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년간 수산물소비량 / 65.6kg, 요즘은 수산물을 더 먹는다
쌀 소비 대국 대한민국 국민…요즘은 수산물을 더 먹는다
2021년 기준 1인당 소비량
쌀 56.9kg 수산물 65.6kg
우리나라 국민은 쌀과 수산물 중 어느 걸 더 많이 먹을까? 우리나라 국민은 쌀과 수산물, 어느 것을 더 많이 소비할까?
정답은 수산물이다.
14일 수협중앙회 수산경제연구원(이하 연구원)이 발행한 ‘수산경제 리포트’ 10월 1주차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국민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은 65.6kg으로 56.9kg에 그친 쌀 소비량을 여유 있게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의 주식인 쌀은 여전히 가장 중요한 식량자원 중 하나이지만, 쌀 소비량은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추세다.
2011년 71.2kg이었던 국민 1인당 쌀소비량은 2012년 69.8kg으로 70kg 아래로 내려갔고,2019년에는 60kg보다 적은 59.2kg을 소비했으며, 2020년에는 57.7kg, 2021년에는 56.9kg까지 감소했다.
수산물 소비량은 어떨까?
국민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7년 72.9kg, 2019년 70.2kg 등 2017년부터는 70kg을 넘어섰다. 이어 2020년 68.4kg, 2021년 65.6kg으로 최근 2년간 다소 주춤한 모습이지만, 2020년 이후에도 65kg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연구원은 “소득 수준 상승과 건강에 대한 관심증가로 건강식품인 수산물의 소비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다만, 쌀 등 다른 폼목에 비해 수산물 소비량은 상대적으로 외식문화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는다는 점에서,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거리두기 등으로 외식·모임 등 횟수가 크게 감소한 것이 2020년 이후 수산물 소비가 다소 주춤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원은 “우리나라 국민의 수산물 소비량(2019년 기준)은 지구촌에서 1·2위를 달리고 있다. 해조류를 포함하면 세계 1위이며, 해조류를 제외하면 56.6kg으로 포르투갈 57.2kg에 이어 세계 2위”라며 “다만, 2020년 이후 소비가 다소 주춤하고 있는데 간편식에 대한 선호, 생선가시 및 조리방법 등으로 인한 불편함 등은 극복해야 할 과제로 보인다”고 밝혔다.
2022-10-14 12:55:16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韓, 수산물 섭취 세계 1위..1등 오징어, 2등은?
1인당 年 58.4kg 섭취..日, 中, 美 뒤따라
섭취량 오징어>새우>멸치>굴>명태 순
해수부 "양식업 활성화, 가공식품·급식 영향"
한국인의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는 한국이 국민 1인당 연간 58.4kg의 수산물을 소비해 주요국 중 1위를 차지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세계수산양식현황(SOFIA)의 2013~2015년 통계를 집계한 것이다. 일본이 연간 50.2㎏의 수산물을 소비해 2위를 차지했고 중국(39.5㎏), 미국(23.7㎏), EU(22㎏)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이 가장 많이 섭취하는 수산물은 오징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부에 따르면 농촌경제연구원이 1인당 연간 식품공급량(2014년 기준 국산·외국산 총계)을 조사한 결과 오징어가 5.402kg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새우(4.297kg), 멸치(4.168kg), 굴(2.197kg), 명태(2.066kg), 고등어(1.537kg), 다랑어(1.482kg), 넙치(1.095kg), 갈치(967g), 낙지(730g) 순으로 10위권에 포함됐다.
국가별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수산물을 많이 소비했다.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이 24.7㎏, 선진국이 22.7㎏, 개도국 19.6㎏, 최빈국 13.2㎏으로 나타났다. 과거보다 수산물 소비량은 꾸준히 느는 추세였다. 세계적으로 1인당 수산물 연간 평균 소비량은 1960년대에는 9.9kg에 그쳤으나 이후 연평균 3.2%씩 증가해 최근 3년(2013~2015년) 평균 소비량은 20.2kg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수산물 교역량도 느는 추세다. FAO가 집계한 우리나라의 수산물 수출액(2014년 기준)은 16억7453만달러(1조9207억원), 수입액은 42억7115만달러(4조8990억 원)를 기록했다. 수출액 기준 세계 25위, 수입액 기준 세계 10위다. 세계 3대 수산물 수출국은 중국·노르웨이·베트남, 수입국은 미국·일본·중국이다.
해수부 윤상린 국제협력총괄과장은 “양식업 활성화로 생산량 급증, 건강식품 선호 경향, 수산물 판매처 증가 등의 원인으로 수산물 소비가 느는 추세”라며 “오징어 소비가 가장 많은 건 일반 식품 외에 가공 제품으로도 많이 소비되고 학교·군 부대 급식이나 극장용 간식으로 많이 공급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세종=이데일리
2017-02-12 오후 12:00:00
최훈길 기자
2008년 기준으로 1인당 연간 수산물 소비량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5/15/2011051500270.html
1인당 수산물 소비량 30년전보다 2배 이상 늘어 소득 증가와 식문화 변화로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이 약 30년 전과 비교해 2배 이상 늘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08년 기준으로 1인당 연간 수산물 소비량은 54.9kg을 기록해 지난 1980년 27kg에서 103.3%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동안 쌀 소비량은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은 주변 아시아국가와 비교 일본(57kg)보다는 적었으나 대만(34.5kg)이나 중국(37kg)보다는 많았다.
통계청은 “국민소득의 증가로 수산물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소비량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소비량이 2배로 늘어난 반면 같은 기간 동안 수산물 자급률은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지난 1980년 138%를 기록하던 수산물 자급률은 2008년 기준 78.5%로 43.1%나 줄었다.
수산물 자급률이 급감한 것은 수산물 소비가 늘어난 것에 비해 국내 생산량이 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어업생산량은 311만2000톤으로 30년 전에 비해 29% 증가하는데 그쳤다. 수산물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도 자급률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말 수산물 수입액은 34억6000만 달러로 1980년 4000만 달러보다 90배 이상 증가했다. 반면 수출은 같은 기간 136%만 늘었다.
통계청은 “80년대에는 내수용 수산물 수입금지의 영향으로 수입이 적었지만 1989년 수산물 수입자유화 조치 이후 수입이 증가했고 2001년부터는 수입액이 수출액을 상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30년간 해수 온도가 상승하면서 생산 어종에도 변화가 생겼다. 1980년에는 쥐치, 멸치, 갈치, 명태 순으로 많이 잡혔지만 2010년에는 온수성 어종인 멸치, 오징어, 고등어 순으로 많이 잡혔다.
'Benefit > ⊙Abou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민 하루 물사용량 / 276ℓ (21년) ◁ 286ℓ(12년) (0) | 2019.02.24 |
---|---|
⊙1인당 년간 과일소비량 / 54.4kg (21년), 감소하는 추세 (0) | 2019.02.24 |
⊙1인당 년간 육류소비량 / 56.1Kg(21년) (0) | 2019.02.24 |
⊙1인당 년간 쌀소비량 / 56.9kg, 30년 만에 반토막 (0) | 2019.02.24 |
⊙1인당 계란소비량 / 닭고기 14.8㎏ 달걀 282개 먹는다 (0) | 2019.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