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 Issue/@Gen Trend 376

〔성격검사〕자기보고식과 투사적 성격 검사

〔성격검사〕자기보고식과 투사적 성격 검사 (tistory.com) 〈자기보고식 성격 검사〉 - 피검자들이 질문지 등을 통해 다양한 상황에 대한 자신의 사고, 감정, 행동에 대해 묻는 질문에 대해 보고하는 것으로 - 일반적으로 구조화된 지필검사로 수행한다. - 평가자의 주관적 반응이 개입될 여지가 없다는 점에서 객관적 검사라고도 부른다. ① NEO 성격검사 - 성격 5요인(신경과민성,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을 측정하는 가장 대표적인 자기보고형 심리검사이다. ② 기질 및 성격검사(TCI) - 선천적으로 타고난 반응 성향을 측정하는 4개의 기질척도(자극추구, 위험회피, 사회적민감성, 인내력)와 개인의 성숙도와 적응수준을 측정하는 3개의 성격척도(자율성, 연대감, 자기초월)로 구성되어 있다. ③ 성..

〔성격검사〕무료 성격유형검사

〔성격검사〕무료 성격유형검사 / 재미로 해보세요 ~ ^^ ☞ NERIS Type Explorer® 바로가기 무료 성격유형검사 | 16Personalities - 총 검사 시간은 12분 내외입니다. - 혹 질문이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정직하게 답변하십시오. - 가능하면 답변 시 '중립'을 선택하지 마십시오. ☞ 제가 해봤습니다. / INTJ-A Type Personality type: Architect (INTJ-A) Traits: Introverted – 51%, Intuitive – 63%, Thinking – 56%, Judging – 97%, Assertive – 76% Role: Analyst Strategy: Confident Individualism

〔성격검사〕 MBTI / 성격유형검사, Myers-Briggs Type Indicator

〔성격검사〕 MBTI / 성격유형검사,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칼 구스타브 융(Carl Gustav Jung)의 심리유형 이론을 근거로 캐서린 브릭스(Katherine C. Briggs)와 그녀의 딸 이사벨 마이어스(Isabel B. Myers), 손자 피터 마이어스(Peter Myers)까지 3대에 걸쳐 70년 동안 연구, 개발된 ​비진단성​ 성격 유형 검사이다. 물론 현재도 계속 연구되어 업그레이드 되어지고 있다. •캐서린 쿡 브릭스 (Katharine Cook Briggs) 1875년 1월 3일 미국 미주리 주 잉검 카운티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 알버트 존 쿡 (Albert John Cook)은 미시간 주립..

⊙지역소득 (2020년)

⊙지역소득 (2020년) (kostat.go.kr) □ 2020년 전국 지역내총생산은 1,936조원으로 전년보다 9조원(0.4%) 증가 경기(487조원), 서울, 충남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세종(13조원), 제주, 광주 순으로 작게 나타났음 □ (성장률) 2020년 전국 지역내총생산은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문화및 기타서비스업 등의 생산이 줄어 전년대비 0.8% 감소 세종(5.1%), 충북(1.3%), 경기(1.1%) 등은 제조업, 공공행정 등이 늘어 증가하였으며, 울산(-7.2%), 제주(-6.6%), 경남(-4.1%) 등은 제조업, 건설업 등이 줄어 감소 □ 2020년 전국 최종소비는 정부소비는 증가하였으나, 민간소비가 줄어 전년대비 2.3% 감소 세종(4.7%)은 정부소비 늘어 증가하였으며..

⊙국내인구이동 (2021년)

⊙국내인구이동 (2021년) (kostat.go.kr) □ 2021년 이동자 수는 721만 3천 명, 전년대비 6.7%(52만 2천 명) 감소함. □ 인구이동률(인구 백 명당 이동자 수)은 14.1%, 전년대비 1.0%p 감소함. □ 순유입률은 세종(3.9%)과 경기(1.1%) 순으로 높고, 순유출률은 울산(-1.2%)과 서울(-1.1%) 순으로 높았음. 담당부서 : 통계청 인구동향과 전화번호 042-481-2514 게시일 2022-01-25 국내인구이동 (2015년 8월)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bSeq=&aSeq=348598&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

⊙최근 20년간 수도권 인구이동과 향후 인구전망

⊙최근 20년간 수도권 인구이동과 향후 인구전망 (kostat.go.kr) ○ 최근 20년간 수도권 인구이동 - 수도권은 2011년 최초로 순유출, 2017년 다시 순유입으로 전환된 이후 순유입 규모 점차 증가 - 20대는 최근 20년간 지속적으로 순유입되었고, 40대 이상은 2008년부터 지속적으로 순유출 - 수도권 이동자 중 1인 이동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 - 직업, 교육, 주택 사유로 순유입, 가족, 자연환경 사유로 순유출 - 최근 20년간 영남권과 호남권에서 순유입, 2008년부터 중부권으로 순유출 ○ 수도권 및 비수도권 인구 추이 및 전망 - 2020년 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 인구를 처음으로 추월 - 중부권은 2037년을 정점으로 인구 감소, 영남권과 호남권은 계속 감소 ※ 기타 자세한 사항은..

〔Yold〕‘욜드 세대’를 주목하라.

〔Yold〕‘욜드 세대’를 주목하라. 트렌드 주도 계층으로 떠오른 ‘욜드 세대’를 주목하라 (sisacast.kr) ◇적극적인 삶의 자세 보이는 욜드세대...젊은 층에게도 ‘귀감’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세계 경제 대전망’을 통해 “만 65~75세 ‘욜드(Young Old, 젊은 노인)’의 전성시대가 도래했다”며, “이전 노인들보다 건강하고 부유한 욜드의 선택이 앞으로 소비재와 서비스, 금융시장을 뒤흔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욜드 세대는 1946~1964년 태어난 베이비부머 세대다. 일본에서 처음 만들어진 욜드는 이제 전 세계가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로 자리잡았다. 정년퇴직 기준이 만 65세라고 했을 때, 욜드 세대는 2020~2025년 은퇴연령에 도달하게 된다. 이들은 이전 세대에 비해 더 건강하고 부유..

〔Yold〕 한국경제 부활전략 `욜디락스(Yoldilocks)`

〔Yold〕 한국경제 부활전략 `욜디락스(Yoldilocks)` •욜디락스(Yoldilocks)는 젊지도 늙지도 않은 욜드세대가 주도하는 이상적인 경제 부활을 의미한다. 욜드세대는 건강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생산과 소비생활에 적극적으로 뛰어들며 경제에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욜드(YOLD·young old)는 65~74세의 젊은 노인 인구를 뜻한다. 젊어진 노년층 '욜드'…미래한국 앞당긴다 (mk.co.kr) 과거 고령층과 확 달라져 염색보다 화장으로 멋내고 자유여행 즐기려 외국어 공부 원격의료 등 전세계 욜드산업 15조달러로 반도체의 30배 韓시장 2030년 168조원 팽창 코로나發 시계제로 한국경제 욜드 생산·소비로 활로 찾아야 통계청 분석에 따르면 한국 인구는 2028년 5194만1..

〔Yold〕국내 욜드산업 10년후 168조원

〔Yold〕국내 욜드산업 10년후 168조원 (mk.co.kr) 6070세대, 소득 5만弗 이끈다 국내인구 7명중 1명 노인 욜드세대 올 600만명 돌파 20년후엔 4명중 1명 `욜드` 한국경제 돌파구는 욜디락스 욜드 생산·소비력 활용해야 욜드 세대가 빠르게 늙어가는 대한민국을 활기차게 만들 동력이 될 수 있지만 한국은 이에 대한 대비가 부진한 것으로 평가됐다. 실제로 한국 욜드 세대 규모는 급성장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8년 현재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는 745만5149명으로 전체 인구 중 14%가 넘는다. 어림잡아 인구 7명 중 1명이 노인인 셈이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100세를 넘긴 인구도 4249명이나 된다. 특히 올해부터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시작되면서 매년 은퇴자 60만~80만..

〔Yold〕건강하고 부유해진 ‘욜드세대’ 성큼

〔Yold〕건강하고 부유해진 ‘욜드세대’ 성큼 (donga.com) 고령화는 전 세계적 현상이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노인들로 북적거린다. 미국 통계국은 2015년 전체인구의 8.5%인 6억1700만 명에 달하던 고령자(65세이상)가 2050년경에는 전체인구의 17%인 16억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매사추세츠공대(MIT) 에이지랩의 창시자 조지프 F 코글린 박사는 이를 “마치 대륙 하나가 바닷속에서 불쑥 솟아오른 것과 같다”고 표현했다. (장수경제학 2017, 한국판 ‘노인을 위한 시장은 없다’·부키) 인구구조 변화로 소비자 요구도 하루아침에 변해 노인에 의한, 노인을 위한 소비가 급격하게 나타나게 된다. 세계 최고로 고령화가 진행된 일본의 경우 전국 최대 안경체인점에서 판매 1위 상품은 돋보기다...

〔Yold〕욜드와 욜로(Yolo)

〔Yold〕 욜드와 욜로(Yolo) * 욜로(Yolo)는 미국의 인기 래퍼 드레이크가 2011년 발표한 음반에 등장한 단어인데, ‘인생은 한 번뿐이니 후회 없이 살아라’라는 의미자 재조명 되면서 젊은층이 즐겨 쓰는 유행어가 됐다. 실제로 해외에 배낭여행객이 주로 모이는 게스트하우스에는 ‘헬로(Hello)’나 ‘굿럭(Good Luck)’ 대신 ‘욜로’인사가 유행하고 있다. * 욜드(Yold)는 'young old'의 줄임말로 65세에서 75세 사이의 세대를 통칭한다. 영어 그대로 '젊은 노인'이라는 뜻의 이 단어는 최근 들어 새로운 시대상을 반영하는 일상화된 용어로 정착됐다. 이 용어는 최근 영국 이코노미스트가 펴낸 '2020년의 세계경제 대전망'에서 비중 있게 다뤄졌다. '저축 불가, 순간을 산다' 욜로..

〔Yold〕욜드 / 젊은 노인

〔Yold〕욜드 / 젊은 노인 (naver.com) 욜드(Yold)는 'young old'의 줄임말로 65세에서 75세 사이의 세대를 통칭한다. •2021년 현재 65세~74세 인구 : 510만명, 전국민의 9.9% •10년전과 대비 / 145만명, 140% 증가 영어 그대로 '젊은 노인'이라는 뜻의 이 단어는 최근 들어 새로운 시대상을 반영하는 일상화된 용어로 정착됐다. 이 용어는 최근 영국 이코노미스트가 펴낸 '2020년의 세계경제 대전망'에서 비중 있게 다뤄졌다. 베이비붐 세대의 정점이 1955년에서 1960년이라면 2020년에서 2025년은 이들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 연령에 도달하는 시기다. 이코노미스트는 욜드 집단을 지금까지 존재했던 다른 어떤 노인 집단과도 다르다고 평가했다. 더 건강하고 부유..

〔1인가구〕 역삼 vs 신림, 1인가구 많이 사는 동네는 어디?

⊙역삼 vs 신림, 1인가구 많이 사는 동네는 어디?(seoul.go.kr) '서울 시민생활 데이터' 서울시가 1인가구 생활특성을 살펴볼 수 있는 '서울 시민생활 데이터'를 발표했다.1인가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가 빅데이터를 통해 1인가구의 생활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424개 행정동 단위로 촘촘하게 분석한 ‘서울 시민생활 데이터’를 보면 연령별, 지역별, 성별로 1인가구의 생활방식이 큰 차이를 보였는데요, 시는 이를 활용해 1인가구의 다양한 삶에 맞춘 입체적인 정책을 마련하고, 사회적 고립문제 등을 해소하고자 합니다. 시는 삶의 질을 높이는 연구 등에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열린데이터광장’에서 월 단위로 자료를 개방할 계획입니다. 서울시가 SK텔레콤, 서울시립대와 협력..

〔1인가구〕 서울 1인가구는 어떻게 생활할까?

⊙서울 1인가구는 어떻게 생활할까?(seoul.go.kr) 서울시는 총 340만 명의 가명데이터를 결합해 도출한 서울시내 1인가구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청년층 1인가구는 다인가구보다 휴일 이동거리가 길고, 외출 빈도는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3일 서울시는 서울시민 총 340만 명의 가명데이터를 결합해 도출한 서울시내 1인가구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가명데이터란 해당 정보만으로는 성명·생년월일 등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처리한 데이터를 말하는데요. 서울시는 결합데이터 분석정보를 1인가구 정책을 수립하는 데 반영할 계획입니다. 서울시가 통계청, SK텔레콤과 협력해 서울시민 총 340만 명의 가명데이터를 결합해 도출한 서울시내 1인가구에 대한 종합적이고 입체..

〔1인가구〕 수혜업종… 최근 1년 수익률 55% 달해

〔1인가구〕 수혜업종… 최근 1년 수익률 55% 달해 (hankyung.com) KB자산운용은 1인 가구 증가로 인한 수혜 기업에 투자하는 ‘KB1코노미’ 펀드를 최근 ‘KB1코노미혁신트렌드’로 이름을 바꾸고 리뉴얼에 나섰다. 이 펀드는 2017년 국내에선 처음으로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흐름을 포착해 관련 업종과 종목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출시됐다. ‘1코노미’는 1인과 이코노미(경제)를 합성한 단어다. 1인 가구 증가에 따라 기업도 이들을 겨냥한 제품과 서비스를 집중 개발해 판매하는 트렌드를 말한다. 1인 가구가 전체 가구의 30% 가까이를 차지하면서 혼밥(혼자 밥먹기), 혼술(혼자 술먹기) 등 식문화뿐만 아니라 가전·가구, 금융, 부동산 등 경제·산업구조 지형도를 뒤흔들고 있다. KB운용은 1인 가구..

〔1인 가구〕 40% 첫 돌파··· 4인 가구는 20% 밑으로

〔1인 가구〕 40% 첫 돌파··· 4인 가구는 20% 밑으로 (sedaily.com) 1·2인 세대 증가에 전체 가구 최대 출생 < 사망 지속, 인구감소 이어져 주민등록 인구 현황. /자료 =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기준 1인 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40%를 돌파했다. 주민등록상 인구는 지난해 연간 기준 처음으로 줄어든 이후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전체 인구 중 60대 이상 인구 비중이 늘면서 고령화 추세도 지속되고 있다. 6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전국 1인 가구는 936만 7,439가구로 전체 2,338만 3,689가구의 40.1%를 차지했다. 이어 2인 가구(23.8%), 4인 이상 가구(19.0%), 3인 가구(17.1%) 순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

〔1인가구〕 통계로 보는 1인가구 / 통계청 2021년

⊙통계로 보는 1인가구 / 통계청 2021년(kostat.go.kr)  1인가구 관련 통계를 수집·정리한 「2021 통계로 보는 1인가구」를 작성 하였습니다. ○ 2020년 기준 1인가구 5가구 중 1가구가 20대 이하임  ○ 2020년 기준 1인가구의 주거유형은 단독주택 44.0%, 아파트 32.0% 순임○ 2020년 10월 기준 1인가구 10가구 중 약 6가구(59.6%)가 취업상태임○ 2019년 기준 1인가구 연소득은 2,162만 원으로 전체 가구의 36.5% 수준○ 2018년 기준 1인가구의 의료비는 95만 5천 원으로 18세 이상 인구의 약 1.4배 수준임○ 2021년 기준 1인가구의 53.2%는 본인 스스로 노후생활비를 마련함○ 2020년 기준 1인가구의 평일 하루 평균 여가시간은 4.7시간임..

〔1인가구〕 ‘나홀로 가구’ 32% 역대 최다…40%는 일 없이 산다.

⊙‘나홀로 가구’ 32% 역대 최다…40%는 일 없이 산다.(joongang.co.kr) 가장 흔한 가구 형태로 ‘나 홀로’ 가구가 자리 잡았다. 셋 중 하나꼴로 1인 가구였다. 소득은 전체 가구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8일 통계청은 이런 내용의 ‘통계로 보는 1인 가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여러 국가승인통계에 흩어져 있는 1인 가구 내용을 한데 묶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가구 가운데 31.7%(664만3000가구)가 나 홀로 사는 가구였다. 2014년 이후 7년째 1인 가구는 주된 가구 형태(가구원 수별 비율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1인 가구 비중은 2019년 30%를 넘어선(30.2%) 데 이어 지난해 더 늘었다. 1인 가구 성·연령대별 비중 (2020) 1인 가구 주 나이대별로는..

〔1인가구〕 2024 한국 1인가구 보고서

2024 한국 1인가구 보고서KB경영연구소   Ⅰ. 1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 01 | 1인 생활 시작 동기02 | 식생활03 | 주생활04 | 직장생활05 | 여가생활  Ⅱ. 1인가구의 금융생활 01 | 소비지출02 | 부동산자산 현황03 | 금융자산 현황04 | 자산관리  Ⅲ. 1인가구의 생활 만족도 01 | 1인 생활 만족도02 | 1인 생활 애로사항03 | 1인 생활 만족도와 인식  Ⅳ. [이슈1] 1인가구의 독립 준비 01 I 1인 생활의 시작 계기 02 I 1인가구 독립 시 준비 정도03 I 1인가구의 독립 준비도와 만족도04 I 1인가구의 생활 애로사항  Ⅴ. [이슈2] 2030 디지털 금융생활 01 I 디지털 생활02 I 디지털 지출관리03 I 디지털 자산관리04 I 디지털 금융행태  Ⅵ. [..

〔1인가구〕 1인세대 사상 처음으로 40% 돌파

⊙1인세대 사상 처음으로 40% 돌파(mois.go.kr)  - 전체 23,383,689세대 중 1인세대 9,367,439세대(40.1%) 차지 -  □ 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는 주민등록 1인세대가 9,367,439세대로 사상 처음 40%를 돌파하였다고 밝혔다. ○ 2021년 9월말 기준 3분기 주민등록 인구통계 발표에 따르면,▴1인세대 40% 돌파 ▴인구 감소 지속 등을 확인할 수 있다. □ 전체 세대수는 23,383,689세대로 역대 최대를 기록하였고, 1인세대 다음으로는 2인세대(23.8%), 4인세대이상(19.0%), 3인세대(17.1%)순으로 나타났다. ○ 1, 2인 세대 합계 비중은 63.9%로 2020년말 대비 1.3%p 증가하여, 가장 큰 비중을 보이고 있다. 4인세대이상은 2016년 이..

〔生涯周期〕 생애주기(life cycle)란 무엇인가?

생애주기(life cycle)란 무엇인가?www.senior.mk.co.kr 생애주기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말은 아니지만 그래도 상당히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해되고 있는 생애주기는 “요람에서 무덤까지 일생의 발달 단계”를 말한다. 그런데 생애주기를 단계라고만 이해하면 “어떤 일정한 단계로 구성된 기간의 형태가 한 번 나타난 후 같은 단계로 구성된 기간의 형태가 계속 반복해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는 “주기(週期: cycle)”의 의미를 놓치기 쉽다.  주기라는 말은 일정한 형태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한 사회의 전체 인구를 구성하는 개개인의 생애(일생)는 일정한 연속적 단계로 구성된 기간의 형태를 나타낸다. 이렇게 연속적 단계로 구성된 생애기간의 형태가 여러 세대를 거쳐 ..

〔生涯週期〕 한눈에 보는 ‘생애주기별 원스톱 서비스’ 7가지

⊙한눈에 보는 ‘생애주기별 원스톱 서비스’ 7가지정부24 (gov.kr) 생애주기별 원스톱 서비스국민이 찾기 전에 먼저 알려드립니다!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몰라서 혜택을 못 받은 경험, 서비스 신청을 위해 일일이 기관을 방문해야 하는 경험 있으신가요?  이를 위해 국민에게 먼저 챙겨주는 생애주기 맞춤형 원스톱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 ‘맘편한 임신’ 원스톱서비스 정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임신지원 서비스를 한번에 안내받고 통합신청하는 서비스입니다. [이용가능한 임신지원 서비스]- 전국 공통 : 국민 행복카드, 엽산제, 철분제, 맘편한 KTX, 표준모자 보건수첩 등 14종- 지자체 서비스 : 임신축하용품, 요가교실, 임신초기검사 * 지방자치단체마다 서비스가 다름 [‘맘편한 임신’ 원스톱서비스 신청은 ..

〔隱退〕지뢰 탐색으로 '훈장' 받은 쥐 “magawa”

〔隱退〕지뢰 탐색으로 '훈장' 받은 쥐 “magawa” (yna.co.kr) 2016년부터 캄보디아서 활동…지뢰 71개·불발탄 38발 찾아 2020년 9월 영국 동물구호단체 PDSA로부터 금메달 받은 마가와 지뢰 찾고 보상으로 바나나 먹는 아프리카주머니쥐 마가와 캄보디아에서 5년간 지뢰와 폭발물을 찾으며 목숨을 구하는 데 기여한 아프리카 주머니쥐 '마가와'가 은퇴한다. (yna.co.kr) 벨기에 비영리단체 아포포(Apopo)는 지난 3일(현지시간) "마가와는 아직 건강하지만 (행동이) 느려지기 시작했고 은퇴할 나이가 됐다"고 밝혔다고 미국 공영라디오 NPR과 영국 BBC방송이 4일 보도했다. 아포포는 2014년 아프리카 동부 탄자니아에서 태어난 마가와를 데리고 1년간 지뢰탐지 훈련을 진행했다. 아프리카..

〔隱退〕2020 KIDI 은퇴시장 리포트

〔隱退〕2020 KIDI 은퇴시장 리포트 (kidi.or.kr) 보험개발원(원장 강호)은 고령화·은퇴 관련 통계정보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는「2020 KIDI 은퇴시장 리포트」를 발간 □ 2020 KIDI 은퇴시장 리포트는 총 7개 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붙임1 참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 (인구구조의 변화) 미래 인구구조는 5년 내 초고령사회 진입 예정 - 현재 인구구조는 30~50대(전체 인구중 43.6%)가 두터운 항아리형 형태를 보이나, 점차 60세 이상이 두터워지는 역삼각형으로 변화 ◦ (4050세대 재정현황) 부동산에 집중된 자산, 생활자금 부족 우려 - 4050세대는 우리나라 전체 가구 자산의 53.3% 및 부채의 60.2%를 보유·부담 - 자산의 경우, 금융자산(1,218조원,..

〔隱退〕은퇴하니 벼락거지..66세이상 44% 月90만원으로 산다

〔隱退〕은퇴하니 벼락거지..66세이상 44% 月90만원으로 산다 (daum.net) 짙어지는 초고령사회 그늘 소득 60% 줄어 생계 막막 자녀 뒷바라지에 병수발 탕진 노인 절반이 잠재적 빈곤층 44%는 月 90만원으로 살아가 1955년생 베이비붐 세대인 정현식 씨(가명·68)는 10년 전 직장을 떠난 후 지금은 서울 쪽방촌에서 혼자 살고 있다. 정씨가 노후 준비로 생각했던 작은 아파트와 퇴직금은 불행히도 아들의 사업 실패로 인한 빚 때문에 전부 사라졌다. 아내마저 암으로 세상을 떠나 홀로 된 정씨는 69만원의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20만원으로 근근이 생활하고 있다. 작은 일자리나마 구하기 위해 매일같이 주민센터를 찾는 그는 빈곤한 노후생활로 인한 스트레스와 고독감, 상실감 때문에 몸과 마음이 모두 피폐해진..

2021년 세대별 소비자 분석 / YouTube가 소비자의 구매 여정에 미치는 영향

2021년 세대별 소비자 분석 / YouTube가 소비자의 구매 여정에 미치는 영향 https://www.thinkwithgoogle.com/intl/ko-kr/consumer-insights/consumer-trends/ Google Korea의 CMI(Consumer & Market Insights) 팀이 입소스와 함께 진행한 2021 세대별 소비자 분석 1, 2편에서는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와 달라진 YouTube 활용 방식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마지막 시리즈인 3편에서는 YouTube가 소비자의 구매 여정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 분석해봅니다. 지금까지 세 편의 인포그래픽을 통해 팬데믹으로 인해 달라진 라이프 스타일과 YouTube 활용 방식의 변화, 그리고 YouTube가 소비자의 구매 여정에..

2021년 세대별 소비자 분석 / 시청자들의 달라진 YouTube 이용 방식

2021년 세대별 소비자 분석 / 시청자들의 달라진 YouTube 이용 방식 https://www.thinkwithgoogle.com/intl/ko-kr/consumer-insights/consumer-trends/ 팬데믹으로 인해 달라진 사람들의 라이프 스타일과 동영상 이용 방식은 YouTube 이용행태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달라진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콘텐츠를 시청하고, 새로운 관심사나 취미에 관한 양질의 콘텐츠를 찾고, 대리 만족을 얻는 등 소비자들은 YouTube를 통해 많은 도움을 받게 되었습니다. 더 나아가 소비자들은 YouTube를 새로운 세상을 접하고, 시야를 넓히는 플랫폼으로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Google Korea의 CMI(Consumer & Market Insights) 팀의 ..

2021년 세대별 소비자 분석 / 팬데믹이 바꾼 라이프스타일

2021년 세대별 소비자 분석 / 팬데믹이 바꾼 라이프스타일 https://www.thinkwithgoogle.com/intl/ko-kr/consumer-insights/consumer-trends/ 팬데믹으로 인해 달라진 일상 속에 사람들은 세대와 관계없이 온라인으로 몰리고 있습니다. 뉴노멀 시대의 세대별 관심사 및 라이프스타일과 온라인 동영상 이용 행태는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그리고 사람들의 YouTube 이용 방식의 변화는 소비자로서의 구매 여정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을까요?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Google Korea의 CMI(Consumer & Market Insights) 팀이 입소스 코리아와 함께 새로운 소비자 조사를 진행해 세 편의 인포그래픽 시리즈로 제작했습니다. 그 첫 번째 ..

⊙빅데이터로 본 한국인 세대별 공통관심사

⊙빅데이터로 본 한국인 세대별 공통관심사 (newspim.com) '일자리'…고민거리 '나이·돈·시간' 2030세대 '일자리' 언급량 전체의 35.9% 5060세대 '건강 걱정'보다 '돈 걱정' 더 많아 대한민국 국민들이 모든 세대에 걸쳐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관심사는 '일자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민거리는 '나이'와 '돈', '시간'이었다.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은 20일 (주)다음소프트와 함께 2016년 1월부터 올해 9월까지 '2030, 3040, 엄마, 5060세대' 온라인커뮤니티 게시물을 중심으로 거대자료(빅데이터)를 분석한 세대별 관심사와 고민거리를 발표했다. 세대별 관심사를 살펴보면 2030과 3040세대는 '일자리'에 가장 높은 관심을 보였다. 엄마와 5060세대도 두 번째로 높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