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nefit/⊙Common sense 485

⊙김영란법

'김영란법' 이후, 관련업종 10곳 중 4곳 매출 감소…"서민경제에 부정적"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1214_0014580776&cID=10433&pID=10400 한국행정연구원 설문…농축산화훼업·식품접객업·유통업 순 타격 전체 국민 85.1%는 김영란법 '긍정적'…서민경제엔 부정적 51.1% 식품접객업, 유통업, 농수축산화훼 3개 업종 사업체 10곳 중 4곳 이상이 '김영란법' 시행 후 매출이 감소했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한국행정연구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가 2016년 11월 9일부터 11일까지 이들 3개 업종 612명을 대상으로 법 시행이 사업체 매출에 연관성이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있다'는 응답은 43.6%(대체로 있다 ..

⊙남성이 이끄는 ‘타징지’(他經濟)

⊙남성이 이끄는 ‘타징지’(他經濟) 中 남성 소비력 재조명 http://www.globalwindow.org/GW/china/trade/all-all/ - 중국 온라인 시장에서 남성 소비력은 여성을 상회 - - 20·30·40대와 고소득층이 주력 남성 소비군 - - 남성 패션, 화장품, 스포츠, 헬스케어 등 산업 호황 예상 - 자료원: 칸차이왕(砍柴网) 남성이 이끄는 ‘타징지’(他經濟) ○ 최근 남성들이 여성 못지않은 소비 주축으로 떠오르면서 중국에서는 남성 소비력을 의미하는 ‘타징지’(他經濟)가 부상 - 타징지(他經濟)란 남성(他)경제를 의미함. 지금까지 주목 받았던 여성소비, ‘타징지(她经济)’에 대응되는 개념임. - 이는 남성들의 자아의식 각성, 가치관 재형성, 소비심리 변화 등으로 인해 일어난 경..

⊙2015년 귀속 경비율 고시

2015년 귀속 경비율 고시 2015년 귀속 경비율(국세청고시 제2016-9호).hwp 「소득세법」제80조제3항 단서, 같은 법 시행령 제143조제3항, 제145조제3항의 위임에 따라 소득금액의 추계결정 또는 경정을 하는 경우에 적용할 경비율을 다음과 같이 정하여 고시합니다. 2016년 3월 29일 국 세 청 장 제1조(목적) 이 고시는「소득세법」제80조제3항 단서, 같은 법 시행령 제143조제3항, 제145조제3항에서 국세청장에게 위임한 소득금액의 추계결정 또는 경정을 하는 경우에 적용할 경비율을 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범위) 이 고시는 2015년 귀속 소득금액을 추계결정․경정하는 경우에 적용한다. 제3조(단순경비율 및 기준경비율) 국세청장이 해당 과세기간(2015년 귀속)에 적용할 단..

⊙가처분소득 정체의 5대 특징과 시사점 / HRI, 2018년 ★

⊙가처분소득 정체의 5대 특징과 시사점 / HRI, 2018년 ★ http://hri.co.kr/board/reportView.asp?numIdx=30014&firstDepth=1&secondDepth=1 가처분소득 정체의 5대 특징과 시사점 20182216.pdf 국내 경제가 수출 중심 성장에서 벗어나 내·외수 균형 성장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낮아지고 있는 가계 소득 증가율을 높여야 한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2006년부터 지속해서 경제성장률을 밑돌고 있다. 부진한 가계의 소비를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소득 확대가 중요하다. 가계 소득 증가를 통해 소비지출 확대, 기업 매출 증가, 고용 확대로 이어지는 내수 활성화의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 가계의 가처분소득 증가율이 낮아..

⊙남성 갱년기

한국 중년남성이 느끼는 가장 큰 갱년기 증상 http://media.daum.net/press/newsview?newsid=20121029093813186 앞으로 한국의 40대 이상을 상대로 사업을 할 때는 '힐링'에 관심을 보여야 할 것 같다. 한국트렌드연구소(김경훈 소장)가 발표한 2013년 10대 트렌드 첫 번째 거죽을 뒤집어 쓴 청년이라는 거품청년(40대에서 60대까지 한국의 중년을 지칭)들을 대상으로 갱년기에 가장 크게 느끼는 증상은 무기력으로 조사됐다. 한국트렌드연구소가 2012년 10월 8일부터 18일까지 40대부터 60대까지 남성 294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등을 통해 조사 분석한 결과다. 조사 결과를 보면 남성들이 꼽은 갱년기 증상은 97명이 무기력감(33%). 그 뒤를 67명이 비만 및 ..

⊙런웨이(Run Way) / 패션쇼 현장

⊙런웨이(Run Way) / 패션쇼 현장 런웨이는 언제나 가장 최신의 패션트렌드를 보여주는 곳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이제 패션쇼는 단지 패션트렌드 뿐만 아니라 새로운 테크트렌드를 보여주는 곳으로서 더욱 거듭나고 있다. 런웨이의 가장 앞에서 강렬한 프레쉬를 터트리며 스틸 컷을 찍던 포토 그래퍼들은 이제 360도 파노라마 카메라와 영상기와 드론을 조정해 촬영해 현장을 더욱 실감나게 전달한다. 또한 런웨이의 모델들은 LED빛을 내는 웨어러블 의상을 입거나 3D프린팅으로 제작된 옷을 입고 런웨이를 워킹한다. 관객석에 앉아 있는 패션 블로거(패션 인플루언서)들은 패션쇼 현장을 바로 그들의 팔로워에게 공유한다. 패션 브랜드 역시 자신의 브랜드 신상품을 보여주고 소셜미디어나 이커머스를 통해 바로 구매하는 것을 유도한..

⊙상술의 귀재 개성상인

⊙상술의 귀재 개성상인 개성상인은 이익을 독식하지 않는다 (retailing.co.kr) 개성(開城)은 473년 동안 고려 왕조의 수도였다. 옛 지명은 송악(松岳)이었는데 ‘서울을 열었다’는 뜻을 담아 개경(開京)이라 칭하였다. 조선 시대 개성은 옛 도성뿐 아니라 예성강과 임진강 사이의 넓은 지역을 아울렀다. 개성상인은 이곳에서 일어나 전국을 주름잡으며 한국사에 굵직한 발자취를 남겼다. 고려는 상업을 중시하고 상인을 우대하는 나라였다. 창업자의 내력부터 그러했다. 태조 왕건의 집안은 서해를 누비던 해상 세력으로 중국과 무역을 통해 기반을 닦았다. 상인의 피가 온나라에 돌았다. 고려 시대 개성은 국제적인 상업 도시로 번영했다. 중국과 일본은 물론 멀리 아라비아에서 온 배들이 예성강 입구의 무역항 벽란도를 ..

⊙수상운송으로 흥한 경강(京江)상인

⊙수상운송으로 흥한 경강(京江)상인 (retailing.co.kr) 조선시대에도 유효했던 물류의 힘 역사적으로 운송은 상거래의 성패를 좌우했다. 때와 장소에 맞게 상품을 집하하고 분산하는 일은 가격, 매출, 이윤 등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상업유통의 발전은 배에 화물을 싣고 바다와 강을 누비는 수상 운송이 이끌었다. 물길을 따라 상품 화폐 경제가 전국적으로 확산됐다. 그 중심에 경강상인이 있었다. 경강(京江)은 오늘날의 한강을 말한다. 조선의 도읍 한양을 일으킨 강, 그러나 조선 전기만 해도 경강은 고요히 흘렀다. 세곡선(稅穀船)이 조세로 거둔 곡식을 싣고 용산과 서강 포구를 드나들었지만 대체로 한적했다. 경강 백성들은 연안에서 농사를 지으며 먹고 살았다. 개중에는 뱃사람들도 있었다. 나룻배 띄워..

⊙일제강점기에 조선 상권 지킨 박흥식

⊙일제강점기에 조선 상권 지킨 박흥식 종로에서 일본 자본과 겨뤄 백화점 시대 열다 (retailing.co.kr) 1930년대 일본 백화점들의 득세 속에서 박흥식은 화신백화점을 열어 일본 상권의 종로 진출을 막고자 했다. 일본에서 직접 물건을 들여오고 통 크게 사은행사를 벌여 조선 4대 백화점이 됐으나 광복 후 친일파로 지목되는 등 그의 시대는 저물었다. 결국 1980년 부도를 맞아 역사의 뒤안으로 사라졌다. 1930년대 경성(서울)에 백화점 열풍이 불어 닥쳤다. 사람들은 형형색색의 근대를 전시하는 쇼윈도를 통해 백화점 안으로 빨려 들어갔다. 패션, 화장품, 귀금속, 시계, 카메라, 전화기 등 고급스럽고 이국적인 명품들이 남녀 고객들을 유혹했다. 자녀를 데리고 온 가족 단위 손님들은 엘리베이터를 타고 한..

⊙조선의 거상 임상옥(林尙沃)

⊙조선의 거상 임상옥(林尙沃) 장사꾼이 손해를 감수해야 할 때 (retailing.co.kr) '가득참을 경계하는 잔'처럼, 과욕은 금물 장사꾼은 손해 보는 장사를 하지 않는다는 속설이 있다. 그러나 지혜로운 상인은 ‘상인의 신용’이 걸렸을 때만큼은 차라리 손해보는 쪽을 택한다. 순간의 손해가 신용을 쌓거나 사람을 키우기도 하니 길게 보면 이익이 되는 손해다. 더불어 과욕은 화를 부르고 욕심이 도를 넘으면 모든 것을 잃게 된다. 조선 시대 한 거상의 상도에서 이를 배울 수 있다. 1821년 중국 북경에서 벌어진 일이다. 한 조선 상인이 객관 마당에 홍삼을 쌓아 놓고 한 상자씩 불태우는 게 아닌가. 홍삼은 청나라에서 인기가 높고 가격도 비쌌다. 그 귀한 홍삼을 불에 던져 넣고 있으니 청나라 상인들이 몰려오..

⊙난장(亂場) / 놀이판을 벌여 사람을 모으다.

⊙난장(亂場) / 놀이판을 벌여 사람을 모으다. 조선 후기 시장을 북적이게 한 달놀음과 남사당 (retailing.co.kr) 조선 후기 장시에는 여러 이벤트가 열렸다. 사람들은 이를 보기 위해 모여 들었다. 지역별로 특유의 놀이판이 벌어졌고, 보부상은 관심을 끌기 위해 행진놀이도 진행했다. 이러한 활동은 지금의 매장과 다를 바 없다. 소비자를 끌어 모으기 위해서는 즐거움을 선사해야 한다. 시기별, 타깃 고객별 적절한 이벤트를 열 줄 알아야 집객을 계속할 수 있다. ‘난장판’은 여러 사람이 어지러이 뒤섞여 떠들썩한 곳을 뜻한다. 원래 조선 후기 장시(場市), 오늘날로 치면 유통 현장에서 널리 쓰인 말이다. 장시에 손님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상인들이 연출한 문화 이벤트를 ‘난장(亂場)’이라 불렀다. 장이 서..

⊙한국 화교(華僑)의 역사

⊙한국 화교의 역사 http://www.craskhc.com/htm/sub03.htm 중한양국은 옛날부터 긴밀한 관계를 가져왔고, 청나라초기 양국은 국경지역에 일년1회 또는 2회의 물물교환의 교역을 했었고 당시는 "북도개시제도"라고 불렀다. 1882년, 조선대신 이용숙은 양국의 민간인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청나라에 "북도개시제도"를 폐지하고 새로운 통상조약을 맺을 것을 건의했다. 1882년 8월, 중국(당시 청나라)은 텐진(天津) 해관의 周馥(JIO FU) 및 馬建忠(MA JIAN ZHONG)을 파견하여 조선의 전권대사 조녕하와 중국천진(天津)에서 을 체결했다. 이 조약을 체결한 후, 중국인들이 한국으로 이민해오기 시작했다. 화교가 정식으로 한국으로 이민한 것이 올해까지는 만 120년 되었다. 전설에..

⊙원저우 상인(溫州) / 중국의 유대인

⊙원저우 상인(溫州) / 중국의 유대인 http://www.cwpark.co.kr/ceo/html/intro.htm ◆ 중국 대표 상업 도시? - 상도온주(商都溫州) : 중국 상업 수도라고 불리는 도시, 원저우 - ‘중국의 유대인’이라 불리는 원저우 상인 : 원상(溫商) ▷ 스스로의 힘으로 富 축적, 진상, 후이상과 함께 중국 3대 상인으로 유명 - 진상(晉商) : 산시성 상인을 의미 - 후이상(徽商) : 안후이성 상인을 의미 ▷ 권력과 유착해 富 축적 ◆ 원저우 사람이 상인이 될 수 밖에 없었던 이유 - 중국 동남부 저장성 남쪽에 있는 항구 도시, 거주 인구 800만명 ▷ 항구도시임에도 개혁개방정책으로 성장하지 않음 - 삼면이 산과 동쪽은 바다로 둘러싸여 지리적, 경제적으로 고립 - 동쪽 바다 쪽에는 ..

⊙휘상(徽商) / 안후이성(安徽省) 휘주부(徽州府) 지역에 적을 둔 상인(商人)

⊙휘상(徽商) 명청(明淸)시기 안후이성(安徽省) 휘주부(徽州府) 지역에 적을 둔 상인(商人) 혹은 상인집단의 총칭으로 신안상인(新安商人)이라고도 하며 속칭 휘방(徽?)이라고도 한다. 당시의 휘주부(徽州府)는 안휘의 서현, 슈닝현, 우위안현, 치먼현, 이현, 지시현을 포함하는 지역이었다. 휘상(徽商)은 동진(東晋) 시기에 태동되어 당송(唐宋) 대에 성장하였고 명대(明代)에 전성하였으며 청말(淸末)에 쇠퇴하였다. 휘상(徽商)은 모두 빈한한 산지 지역 출신으로 농업으로 생존하기 어려운 환경조건하에서 상업에 전념할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사방으로 돌아다니며 상업을 통해 부를 창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문화적 소질을 갖추었고 또한 인적자본을 축적하며 경영활동에 한층 더 전념할 수 있었던 것이 이들의 성공 과정 중에 ..

⊙진상(晋商 jìn shāng) / 명, 청 시기 500년간의 산서성 상인

⊙진상(晋商 jìn shāng) http://visitbeijing.or.kr/detail.php?number=4803 일반적으로 진상은 명, 청 시기 500년간의 산서성 상인을 일컬으며, 현대 중국 화상(華商)의 선조격이다. 진상은 소금업, 금융업(晋商) 등의 상업을 경영했으며, 특히 금융업으로 유명했다. 진상(晋商)들의 장사철학 1. 남이 버린 일에 뛰어 들어라. 2. 신용을 버린 이익은 취하지 말라. 3. 먼저 주고 나중에 더 큰 것을 가져라. 4. 가장 좋을 때 실패를 대비하라. 5. 일은 오직 사람이 이룬다. 6. 채찍보다 당근으로 동기를 유발하라. 7. 위기의 순간엔 베짱도 전략이다. ○북경진상박물관(北京晋商博物馆, jìn shāng bó wù guǎn) 진상(晋商, 상인)문화와 정신을 더욱 ..

헤이세이(平成)

헤이세이(平成) 일본의 역대 덴노 124대 히로히토 덴노 ▶ 125대 아키히토 덴노 http://www.oocities.org/jtaliaferro.geo/akihito.jpg 왕호 아키히토 덴노 (明仁天皇) 이름 아키히토 (明仁) 생년월일 1933년 12월 23일 ~ 현재 출생지 일본 도쿄 황거 산전 재위기간 1989년 1월 8일 ~ 현재 즉위식 1990년 11월 12일 연호 '平成'은 《사기(史記)》 오제본기(五帝本紀)의 "内平外成(안이 다스려짐에 바깥의 일이 이루어진다)"와 대우모(大禹謨)의 "地平天成(땅이 다스려짐에 하늘의 일이 이루어진다)"에서 유래했다. 그런데 연호를 정할 당시 의 해당 부분이 청나라 고증학자들의 연구로 위서라는 사실이 고증되었고, 헤이지(平治, 1159~1160) 연간이 전란..

⊙마사다(Masada) / 예루살렘이 함락(AD 70) 뒤, 팔레스타인에 마지막으로 남은 유대인 자치집단

⊙마사다(מצדה,) (wikipedia.org) 마사다(히브리어 מצדה, , 요새라는 뜻)는 이스라엘 남부, 유대 사막 동쪽에 우뚝솟은 거대한 바위 절벽에 자리잡은 고대의 왕궁이자 요새를 말한다. 73년 제1차 유대-로마 전쟁 당시 끝까지 로마군에 항거하던 유대인 저항군이 로마군의 공격에 패배가 임박하자 포로가 되지 않기 위해 전원 자살한 것으로 유명하다. 현재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 중에 하나이며 유명한 관광지가 되었다. 〈개요〉 사해 서쪽해안에 위치한 천혜의 절벽요새이다. 높이 400m, 정상은 길이 600m, 폭 250m의 평지를 이루고 있다. 마사다는 헤롯왕의 요새인 동시에 유대인들이 로마에 항거했던 유대 전쟁 최후의 비극적 격전지로 유명하다. 1963 ∼1965년 고고학자 이갈 야딘 ..

⊙북한의 통일방안의 변천

⊙북한의 통일방안의 변천 http://nkinfo.unikorea.go.kr/nkp/overview/nkOverview.do?sumryMenuId=MENU_76 담당부서 : 통일부 정세분석총괄과(02)2100-5865 ◇북한 통일방안의 변천 북한은 한반도 공산화 통일을 목표로 연방 제안을 통일방안으로 제시하면서 시대적 조건과 환경에 따라 그 특징을 변화해왔다. 북한은 1960년 처음 연방제 통일 방안을 제기하기에 앞서 ‘하나의 조선’ 논리에 입각한 ‘민주기지론’에 의한 무력·적화 통일을 내세웠다. 민주기지론은 1960년 4.19 혁명 이후에 ‘남조선혁명론’으로 발전되었고, 이 시기 북한은 과도적 조치로서 ‘남북연방제’를 제기했다. 이후 남조선혁명론과 ‘연방제 통일방안’은 1973년의 ‘고려연방제’를 거쳐..

⊙북한의 행정구역

⊙북한의 행정구역 http://nkinfo.unikorea.go.kr/nkp/overview/nkOverview.do?sumryMenuId=SO302 담당부서 : 통일부 경제사회분석과(02)2100-5888 북한의 행정구역은 1945년 해방 당시 6도, 9시, 89군, 810읍·면이었으나, 1952년 12월 행정체계와 행정구역 개편을 통해 도(특별시), 시·군(구), 읍·면, 리(동)의 4단계 행정구역 체계 중 면을 폐지하여 도(직할시), 시(구역)·군, 읍·리(동·노동자구)의 3단계 행정구역체계로 개편하고 군 지역을 재분할하였다. 1946년 9월 평양시를 평안남도에서 분리하여 특별시로 승격시켰다가 1952년 12월에는 직할시로 개편하는 등 60여 차례에 걸쳐 행정구역을 개편하였다. 현재는 1직할시, 2..

⊙"오나전 캐안습" "쩐다"

⊙"오나전 캐안습" "쩐다" (joongang.co.kr) 새로운 인터넷 용어들이 네티즌의 궁금증을 자극하고 있다. 특히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은 '오나전 캐안습'과 '쩐다'. '오나전 캐안습'은 지난 16일 방송된 KBS 2TV ‘개그콘서트-대화가 필요해’에 등장하면서 수면 위로 떠올랐다. 극중 개그맨 장동민이 받은 휴대전화 문자에 “오늘 너희 엄마를 봤는데 ‘오나전캐안습’이더라”라고 적힌 것이 발단이 됐다. https://youtu.be/ctlzN6ZaKZk 여기서 ‘오나전’은 ‘완전’의 컴퓨터 자판 오타다. 휴대전화와 컴퓨터 자판으로 ‘완전’이라는 글자를 급하게 치다보면 범하기 쉬운 실수에서 비롯됐다. ‘캐안습’이란 ‘꽤 안습’이라는 뜻인데 ‘안습’은 눈 안(眼)에 젖을 습(濕)을 붙여 ‘눈물이 나는..

⊙MINTs / 유망 신흥시장 민트(MINTs)의 성장 잠재력 및 시사점

⊙MINTs / 유망 신흥시장 민트(MINTs)의 성장 잠재력 및 시사점 http://hri.co.kr/board/reportView.asp 201492483224 유망 신흥시장 민트(MINTs)의 성장 잠재력 및 시사점.pdf 민트(MINTs)는 멕시코(Mexico), 인도네시아(Indonesia), 나이지리아(Nigeria), 터키(Turkey) 등 유망 신흥시장으로 부상하는 4개국을 의미한다. 브릭스(BRICs) 4개국이 각 지역별 최대 규모의 신흥국이라면, 민트(MINTs) 4개국은 각 지역별로 두 번째 규모의 신흥국에 해당한다. 민트 4개국은 약 6.3억 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3.5%에서 2013년 4.4% 수준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최근..

⊙TIPS / 3국 태국.·인도네시아.·필리핀

⊙TIPS / 3국 태국.·인도네시아.·필리핀 - 태국·인도네시아·필리핀 - ▶TIPs 예상밖 선전 TIPs 국가 중 필리핀은 테이퍼링 ‘태풍의 눈’이다. 필리핀의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7.2%로 전년 6.8%를 능가했다. 이는 중국에 이어 아시아에서 두번째로 높은 성장률이다. 성장 기대감에 힘입어 필리핀 증시는 지난해 20.12% 하락에서 올해 1.22% 플러스 전환했다. 인도네시아 루피아화와 태국 바트화 가치는 지난해 버냉키 쇼크 이후 큰 폭으로 하락했지만 올들어서는 오히려 달러대비 강세를 보이면서 보합세를 이어가고 있다. 또 인도네시아 증시는 지난해 32.13% 폭락했으나 올들어 4.24% 반등했다. 인도네시아 경제성장률이 지난해 4분기 5.72%로 예상치를 웃돈 것이 높이 평가..

⊙BRICS / 브라질. 러시아·. 인디아. 중국

⊙BRICS / 브라질. 러시아·. 인디아. 중국 신흥 경제국 : 큰 잠재력이 있는 시장인 브라질·러시아·인디아·중국을 말함. 2003년 미국의 유명한 증권회사 골드먼삭스 그룹 보고서에서 처음 등장한 경제용어로서 브릭스는 브라질(Brazil), 러시아(Russia), 인도(India), 그리고 중국(China)의 영어 머리글자에서 따온 말이다. 이들 네 나라의 공통점은 국토·인구 규모로 보아 대국이며 근년에 눈부시게 경제성장을 이룩했고, 지하 천연자원도 풍부하여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등 이른바 브릭스(BRICs) 신흥시장에서 토요타자동차가 현대·기아자동차를 맹추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판매량에선 아직까지 현대·기아차가 앞서 있지만 올 들어 토요타차가 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