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 of Non Store/@Live & Influencer

★틱톡(TikTok, 抖音) / 2016, 숏폼 비디오 플랫폼

Paul Ahn 2022. 8. 11. 11:29

틱톡(TikTok, Douyin, 抖音) / 2016, 숏폼 비디오 플랫폼

https://www.tiktok.com

 

유통 : ByteDance Ltd. (중국) TikTok Pte. Ltd. (동아시아) TikTok Inc. (국제)

출시 : 2016 (한국 201711)

주요 서비스 : 숏 비디오 SNS, 동영상 공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본사 : 중국 베이징 하이뎬구

• 특징 : 3~15초 사이의 쇼트 비디오 공유 소셜 네트워크. 틱톡(TikTok)으로 잘 알려진 소셜 플랫폼으로 중국 내에서는 중국 검열 제한을 준수하기 위해 도우인으로 별도 운영됨.

 

틱톡(TikTok, 抖音, 더우인)은 장위밍(Zhang Yiming) 2012년에 설립한 IT 기업 바이트댄스(ByteDance)가 소유하고 있는 글로벌 숏폼 비디오 플랫폼이다.

 

15초에서 1분 길이의 숏폼(Short-form) 비디오 형식의 영상을 제작 및 공유할 수 있는 글로벌 숏폼 동영상 플랫폼이다. 틱톡은 2016 150개 국가 및 지역에서 75개의 언어로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한국에서는 2017 11월부터 정식으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글자에서 사진, 영상으로 이어지는 미디어 소비 트렌드가 틱톡의 성장 배경이 됐으며짧은 동영상을 추구하는 Z세대의 잠재 수요를 틱톡이 잘 파고들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에서 틱톡은 연령 및 성별에 따라 호불호가 심하게 갈린다. 10대 청소년을 중심으로 인기가 높은데, 영상 편집 툴의 퀄리티가 낮지만 저연령층에게는 까다로울 수 있는 영상 편집을 쉽게 할 수 있어 쓰는 경우가 많다.

 

연령대가 성인층에 가까워질수록 이용자가 급감하며, 20대 이상은 유명 아이돌 그룹이나 가수, 배우 등의 연예인들이 해외 팬들을 겨냥해 계정을 만든 것과 유튜브 홍보 목적을 제외하면 사용자의 폭이 한정적이다.

 

 

"요즘 누가 페북 쓰나?"…10대서 유튜브·틱톡 대세된 이유

(hankyung.com)

 

요즘 10대들은 페이스북보다 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자보다는 영상·사진 중심 소셜미디어를 더 선호하는 경향 때문이다.

 

10(현지시간)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는 지난 4~5월 미국 내 13~17세 청소년 1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유튜브를 한 번이라도 사용한 적 있다는 응답자가 95%로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뒤이어 틱톡이 67%였다. 유튜브는 약 17년 전 출시됐고, 틱톡은 불과 약 7년 정도뿐 안 된 플랫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틱톡의 성장세가 폭발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유튜브와 틱톡에 이어 인스타그램(62%), 스냅챗(59%) 등 순이었다. 1위부터 4위까지 모두 사진과 영상 등에 특화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플랫폼이다. 인스타그램과 스냅챗을 이용해봤다는 응답률은 2014~2015년 시행한 설문 결과 때보다 10%포인트 이상 높아졌다.

 

종전 조사에서 71% 1위를 차지했던 페이스북의 이용률은 크게 줄었다. 페이스북을 한 번이라도 사용해봤다는 청소년은 32% 5위에 그쳤다. 같은 기간 트위터 이용 경험도 33%에서 23% 10%포인트 떨어졌다, 텀블러를 써본 적이 있다는 응답률은 14%에서 5%로 감소했다.

 

외신들은 요즘 10대들이 활자 위주의 SNS 애플리케이션을 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2022.08.11 10:32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

 

 

“틱톡을 아시나요?”

(businesspost.co.kr)

 

이쯤에서 다시 이 글을 읽는 독자들에게 질문을 던져본다. ‘틱톡(Tiktok)’은 가장 대표적인 숏폼 플랫폼이다. 유튜브 쇼츠(Shorts), 메타·인스타그램의릴스(Reels)’ 등 다양한 숏폼 플랫폼이 있지만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두각을 나타내는 것은 중국 바이트댄스가 출시한 틱톡이다. 2016 9월 출시돼 5년 만에 전세계를 휩쓸고 있다. 중국 서비스의 이름은더우인’(抖音)이고, 틱톡은 더우인의 글로벌 버전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틱톡의 성장세는 무서울 정도다. 지난해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방문자수 1위의 사이트는 틱톡이다. 2020 7위였던 틱톡은 1년 만에 구글의 아성을 무너뜨리고 1위에 등극했다.

 

2018 5500만 명에 불과했던 전세계 이용자수는 지난해 9 10억 명을 돌파했고, 평균 이용 시간의 경우 미국과 영국에서 유튜브를 제쳤다.

 

이와 같은 틱톡의 성공은 정부까지 나선 미국의 견제 속에 이뤄낸 것이라 더욱 놀랍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재임시절인 2020년 틱톡이 국가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는 이유로 미국 앱스토어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다시 말해 바이트댄스에게 틱톡을 매각하도록 행정명령을 내렸지만 미국 법원이 제동을 걸어 유야무야됐다.

 

미국 내의틱톡 위협론은 지금도 진행 중이다. 최근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는 지난달 29일 애플과 구글에게 중국 당국이 사용자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는 이유로 앱스토어에서 틱톡을 없애라고 요구했다. 아직까지 두 회사는 정부의 요청에 묵묵부답이다. 미국 정부의 틱톡 규제가안보개인정보보호를 내세우지만 이면에는 틱톡과 경쟁관계인 미국 IT기업들의 이해관계를 반영하고 있다는 시각도 많다.

 

도대체 틱톡이 뭐길래 중국과 미국의 무역전쟁마저 무색하게 만드는 것일까. 그 대답은 미국의 전통기업인 월마트에서 찾을 수 있다. 흥미롭게도 앞서 언급한 트럼프의 틱톡에 대한 행정명령에 즉각 반응한 기업이 월마트이다. 마이크로소프트 등과 연합해 틱톡을 아예 인수하려고 달려들었다.

 

전통적인 유통기업인 월마트가 틱톡에 눈독을 들인 이유는 비즈니스의디지털 전환을 위해서이다. 오프라인 마켓에서 1위인 월마트이지만 온라인시장에선 아마존에 상대가 되지 않는다. 월마트가 온라인시장에서 이를 한방에 만회할 회심의 카드가 바로 틱톡이었던 것이다.

 

MZ세대의 광범위한 이용자들을 월마트의 품안에 한번에 안을 수 있고 이들이 성장할수록 미래는 더욱 밝다. 더욱 중요한 것은 틱톡을 통한 새로운 마케팅과 커머스를 통해 큰 성공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69년 설립된할아버지월마트가손자뻘인 틱톡에 대한 사랑은 2019 9월에 틱톡계정을 열면서 시작됐다. 개설 5개월 만에 팔로워수 13만 명을 넘고, 현재는 120만 명의 팔로워를 확보했다.  

 

월마트는 MZ세대의 문법과 취향에 따라 이들이 좋아할 법한 콘텐츠를 만들었고, 이들이 좋아할 만한 제품들을 집중적으로 소개했다. 직원들이 물건을 팔려는 것처럼 접근한 것이 아니라 재밌게 갖고 놀고 즐기는 모습을 그대로 보여줬다. 틱톡의 주언어가음악인 것에 착안, ‘딜도롭댄스(Dealdrop Dance)를 만들어 히트를 쳤다. 하늘에서 마구마구 떨어지는 특가상품(deal)을 주워 담는 기쁨을 표현한 춤이다.  

 

2020년 말에는 아예 매장 직원들을 인플루언서로 키우는스포트라이트 프로그램(Sportlight Program)’을 도입했다. 직원들이 매장관련 콘텐츠를 틱톡에 올려 팔로워를 확보하면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제도이다. 매장에서 브레이크 댄스를 추며 제품을 진열하고, 직원이 아이스크림을 먹으며 제품을 소개하거나, 매장에서 카트 잘 끄는 법 등도 소개한다. 매장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이야기들을 직원들이 자유롭게 올린다.

 

▲ 틱톡에 올라온 중국 MZ세대 숏폼 콘텐츠 캡처 이미지.

틱톡의 원조인 중국의 더우인은 중국의 대표적인 콘텐츠·라이브커머스 플랫폼으로 성장했고, 재미와 결합된 커머스로서흥미전자상거래(興趣電商)’라고 불린다. 중국의 더우인을 모면 글로벌 틱톡의 미래가 보이고, 나아가 이커머스가 나아갈 방향을 엿볼 수 있다.

 

더우인에 접속해 라이브기능을 켜면 틱톡커(인플루언서 또는 호스트)들이 화장품과 술 등 무수한 제품을 방송을 보고 있는 자신의 팔로워들에게 소개하고 있고, 이 제품은 즉석에서 구매로 이어진다.

 

베이커리 직원은 김이 모락모락 나는 빵이 나오고 있는 모습을 라이브로 주변의 팔로워들에게 보여준다. 이 상거래의 주역들은 유명 연예인 등 셀럽들이 아니다. 그냥 평범한 베이커리 직원인 경우가 많다. 호떡집 주인은 호떡을 만들고 파는 모습을 그대로 생중계하면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나 팔로워들에게 추천된다. 관심사 기반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제품이 소비자를 찾아가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다시 디지털 전환을 생각한다. 우리는 디지털 전환을 삼성 현대와 같은 대기업이나 시도하는 것이고, 이는 주로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인프라의 전환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인프라의 전환은 비즈니스를 디지털화해 생산성을 높이기 하기 위한 것이지 그 자체가 목적이라고 할 수 없다.

 

중요한 것은비즈니스를 어떻게 디지털화 할 수 있을까이고, 나는 틱톡 등 숏폼 플랫폼에서 해답이 열리고 있다고 본다. 이 세계에서는 대기업 뿐만이 아니라 모든 비즈니스 종사자들이 주역이다. 월마트의 직원들이나 유명 인플루언서, 식당 종업원에서 베이커리 직원, 카페 사장 모두가 주인공이다. 말 그대로 진입장벽은 낮고 기회는 많다.

 

최근 블룸버그의 보도에 따르면 올해 틱톡의 매출이 전년보다 3배 늘어난 120억 달러( 154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주목할 것은 틱톡이커머스를 갈수록 강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틱톡은 전자상거래 거래액을 올해 20억 달러( 26천억 원)에서 내년에 230억 달러( 299300억 원)까지 늘릴 계획이라고 한다.

 

그런데 유독 한국에서는 틱톡이 글로벌 시장에서 만큼 위세를 떨치지는 못하고 있다. 지난해 5월 기준 한국인의 유튜브 월평균 이용시간은 40시간 이상으로 틱톡의 2배가 넘는다. 최근 틱톡 비즈니스를 시작하면서 필자가 틱톡을 알고 있는 사람들에게 가장 많이 들었던 이야기도그거 초등학생들 놀이터 아니에요라는 소리였다. 그만큼 틱톡과 숏폼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 않다. 한국내의 반중정서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는 소리도 들린다.

 

나는 이런 상황이 오히려 기회라고 생각한다. 이미 유튜브 중심의 성숙시장 보다는 아직 시장이 활성화되지 않은 틱톡 등 숏폼이 무궁한 잠재성이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틱톡은 미국 영국 등에 이어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 4개국에 전자상거래 플랫폼틱톡숍’(TikTok Shop)서비스를 시작했다. 틱폭 플랫폼에서 온라인 상점을 열어 사용자들이 앱사용 중에 바로 구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위에서 언급한 라이브 커머스 등이 완전히 실현되는 환경이다. 한국에도 곧 이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한다.    

 

아직 틱톡이 지난 10여 년간 시장을 지배했던 대세 동영상 플랫폼인 유튜브를 넘어섰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틱톡의 무서운 성장세는 롱폼(Long-form)의 시대에서 숏폼의 시대로 넘어가는 트랜드의 변화를 실감케한다. 또한 틱톡 뿐 아리나 쇼츠와 릴스 등 경쟁 플랫폼들도 가파르게 성장하며 숏폼 혁명을 앞당기고 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지금은 숏폼이 롱폼의 보완재에서 대체재로 전환되고 있는 중이라고 생각한다. 언제든 자신이 원하는 짧은 컨텐츠를 빠르게 소비하는 이른바스낵컬처(snack-culture)’가 지금의 MZ세대의 문화적 소비행태이고, 이들은 곧 시장의 주력계층으로 성장할 것이기 때문이다. 

  

변화의 물결에 올라타려면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장소에 있어야 한다. 그리고 빨리 준비를 해서 시장을 선점해야 한다. 이미 국내에서도 대기업과 연예기획사 들을 중심으로 숏폼 마케팅에 뛰어들고 있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나는 이 글을 읽는 기업인들과 자영업자들이 숏폼에 의도적으로 관심을 갖고 친숙해지길 권한다. 그리고 지금 눈앞에서 막 열리고 있는 숏폼의 시대를 미리 준비해 자신들의 것으로 만들기를 바란다. “기회의 순간을 포착하는 것은 어떤 전략보다 어렵지만 훨씬 뛰어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샤오미의 최고경영자 레이쥔의 말처럼 말이다.

 

2022-7-15

이태희 CUE Korea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