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9 4

md114.com / vol. 2421

md114.com / vol. 2421•Issue & trend 〔emoji〕 새로운 소통 트렌드 '이모지 이모티콘'〔emoji〕 글로벌 이모지 트렌드 보고서〔emoji〕 구글, 통화 중 효과음 전송하는 '오디오 이모지'〔emoji〕 "카톡에 없으면 안돼" 원성에…이모지 종료 '철회'〔emoji〕 ‘NEW 삼성 이모지’ 탄생 비하인드 스토리•Contents ★진주 하연옥 / 1945, 진주냉면의 원조★우래옥 1946 /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평양냉면★양평옥천 황해식당 / 1952, 황해도식 냉면★오장동 흥남집 / 1953, 함흥냉면 전문점★대전 숯골냉면 / 1954, 평양 모란봉 냉면의 계보★백령도 진촌마을 냉면집 / 1960년대, 백령냉면⊙냉면의 계보•Develop & Archi (Subscriptio..

★대전 숯골냉면 / 1954, 평양 모란봉 냉면의 계보

★대전 숯골냉면 / 1954, 평양 모란봉 냉면의 계보 •위치 : 대전 유성구 신성로 신성동 166-1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으로 인해 평양에 살던 피난민들이 남쪽으로 내려오게 되고 그 피난민 중 평양에서 1대 박내섭 씨에 이어 2대는 박재록 씨가 운영하던 모란봉 냉면의 아들인 박근성 씨가 1.4 후퇴 때 혈혈단신으로 남하하여 1954년 처가인 대전에 자리를 잡아 당시 메밀이 많이 나던 숯골(대전광역시 유성구 신성동 및 그 주변) 장터에서 '숯골원냉면'이라는 상호로 냉면집을 개업하여 평양 모란봉냉면의 기술과 맛을 복원하는데 주력하였다.  숯골 평양냉면은, 흔히 접하지 못한 현 주민보다는 같이 월남한 이주민의 기호에 맞았다. 그도 그럴 것이 냉면의 주재료는 메밀이다.  피난살이 설움을 안고 태어난..

★양평옥천 황해식당 / 1952, 황해도식 냉면

★황해식당 / 1952, 황해도식 냉면 • 위치 : 경기 양평군 옥천면 경강로 1493-8  당신이 미처 몰랐던 이북 냉면, 양평 옥천냉면(ktsketch.co.kr) 우리가 알고 있는 원조 냉면집들이 흔히 그렇듯, 황해식당 역시 1952년에 문을 열었다.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한 후 황해도 금천에서 피난을 내려온 부부는 부산에서 지내다 1952년에 경기도 양평으로 올라왔다. 전쟁이 끝나면 하루라도 빨리 금천으로 올라가기 위해서였다.    ◇얼른 집 갈 생각에 자리 잡았던 양평, ‘옥천냉면’이 되기까지 양평에 온 부부는 용문산이 있는 옥천에 자리를 잡았고, 금천에서도 냉면집을 했던 터라 이곳에서도 냉면집을 차렸다. 그렇게 故김순덕 할머니가 냉면과 완자, 편육을 팔기 시작한 것이 양평 옥천냉면의 시초다..

★백령도 진촌마을 냉면집 / 1960년대, 백령냉면

★백령도 진촌마을 냉면집 / 1960년대, 백령냉면(chosun.com) 백령도에는 이곳 외에도 중화동, 사곶, 신화동, 가을리 등 냉면을 내놓는 전문 식당이 있다. 백령도 냉면은 메밀로, 육수는 사골을 기본으로 하는 황해도식이다. 남북 분단 이전에 백령도는 황해도에 속했다. 백령도에 냉면을 파는 식당이 문을 연 것은 1960년대이지만 겨울철에 시작해 봄이 오면 문을 닫는 계절 음식이었다. 냉면은 한반도 북부 지방 음식이다. 겨울철이면 손맛 좋은 집에 삼삼오오 모여 냉면을 내렸다. 국수틀도 마을에 하나쯤은 있었다. 백령도도 마찬가지였다. 특히 전쟁을 피해 백령도로 들어온 실향민에게 냉면은 삶의 허기와 고향 생각을 달래는 음식이었다.   며칠 머물다 전쟁이 끝나면 돌아갈 심산으로 고향에서 가까운 백령도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