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2 5

★메이드리밍(めいどりーみん) / 메이드 카페(メイド喫茶)

★메이드리밍(めいどりーみん) / 메이드 카페(メイド喫茶) • 메이드리밍 텐진 니시도리점(めいどりーみん 天神西通り店)• 위치 : Fukuoka, Chuo Ward, Daimyo, 2 Chome−1−5 SGカンパニービル 5階 - 일본에는 다양한 콘셉트를 설정해 손님을 접대해주는 이색적인 카페가 많다. 대표적인 이색 카페로는 ‘메이드 카페’, ‘집사 카페’, ‘닌자 카페’ 등이 있다. 한국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새로운 풍경에 체험하기 위해 일본으로 관광하는 한국인이 적지 않다.  후쿠오카 '메이드 카페'를 가다CIVICNEWS(시빅뉴스) 메이드 카페란 서양의 하녀 복장을 한 메이드들이 카페를 찾은 손님에게 ‘아가씨’ 또는 ‘주인님’이라 부르며 접객해주는 카페다. 어리고 예쁜 여성들이 손님을 맞이한다는 점에서..

F&B Service/@Cafe 2024.06.12

〔hip〕 골목에서 꽃핀 한국 힙스터 문화

〔hip〕 골목에서 꽃핀 한국 힙스터 문화(chosun.com) 서울 용산구 한남오거리 부근. 한가한 월요일 오전 한남동 골목길이 쉴 새 없이 몰려드는 사람들로 분주해졌다. 지난 1월 28일 문을 연 ‘타르틴베이커리’를 찾아온 사람들이다. 한남동 타르틴베이커리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타르틴베이커리의 첫 분점이다. 채드 로버트슨과 엘리자베스 프로에잇 부부가 세운 타르틴베이커리는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사람이라면 꼭 한번 가봐야 하는 빵집으로 꼽힌다.  한남동 68그라운드의 힙한 가게들과 타르틴베이커리.ⓒphoto 김종연 영상미디어 기자 타르틴베이커리를 채우고 있는 사람들을 쭉 관찰하다 보면 몇 가지 공통적인 스타일을 발견할 수 있다. 애플의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이 테이블마다 보인다. 가방을 들고 있지 않거나 ..

★타르틴 베이커리(Tartine Bakery) 한남점 / 2018

★타르틴 베이커리(Tartine Bakery)(re-place.co.kr) • 위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리플레이스 E동 (한남동 263-2)• 창업자 : 채드 로버트슨   한남동 '타르틴 베이커리' 왜 이렇게 뜨나(mediapen.com) "인스타그램에 죽기 전에 꼭 먹어봐야할 빵이라고 사진들이 올라오고 미국에서 유명한 빵집이라고 해서 와 봤어요."  지난 3일 오전 8시 40분 서울 한남동 리첸시아 옆 간판도 없는 한 건물 한편에는 수십 명의 사람들이 두꺼운 패딩을 입고 줄을 서고 있었다. 그 건물 앞에는 쉴 새 없이 차량들이 멈춰서며 발렛 주차를 맡기고 있었다. 그들은 차에서 내려 강추위 속에서도 긴 대열에 합류했다. 오픈 시간인 9시 경에는 30여명의 사람들이 줄을 서고 있었다. 직원들은 ..

★캐딜락 하우스(Cadillac House) 서울 / 2017 – 2021, 캐딜락 복합문화공간

★캐딜락 하우스(Cadillac House) 서울 / 2017 – 2021, 캐딜락 복합문화공간 • 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224.• 운영 : 2017년 8월 24일, 서울 ~ 2021년 7월 - 아시아 최초의 캐딜락 하우스로서 초반에 상당한 관심을 끌었는데, 상하이보다 앞서 오픈한 것은 당시 CT6와 XT5를 필두로 캐딜락의 국내 판매량이 눈에 띄게 상승했기 때문이란 평이 많다. 이후 상설 전시로 변경되었고 위치도 논현동에서 신사동으로 이동했다. - 인천 영종도에 위치한 BMW 드라이빙 센터에 이어 국내에서 두 번째로 마련된 해외 프리미엄 브랜드의 브랜드 체험 공간이란 의의도 지니고 있다. - CT6 페이스리프트, CT5, CT4, XT6, XT4 등 다양한 캐딜락 차량의 국내 출시가 바로..

〔hip〕 당신은 ‘힙스터’인가요?

〔hip〕 당신은 ‘힙스터’인가요?(fpost.co.kr) 국내에서 가장 좋아하는 여행지는 제주도이다. 춤을 추고 싶다면 을지로의 ‘신도시’로 간다.좋아하는 영화감독은 노아 바움백 아니면 자비에 돌란이다. 웨스 앤더슨은 기본이다. 언리미티드 에디션 참가 경험이 있다. 말할 때 자주 ‘물성’, ‘소구하다’, ‘진정성’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이 항목들은 몇 년 전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됐던 힙스터 체크리스트 중 일부입니다. ‘후이즈힙스터(여름의 숲, 2017)’를 쓴 문희연 작가는 힙스터로 인정받을 수 있다는 자격 조건을 비꼬는 듯한 이 리스트를 통해 역설적으로 ‘누가 진정한 힙스터인가’에 관해 묻고 싶었다고 합니다.  ‘힙스터’는 주류 언론에 소개되기 시작한 2015년 즈음부터 꾸준히 대중들의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