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ket Issue/@Digital Mkt 42

⊙Z세대 vs. M세대, 마케팅 시 알아야 할 MZ세대 인식 비교 / Open Ourvey

⊙Z세대 vs. M세대, 마케팅 시 알아야 할 MZ세대 인식 비교 / Open Ourvey https://blog.opensurvey.co.kr/article/gen-z-2020-2/ 본 글은 14~24세 Z세대 600명과 25~34세 M세대 6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Z세대 트렌드 리포트 2020’ 내용을 활용해 작성한 글입니다. ◇코로나 시대, MZ세대 여가 시간은 어떻게 다를까 코로나 이후 외출을 삼가고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면서 MZ세대의 여가활동을 즐기는 방법도 달라지고 있습니다. 먼저 Z세대는 유튜브 등 동영상 시청, SNS/메신저, 모바일 게임, 웹툰/웹소설 보기 등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한 여가활동 비중이 M세대와 비교할 때 매우 높은 편입니다(각 80.3%, 63.3%, 58.0%, 5..

⊙10대 개인 맞춤형 서비스 우수 업체

⊙10대 개인 맞춤형 서비스 우수 업체 https://www.sailthru.com/ ‘온·오프 데이터 결합’ 옴니채널 마케팅의 핵심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511?skey=top&sword=PB&page=2#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기업 ‘세일쓰루(Sailthru)’가 규모, 중요도, 관심도를 토대로 선발된 250개 유통업체를 조사하고, 그 결과물인 ‘유통업체 개인화 지수(Retail Personalization Index)’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는 이메일, 웹사이트, 모바일 등에서 유통업체의 개인 맞춤 서비스 정도를 매긴 점수가 포함됐다. 높은 점수를 받은 유통업체 경우 개별고객을 염두에 둔 멀티채널 맞춤화에 투자하는 것으로 ..

⊙SNS 마케팅 사례 / emart

⊙SNS 마케팅 사례 / emart http://www.newma.or.kr/ TV 광고에서 온라인·SNS로 마케팅의 중요도가 움직이고 있다. 최근 SNS 마케팅은 기존 매거진 형태의 일방적인 정보 제공에서 벗어나 Live 방송, 고객참여형 등 쌍방향 소통 형태로 변화하며, 잠재고객인 10대까지 타깃층을 확대하고 있다. 5분 내외의 콘텐츠, 시간과 장소를 불문한 편의성과 접근성, 누구나 겪었을 일상 소재로 꾸민 이야기 전개는 소비자들에게 SNS를 통해 공감대를 만들어주는 소통의 창구 역할을 한다. 억지로 꾸며낸 광고가 아닌, 소통하는 SNS 마케팅은 브랜드 신뢰도를 높여 소비자들의 상품 구매에도 영향을 준다. 대형마트 3사의 각기 다른 SNS 마케팅 전략을 취재해 보았다. PART 1. emart 이마트..

⊙모바일 세상이 만들어가는 ‘핫 비즈니스’

⊙모바일 세상이 만들어가는 ‘핫 비즈니스’ http://www.fi.co.kr/main/view.asp?idx=41961 지난해 12월 19일 치러진 제18대 대선. 유권자들은 손에 쥔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투표율을 점검하고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의 당락 과정을 지켜봤다. 특히 이번 대선은 75.8%라는 엄청난 투표율을 기록하며 1997년 치러진 15대 대선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번 대선의 1등 공신은 포털 사이트의 모바일 서비스였다. 대선 당일 네이버는 모바일에서 2억 건의 페이지뷰를 기록해 역대 최고 모바일 트래픽 기록을 경신했다. 이제 누구라도 하나 이상 손에 쥐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의 아이폰으로부터 시작된 모바일 빅뱅은 정보통신의 혁명을 넘어 대중들의 라이프스타일 속으로 깊숙이 ..

⊙패션 마케팅 패러다임이 바뀐다.

⊙패션 마케팅 패러다임이 바뀐다. http://www.apparelnews.co.kr/2011/inews.php?table=internet_news&query=view&uid=45777 패션 업체들의 홍보마케팅 툴(Tool)이 드라마 및 예능, 온라인, 소셜네트워크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지난 2010년 미디어법 개정 이후 드라마나 예능 프로그램에서 간접광고 허용이 확대되면서 패션 업체들의 제작지원이 크게 늘고 있으며, 온라인과 스마트폰 활성화로 포털사이트나 페이스북, 블로그, 카카오톡 등의 소셜네트워크(SNS)가 새로운 마케팅 툴로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최근 1~2년 사이 드라마 및 예능 프로그램 제작지원은 패션 업체들이 가장 주목하는 마케팅 툴로 급부상했다. 간접광고에 대한 허용이 크게 ..

⊙소셜미디어에 부는 참여형 마케팅 바람

⊙소셜미디어에 부는 참여형 마케팅 바람 101214125131 소셜미디어에 부는 참여형 마케팅 바람.pdf 최근 많은 기업들이 소셜미디어에 관심을 갖고 효과에 대해서도 인식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방법은 잘 찾지 못하고 있다.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최근 몇몇 성공 사례들은 사람들의 공감과 참여를 끌어낸다면 보다 쉽고 저렴한 비용으로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충성도를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소셜미디어로 인한 기업 마케팅의 변화를 살펴본다.

⊙기업의 SNS 新활용방식

⊙기업의 SNS 新활용방식 http://www.seri.org/db/dbReptV.html?g_menu=02&s_menu=0212&pubkey=db20110818001 110818 기업의 SNS 新활용방식.pdf 요약 기업의 SNS 활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대부분의 기업은 SNS를 대내외 소통 채널과 마케팅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최근 SNS의 올바른 활용과 저변 확대를 위해 전담인원을 운영하는 등 SNS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업의 고민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처럼 비즈니스 차원에서 새로이 주목받고 있는 소셜펀딩, 소셜SCM, 소셜인덱싱을 살펴본다. 목차 1. SNS 활용현황 2. SNS 新활용사례 ① 소셜펀딩: SNS에 기반한 십시일반 후원문화의 부상 ② 소셜SCM: 공급망 관리의 ..

⊙패션 업계, 온라인 마케팅 삼매경

⊙패션 업계, 온라인 마케팅 삼매경 http://www.apparelnews.co.kr/2011/inews.php?table=internet_news&query=view&uid=49483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블로그 등 온라인 커뮤니티 공간이 패션 업계 주요 홍보 채널로 부상하고 있다.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통칭되는 이들 채널은 소비자들이 정보의 생성과 전파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일반화된 브랜드 홈페이지와 확연히 구분된다. 최근 온라인이 판매 채널인 동시에 커뮤니티 채널로 자리 잡음에 따라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업체들이 늘고 있는 것. 특히 온오프 라인 유통을 통합 전개하는 업체들이 늘어나면서 온라인에서의 마케팅을 통해 시너지를 높이려는 의도도 깔려 있다. 또 소비자들이 직접 참..

⊙소통방식의 변화를 주도하는 페이스북 / SERI 101007

⊙소통방식의 변화를 주도하는 페이스북 / SERI 101007 101007 소통방식의 변화를 주도하는 페이스북.pdf 요약 정보의 소통방식이 이메일에서 SNS로 변화하고 있다. SNS 사용자 수는 2009년 7월부터 이메일 사용자 수를 추월하는 등 그 위상이 확고해지고 있다. 2010년 현재 페이스북은 전체 인터넷 이용자의 25%가 접속하는 SNS 업체로 전 세계에서 70개 언어로 이용 가능하다. 가입자 수가 5억 명을 넘은 페이스북은 IT 업계의 新강자로 부상하고 있다. 목차 1. 급부상하는 페이스북 2. 페이스북의 성공 요인 3. 향후 전망과 시사점

⊙일본의 O2O 활용 사례, 최신 25선 ★

⊙일본의 O2O 활용 사례, 최신 25선 ★ http://liskul.com/otoo1425-5987 OtoO라고 하는 단어를 듣게 된지 오래입니다 만, 최근에는 OtoO를 한마디로 단언할 수 없는 만큼, 다양한 수법이 등장하여 대기업 뿐만이 아니고, 중소기업까지 OtoO를 살린 기획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자신의 회사에서 어떻게 OtoO를 살리면 좋은 것인지, 고민해지고 있는 분도 계실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OtoO를 실천하고 성과를 올린 기업의 프로모션의 특징을, 성공 사례와 합해 소개하겠습니다. 【사례 1】 마운트 레이니아 프레젠트 캠페인 모리나가유업이 7월 20~31일에 간 「시부야에서도들 왕! 마운트 레이니아 프레젠트 캠페인」. 이쪽은 카카오 재팬이 제공하는 「Stac(스택)..

⊙오프라인의 미래… ‘체험과 가치를 팔아라’

⊙오프라인의 미래… ‘체험과 가치를 팔아라’ http://www.apparelnews.co.kr/2011/inews.php?table=internet_news&query=view&uid=72564 2022년 온라인 쇼핑 시장 규모 189조원 판매 중심의 오프라인, 기능과 역할 변화 패션 유통 업계가 ‘e커머스’를 향해 내달리고 있다. 패션 업체들은 자사몰과 플랫폼 사업에, 빅3 유통사는 통합 온라인몰 투자에 팔을 걷어 붙였다. 동시에 오프라인의 진화에 대한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판매 공간의 기능만으로 집객력을 높이기에 한계가 분명해진 탓이다. 무엇보다 20대와 30대 젊은 층이 제도권 오프라인 유통을 외면하고 있다는 데 유통 업계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젊은층 끌어 들이기 위한 콘텐츠 결합 시도 온라..

⊙디지털 마케팅(digital marketing)이란

⊙디지털 마케팅(digital marketing)이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장치를 통해 온라인 광고로 소비자들에게 제품과 서비스를 알리고, 판매하는 것이다. 웹 브라우저, 스마트폰, (콘솔) 게임, 등이 대표적인 인터넷 기반장치의 예 이다. 기술이 발달하고 많은 장치와 기기들이 인터넷 검색기능을 제공하면서, 디지털 마케팅의 잠재성이 점진적으로 실현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마케팅에는 크게 Pull(유인형)과 Push가 이 두 가지 종류가 있다. @Pull(유인형) 디지털 마케팅이란, 소비자가 이메일, 문자 메시지나 뉴스 피드를 통해 특정 기업의 판매품목에 대한 광고 전송을 허가하는 것과 소비자가 직접 인터넷을 통해 특정 품목을 자발적으로 검색하는 것, 이 두 가지로 이루어진다. 인터넷 웹사이트나, 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