움이 커지고..

⊙제레미 아이언스 (Jeremy Irons) / England 1948 ~

⊙제레미 아이언스 (Jeremy Irons) / England, 1948 ~ https://en.wikipedia.org/wiki/Jeremy_Irons •Born : 19 September 1948, Cowes, Isle of Wight, England •Nationality : British Jeremy John Irons (1948년 9월 19 일 출생)는 영국 배우이자 활동가입니다. Bristol Old Vic Theatre School에서 고전 교육을 받은 후 Irons는 1969년 무대에서 연기 경력을 시작했으며 셰익스피어 연극 The Winter 's Tale, Macbeth, Much Ado About Nothing, The Taming of the Shrew와 Richard II. 198..

⊙디지털 사이니지 / 무인주문 키오스크, 아웃도어 사이니지

⊙디지털 사이니지 / 무인주문 키오스크, 아웃도어 사이니지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0051801277000461 -접촉 없이 정보 알려주는 ‘디지털 사이니지’- 패스트푸드점에서 무인 주문을 할 수 있는 키오스크부터 지하철 승강장의 안내도까지…. 최근 디지털 사이니지가 우리 생활 곳곳에 파고들고 있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전 세계적인 유행으로 대면에 대한 공포가 만연하면서 향후 디지털 사이니지의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2월 서울 지하철 90개 역사에 스마트 사이니지 4218대를 설치했다.(/삼성전자) 디지털 사이니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영상이나 정보를 표시하고 관제센터에서 내용을 ..

⊙재미있는 상식

⊙재미있는 상식 01. 코카콜라의 비밀? 코카콜라 비밀을 아는 사람은 전세계에서 단 2명 뿐이다. 원래는 7명이었으나 5명은 죽고 2명만 남은 것인데 설탕, 탄산수, 캐러멜, 인산, 카페인,쓰다 남은 코카잎과 콜라콩을 혼합한 것이나, 1%가 밝혀지지 않아 수많은 화학자가 80년 이상 노력했으나 헛수고였다. 이 두 사람도 죽거나 비밀을 잊어 버리게 되면 조지아 신탁은행에 비밀문서를 개봉한다. 그러나 미 약물관리국은 특정한 주원료제품은 밝히지 않아도 된다는 규정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결코 알지 못하게 될 것이다. 02. 샴페인 샴페인 잔에 떨어진 건포도는 잔 안에서 뜨고 가라앉기를 계속한다. (여러분도 한번 해 보세요.) 03. 로열티 세계에서 가장 많이 불려지는 노래는'Happy birthday to y..

⊙일본 제품 불매운동 1년…맥주·담배·車 수입 ‘뚝~’

⊙일본 제품 불매운동 1년…맥주·담배·車 수입 ‘뚝~’ http://www.cnews.co.kr/ 올 7월 기준 소비재 수입액 2.5억달러…전년보다 23.4% 감소 지난해 7월 일본의 대(對)한국 수출규제 조치로 1년간 일본제품 불매 운동이 일어나 맥주와 승용차 등 일본산 소비재 수입액이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더불어민주당 김영배 의원이 관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 일본산 소비재 수입액(잠정치)은 2억5257만달러로 1년 전보다 23.4% 감소했다. 일본산 소비재 중에도 맥주와 담배, 승용차 등의 수입이 특히 급감했다. 일본산 맥주 수입액은 68만5000달러로 1년 전보다 84.2% 줄었다. 5월(-87.0%)과 6월(-96.4%)에 이어 상당폭의 감소세가 계속되고 있다..

⊙국민대차대조표 결과(2019년)

⊙국민대차대조표 결과(2019년)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bSeq=&aSeq=383980&pageNo=2&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 담당부서 : 통계청 소득통계과 게시일 : 2020-07-21 □ 2019년말 현재 우리나라의 국민순자산(國富)은 전년에 비해 1,057.7조원(+6.8%) 증가한 1경 6,621.5조원 (국내총생산(1,919.0조원)의 8.7배) ㅇ 비금융자산(순자산의 96.5%)이 1경 6,041.5조원을 기록한 가운데 금융자산(1경 7,213.1조원)에서 금융부채(1경 6,633.1조원)를 뺀 순금융자산*(순..

⊙어면순(禦眠楯) / 성(性)풍속 이야기책

⊙어면순(禦眠楯) / 성(性)풍속 이야기책 (injurytime.kr) 한 번쯤 이완해보자는 차원서 기록 벼슬 물러나 고향서 모은 이야기들 선비답게 교훈적 생각 저변에 깔아 우리는 학창시절부터 『고금소총』 등을 통해서 옛사람들의 다소 진한(?) 우스갯소리를 보고 들어왔다. 19세기 후반에 출판된 것으로 알려진 이 고금소총에도 포함되어 있는 『어면순(禦眠楯)』을 지은 송세림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어면순은 ‘밀려오는 잠을 막는 방패’라는 뜻이다. 그러니까 이 책은 잠을 쫓아낼 만큼 재미있는 내용이 담겨있다는 것이다. 어면순 외에도 이러한 성격으로는 『태평한화골계전』·『어수록』·『촌담해이』 등이 있다. 송세림의 성 풍속 소담집인 [어면순]. 출처=민족문화대백과 그러면 먼저 송세림이 누구인지 알아보자..

⊙언택트 헬스케어 / 원격진료, 건강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언택트 헬스케어 / 원격진료, 건강 관리 웨어러블 디바이스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0051801277000471 -‘언택트 헬스케어’ 전쟁…원격진료·웨어러블 등 주목- ‘소 잃고 외양간 고치면 늦는다.’ ‘죽은 뒤에는 고칠 수 없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예측·예방 의학이 주목 받고 있다. 코로나19가 종식된다고 하더라도 언제, 어떻게, 어떠한 바이러스가 발생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평소 자신의 건강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다는 인식을 갖게 됐다. 특히 코로나19에서 나타났듯이 건강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사이에서 치사율의 차이가 크게 나면서 이러한 현상이 더욱 도드라지고 있다. 이에 헬스케어 ..

⊙프리미엄 HMR / 파인 다이닝 메뉴, 1인용 개식형(個食型)’ 제품

⊙프리미엄 HMR / 파인 다이닝 메뉴, 1인용 개식형(個食型)’ 제품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0051801277000481 -줄서는 맛집보다 ‘집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식(食)문화’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고 있다. 바깥 외출을 자제하게 되면서 식당이 아닌 집에서 식사를 즐기는 이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고 자연히 ‘집밥’이 다시 대세로 떠오른 것이다. 현재 식품업계 내부에서는 이 같은 흐름에 주목하며 새롭게 출시할 신제품의 방향을 잡는 데 주력하는 모습이다. 그렇다면 과연 식품업계에서 전망하고 있는 향후 집밥 트렌드는 무엇일까. 업계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무엇보다 큰 특징으로는 ‘프리미엄 가정간편식(HMR..

⊙서비스 로봇(Service Robot) / 조리, 배달, 청소, 방범

⊙서비스 로봇(Service Robot) / 조리, 배달, 청소, 방범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0051801277000531 -조리부터 티켓 확인에 순찰까지…진화- 식당에서 음식을 조리하고 영화관에서 티켓을 확인한다. 사람이 아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국내에 등장한 사람을 대신하는 서비스 로봇이다. 이른바 ‘언택트’,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이런 로봇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사람들의 반응도 좋다. 서비스의 질도 나쁘지 않고 로봇을 보는 재미까지 쏠쏠하다. 코로나19 사태 이전만 해도 이러한 서비스 로봇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은 부정적이었다. 사람들의 일자리를 빼앗는다는 인식이 강했다. 하지만 ..

⊙디뮤지엄(D-Museum) / The Show Must Go On

⊙디뮤지엄(D-Museum) / The Show Must Go On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0051801277000711 -예술 감상의 혁신’ 언택트 뮤지엄·공연 시대- 디뮤지엄이 선보인 온라인 전시 투어 중계에 약 2만 명이 몰렸다. 기획전시 마지막 주 관람객 수와 맞먹는 숫자다. 문화 콘텐츠 생산과 소비의 새로운 방식으로 ‘언택트(비대면)’ 키워드가 떠오르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집 안에서 즐길거리를 찾는 호모루덴스(놀이하는 인간)가 늘어나면서다.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세로 전국의 박물관과 주요 공연장은 한동안 문을 닫아야 했지만 문화계 종사자들은 활동 무대를 온라인으로 옮겨 창작 활동을 지속했다. 세계적인..

⊙스마트 건설 기술 / 머신 컨트롤 기술, 다관절 로봇 기술, 모듈러 공법

⊙스마트 건설 기술 / 머신 컨트롤 기술, 다관절 로봇 기술, 모듈러 공법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0051801277000511 -인공지능이 설계하고 로봇이 벽돌 쌓고…확산되는 스마트 건설- 건설 산업은 대표적인 현장과 인력 중심의 산업이다. 사람이 현장에 직접 나가 벽돌과 철근을 나르고 쌓아 올려 건물을 짓는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이런 현장과 인력 중심의 건설 산업에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건설 현장이 폐쇄되고 인력 이동이 제한되면서 ‘탈현장화’, ‘탈인력화’는 이제 생존을 위한 필수 요건이 됐다. 현장에 직접 나가지 않아도 3차원(3D) 프린팅, 건설 정보 모델링(BIM), 빅데이터·..

⊙스마트 팩토리 / 포스코ICT

⊙스마트 팩토리 / 포스코ICT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0051801277000731 -제조업 생산성 높일 ‘비밀병기’ 된 스마트 팩토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생산성 향상이 이슈가 되고 있다. 제조업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주목받는 솔루션이 바로 스마트 팩토리다. 스마트 팩토리는 제조업 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을 통합해 기업의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첨단 지능형 공장을 말한다. 스마트 팩토리 시장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시장 조시 기관 마켓앤드마켓에 따르면 2019~2024년 글로벌 스마트 팩토리 시장 규모는 1537억 달러에서 2448억 달러로 늘어나며 연평균 성장률은 9.7%에 이른다..

⊙노년의 체취를 없애는 방법

⊙노년의 체취를 없애는 방법 http://www.hidoc.co.kr/news/healthtoday/item/C0000295833 나이가 들면서, 즉 신체가 노화하면서 체취가 변하고 심해지는 것을 ‘노화체취’라고 한다. 흔히 홀아비 냄새라고 하는 특유의 체취는 '노네날'이라는 성분이 원인으로 신체 지질에 증가하는 지방산, 9-헥사데센산이 산화하고 분해되면서 생성된다. 홀아비 냄새라고 하지만 폐경기 여성에게도 노화체취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성호르몬 감소와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신진대사가 활발한 시기에는 체내의 배출 대사가 원활하지만 노화에 따라 각종 대사 기능이 저하되면서 체외로 배출되어야 할 각종 노폐물이 축적되는 것 역시 노인 냄새의 원인이 된다. 자신의 체취는 스스로 인지하기가 힘들고..

⊙안티 바이러스 섬유 / 이랜드, 신성통상, 그루텍스

⊙안티 바이러스 섬유 / 이랜드, 신성통상, 그루텍스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0051801277000421 -세균 막는 원단으로 승부수 던진 패션업계- ‘바이러스를 막아라.’ 컴퓨터 백신 이야기가 아니다. 패션·섬유 업체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기점으로 안티 바이러스 소재 개발에 열을 올리면서 나오는 말이다. 이미 많은 패션·섬유 업체들은 연구·개발(R&D)을 통해 ‘향균’에 특화된 다양한 특수 원사를 만들고 이를 옷의 원단으로 사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물론 아직까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박멸할 수 있는 섬유가 개발된 상황은 아니지만 바이러스가 옷에 묻었을 때 기생하는 각종 세균의 서식을 억제하고 탈취하..

⊙해외병원 건설 / 쌍용건설

⊙해외병원 건설 / 쌍용건설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0051801277000411 -‘K방역’의 최전선,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형 의료시설 - “당장의 일거리는 줄어들었지만 또 다른 기회가 오고 있다.” 국내 건설사 한 임원의 말이다. 이 임원이 지목한 기회는 ‘해외 병원 건설’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으로 해외 신규 발주가 줄줄이 연기되면서 해외 건설 시장이 크게 위축된 상황이지만 코로나19를 한국이 잘 극복하면서 ‘한국형 의료 시설’에 대한 세계 각국의 관심이 높아졌다는 설명이다. 국가 지정 음압격리병실이 설치된 울산대학병원의 의료진 모습./ 연합뉴스 벌써부터 일부 국가에서는 한국 병원 시설의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