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ail Issue 1138

2022년 패션유통산업의 9가지 키워드

2022년 패션유통산업의 9가지 키워드 새해 글로벌 패션, 불평등한 회복…‘극단적 양극화가 온다’ (apparelnews.co.kr) 3~8% 성장률 예상되지만 상위 소수 그룹 주도 대다수 기업들 고통스러운 회복 과정 거칠 것 공급망 재편, 지속가능성, 디지털化 가속 맥킨지는 최근 발간한 새해 전망 보고서에서 글로벌 패션 시장이 2019년 대비 3~8%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숫자의 함정에 빠져 상황을 낙관하는 오류를 범해선 안 된다. 3~8%라는 숫자에는 공급망 병목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즉,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생기는 비용과 가격 인상 요인이 포함되어 있다. 또 한 가지 중요한 포인트는 이러한 성장이 결코 모든 나라, 모든 시장에 걸쳐 균등하게 일어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팬데..

⊙백화점 '1조 클럽'

⊙백화점 '1조 클럽' (hankyung.com) 해외 패션이 매출 상승 견인 신세계 대구점 등 6곳 신규 진입 올해 국내에서 매출 1조원을 돌파한 백화점이 역대 최다인 11개에 달할 전망이다. 지난해 5개에 그쳤던 백화점 ‘1조 클럽’이 1년 만에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난 것이다. 수도권과 부산은 물론 대구에서도 매출 1조원을 넘은 백화점이 처음 나왔다. 해외 명품·의류 등 패션부문의 폭발적 판매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 최근 국내 백화점과 주요 패션업체 대표 자리를 ‘브랜드 헌터’ 출신들이 꿰차는 이유다. 21일 백화점업계에 따르면 올해 1조원 매출을 넘어선 매장은 신세계 4개 점을 비롯해 현대백화점과 롯데백화점 각각 3개, 갤러리아백화점 등 총 11개로 집계됐다. 신세계는 강남점, 부산 센텀시티점에 이..

2022년 주요 소매 트렌드 예측 / Market Source

2022년 주요 소매 트렌드 MarketSource Sales Acceleration for B2B and Retail Brands | MarketSource Take your Retail and B2B sales and customer experience to new heights with purpose-built and tech-enabled solutions that deliver measurable business outcomes. www.marketsource.com 글로벌 인재 관리 회사 Allegis Group의 자회사 MarketSource에서 2022년 소매 트렌드 예측을 발표했습니다. 1. 소비자들은 사회적 측면에서 매장에서 쇼핑하는 것을 계속 선호할 것입니다. 2. 예측 데이터 분석은..

⊙'유통맞수' 롯데·신세계 '대구 大戰'

⊙'유통맞수' 롯데·신세계 '대구 大戰' ···롯데 ‘경북권 최대 쇼핑몰’ 짓는다 (sedaily.com) 대구 수성복합몰에 7,500억 투입 연면적도 40% 늘려 2025년 오픈 '연매출 1조' 대구신세계에 맞불 신세계 '지역 1번점 전략으로 맹추격 광주, 부산 등에서 매출 압도적 우위 '흔들리는 1위' 롯데, 수성 위해 '대형화 카드' 롯데쇼핑이 대구에 7,500억원을 들여 경북권 최대 복합쇼핑몰을 짓는다. 롯데쇼핑은 수도권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지역 1번점' 전략으로 펼친 신세계로부터 맹추격을 당하며 유통 강자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롯데쇼핑은 이번 출점을 통해 개점 5년만에 연매출 1조원으로 올라선 대구신세계에 뺏긴 경북권의 주도권을 찾아 오겠다는 전략이어서 양사의 점포 몸집 키우기 경쟁이 더욱..

⊙위기의 롯데 인사 칼바람

⊙위기의 롯데 인사 칼바람 (tnnews.co.kr) 롯데가 11월 25일 롯데지주 포함 38개 계열사의 이사회를 열고 2022년 정기 임원인사를 단행했다. 롯데는 기존 비즈니스 유닛(BU·Business Unit) 체제를 대신해 헤드쿼터(HQ·Head Quarter) 체제를 도입했다. 롯데는 2017년 3월 BU 체제를 첫 도입했다. 유통, 화학, 식품, 호텔·서비스 등 4개 BU를 조직해 각 BU장이 해당 사업군의 경영을 총괄하도록 했다. 각 BU는 계열사들의 현안 및 실적 관리, 공동 전략 수립 등 시너지를 높이는 업무에 주력해왔다. 롯데는 약 5년간의 BU 체제 유지를 통해 소기의 성과를 달성한 것으로 판단하고, 더욱 빠른 변화 관리와 실행, 미래 관점에서의 혁신 가속화를 위해 이번 조직개편을 추..

⊙나이키, 글로벌 갑질에 국정감사 출석

⊙나이키, 글로벌 갑질에 국정감사 출석 (tnnews.co.kr) 세계적 스포츠용품업체 나이키가 글로벌 갑질 문제로 공정거래위원회 국회 국정감사에 출석했다. 증인으로 출석한 나이키코리아 관계자는 하도급 관계와 갑질 문제에 대해 대답하지 않거나 ‘모르쇠’로 일관했다. 나이키는 2005년부터 국내에서 독특한 방식의 거래구조를 적용해 국내 중소업체 등의 납품 단가를 후려치는 등 부당 거래행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나이키의 글로벌 갑질 문제는 이번 국정감사의 주요 화두였다. 하지만 나이키 측은 모르쇠로 일관해 빈축을 샀다. 공정위에 신고한 석영텍스타일에 따르면 국내 15개사가 16년간 나이키의 글로벌 갑질로 받지 못한 금액은 550억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나이키는 석영텍스타일과 제품 개발 논의 등을 직접했지만, ..

⊙코로나19 확산이 골프 시장 활성화 기여

⊙코로나19 확산이 골프 시장 활성화 기여 (tnnews.co.kr)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야외 스포츠인 골프의 인기가 크게 높아졌다. 최근에는 골프와 어린이의 합성어인 ‘골린이’라는 신조어까지 생겨났다.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외부 활동에 제한이 생기자 야외 스포츠인 골프가 활성화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야외에서 경기가 진행되는 골프는 비교적 코로나19 감염에서 안전하다는 이유로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에는 골프 2030 젊은 층들도 골프 입문을 선언하며 ‘골린이(골프+어린이)’라는 신조어가 생겨나기도 했다. 관세청에 따르면 2021년 1월에서 10월 사이의 ‘골프용품 수입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3% 증가한 6억10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골프웨어 시장도 함께 크게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올리브영 독주…H&B숍 희비 엇갈려

⊙올리브영 독주…H&B숍 희비 엇갈려 (tnnews.co.kr) 국내 H&B숍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오프라인 중심의 유통이 위축되자 국내 H&B숍의 상황도 어렵게 흘러가고 있다. 현재 올리브영과 시코르를 제외하면 모두 사업을 축소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오프라인에 기반을 둔 H&B숍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올리브영이 탄탄하게 자리를 잡고 있는 반면 롭스와 랄라블라 등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코르는 불황 속 선전하고 있다. CJ올리브영은 지속적인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2020년 기준 CJ올리브영의 국내 매장수는 1259개로, 국내 H&B스토어 시장 점유율은 약 86%에 달한다. 무엇보다 CJ올리브영의 성공 요인은 화장품의 모든 것을 한 곳에서 구입할..

⊙백화점 3사의 격전지 된 가구·리빙 시장

⊙백화점 3사의 격전지 된 가구·리빙 시장 (tnnews.co.kr) 국내 경영참여형 사모펀드 운용사인 IMM 프라이빗에쿼티가 국내 1위 가구·인테리어 업체인 한샘을 인수했다. 특히, IMM 프라이빗에쿼티는 전략적 투자자로 롯데쇼핑을 선택했다. 이에 따라 국내 백화점 3사는 가구.리빙 분야에서 또 다른 경쟁을 할 전망이다. 롯데쇼핑이 가구·인테리어 기업 한샘 인수에 참여하면서 백화점 3사가 리빙 시장에 뛰어든 형국이 됐다. 국내 경영참여형 사모펀드(PEF)운용사인 IMM 프라이빗에쿼티(PE)는 국내 1위 가구·인테리어 업체인 한샘을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한샘은 창업주이자 최대주주인 조창걸 명예회장이 보유한 지분 15.75%를 포함한 특수관계인 7인 지분(약 25%)를 IMM PE에 매각하는 양해각서(MO..

⊙대기업들의 유통 플랫폼 인수 봇물

⊙대기업들의 유통 플랫폼 인수 봇물 (tnnews.co.kr) 신세계그룹이 지마켓을 보유하고 있는 이베이코리아를 전격 인수했다. 올해 유통기업들의 플랫폼 인수가 봇물을 이뤘다. 신세계그룹 이마트는 이베이코리아를 3조 4400원에 인수하기로 확정됨에 따라 네이버쇼핑, 쿠팡 등과의 ‘e-커머스 삼국지’가 벌어지게 됐다. 이마트는 이베이 본사와 이베이코리 인수를 위한 ‘지분 양수도 계약(SPA)’을 체결했다. 인수지분은 80.01%, 인수가액은 3조4404억3000만원이며 나머지 지분 19.99%는 이베이 본사가 그대로 보유한다. 이마트의 이베이코리아 단독인수로 e커머스 시장의 기존 강자인 네이버, 쿠팡과 치열한 경쟁을 벌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재 거래액 기준 국내 e커머스 시장점유율은 네이버가 17.4..

⊙샤넬, 수요 급증에 멈춤 없는 가격 인상

⊙샤넬, 수요 급증에 멈춤 없는 가격 인상 (tnnews.co.kr) 샤넬이 11월 가격 인상을 발표했다. 올해만 4번째 인상이다. 이에 따라 샤넬 제품 중 혼수로 인기가 높은 클래식백 스몰의 가격도 1천만원을 돌파했다. 코로나19로 전반적인 경기가 침체된 모습이었지만 명품 시장만큼은 달랐다. 흔히 ‘없어서 못판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신제품이 출시될 때에는 백화점 명품 매장 앞에 오픈런 현상까지 일어났다. 이러한 분위기에 따라 명품 브랜드들은 가격 인상을 여러차례 실시해 빈축을 샀다. 프랑스 명품 샤넬은 11월 가격을 인상한다고 밝혔다. 올해만 네 번째 인상으로, 인기 제품인 클래식백 라인의 경우 하룻밤 새 모두 1000만원을 넘어섰다. 샤넬 클래식백 스몰 사이즈의 가격은 893만원에서 1052만원으..

⊙‘다사다난’했던 쿠팡의 한해

⊙‘다사다난’했던 쿠팡의 한해 (tnnews.co.kr) 올해 쿠팡은 창업 10년 만에 전 세계 증권가 메카인 뉴욕증시에 상장했다. 올해 이커머스 기업 쿠팡은 다양한 이슈로 뉴스 메인을 장식했다. 지난 2010년 국내 이커머스 서비스 스타트업으로 출발한 쿠팡은 창업 10년 만에 전 세계 증권가 메카인 뉴욕증시 상장에 성공했다. 공시에 따르면 쿠팡의 지난해 총 매출은 119억 7000만 달러(한화 13조 3000억 원)이며 순 손실은 5200억 원을 기록했다. 쿠팡은 지난 3월 뉴욕 증시에 입성한 후 단숨에 자산가치 30조원을 넘어섰다. 지금은 주가 가치가 하락해 상장 초기 시점보다 기업 가치가 크게 줄었다. 하지만 쿠팡은 현재까지 상장을 통해 얻은 자금으로 물류센터 구축 등에 투자하고 있다. 쿠팡의 뉴욕..

⊙패션·뷰티업계에 부는 ESG 경영 바람

⊙패션·뷰티업계에 부는 ESG 경영 바람 ((tnnews.co.kr) 올해 산업계 주요 화두로 떠오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따라 패션·뷰티업계가 친환경 경영에 큰 관심을 보였다. 특히, 소비자들 역시 단순히 물건만 구입하는 것이 아닌 가치소비를 중시하면서 기업들의 이러한 활동을 더욱 도드라졌다. 노스페이스는 플리스 신제품에 제주에서 수거한 페트병을 리사이클링한 원단을 적용하고, 이랜드가 운영하는 SPA 브랜드 스파오의 대표 겨울 상품 ‘허니푸퍼’ 패딩은 동물 털을 대신하는 윤리적인 패딩 충전재 ‘3-MIX SOFT’와 환경친화적 소재 덕파이버를 사용했다. 의류뿐 아니라 신발도 마찬가지다. 휠라는 최근 친환경 소재를 접목한 ‘어스터치 시리즈’를 출시했다. 재활용 합성가죽, 재활용 코르크 등 ..

⊙백화점 3사 각각 신규 출점으로 시선 집중

⊙백화점 3사 각각 신규 출점으로 시선 집중 (tnnews.co.kr) 코로나19 확산세 속에서도 올해 백화점 3사가 일제히 신규출점을 강행했다. (사진01)더현대서울, (사진02)롯데백화점 동탄점 . (사진03)대전 신세계. 올해 백화점 3사(롯데·신세계·현대)가 일제히 신규 점포를 열었다. 올해 2월 현대백화점이 여의도에 ‘더현대서울’ 오픈하면서 먼저 포문을 열었다. 이어 8월 롯데백화점 동탄점과 신세계백화점 대전점이 오픈했다. 현대백화점은 신규 출점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현대백화점의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 익은 475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6.3% 증가했다. 매출은 9천248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39.6% 증가했다. 순이익은 630억원으로 67.7% 늘었다. 이 중 백화점 부문 매..

2021년 유통업계 10대 뉴스 / 리테일매거진

2021년 유통업계 10대 뉴스 (retailing.co.kr) 위기 속 활발했던 인수합병·협업제휴 이커머스는 3강 체제로 돌입 코로나19 안정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시작했지만 2021년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어졌고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은 계속해서 힘든 시기를 지냈다. 한편 이커머스 시장은 3강 구도를 형성했고,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인수합병, 이업종 간 협업이 활발하게 발생했다. 오프라인 매장 경우 업태에 따라 출점과 리뉴얼이라는 각기 다른 전략을 펼치며 위드 코로나 시대에 대비하고 있다. 리테일매거진은 2021년을 마무리하면서 올해 다시 한 번 짚고 넘어가야 할 10가지 뉴스를 선정했다. ① 유통업계 인수합병 열풍 2021년은 유통업계에 대형 인수합병이 활발하게 이뤄진 한해였다. 특..

⊙미국 유통업계 ESG 어워드

⊙미국 유통업계 ESG 어워드 (retailing.co.kr) 식품·소비재 기업의 근간은 고객니즈 해소에 있다. 소비자 삶을 변화시키고 지역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이들 중에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ESG)의 모범적인 사례로 손꼽히는 기업이 많다. 미국 유통전문지 ‘프로그레시브 그로서(Progressive Grocer)’는 기업의 ESG 활동을 평가한 ‘임팩트 어워드(Impact Award)’를 열고 미국 슈퍼마켓과 협력업체들의 성과를 소개했다. 총 9개 부문에 25개 기업이 선정됐는데, 부문별 대표 사례를 통해 미국 식품업계 ESG 현황을 알아본다. ★퍼블릭스 / 지역사회 환원 미국 남동부 지역을 기반으로 한 퍼블릭스(Publix) 슈퍼마켓은 2020년 4월 ‘파머스&패밀리스(Farmers&..

⊙미국의 소매업 트랜드

⊙2021 미국 소비 트렌드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1년에도 팬데믹으로 인한 라이프스타일 큰 변화 없을 것으로 예상 - - 제품 가격에 민감하고 가정에서 많은 시간 보내는 생활 지속 - 공중보건의 위기를 몰고 온 코로나19는 미국 소비자들의 소비 행태와 습관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연말, 코로나19 백신 공급이 시작됐으나 팬데믹으로 촉발된 미국인 일상의 변화는 올해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시장조사기관 NPD그룹, 가트너, 나스닥 등이 선정한 2021년 미국 소비 트렌드 전망 가운데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합리적 소비의 시대, 스토어 브랜드 인기 고공행진 지난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소매업체가 자체상표를 부착해 판매하는 스토어 브랜드(Private Label) 인기가 더..

⊙유통시장 현안에 대한 20·30세대 의견 조사 결과 / 전국경제인연합회

유통시장 현안에 대한 20·30세대 의견 조사 결과 / 전국경제인연합회 http://www.fki.or.kr/FkiAct/Promotion/Report/View.aspx?content_id=34bf0dd2-3734-4068-bf36-e8c8279e2476&cPage=&search_type=0&search_keyword= - (구매경로) 모바일(37.1%), 온라인(18.2%), 대형마트(19.3%).......전통시장(1.2%) - (유통규제) 대형마트 영업규제 완화, 찬성(48.0%)이 반대(11.6%) 보다 4배 이상 많아 - (중고제품) 중고제품 구매 유경험 63.5%, 구매시 품질, 가격 순으로 고려 - (중고자동차) 중고차 매매시장 국내 자동차 제조회사 참여, 찬성 53.6% vs 반대 9.1%..

〔Retail Therapy〕확 달라진 유통사 신규 점포, 체인지 키워드 5

〔Retail Therapy〕확 달라진 유통사 신규 점포, 체인지 키워드 5 (apparelnews.co.kr) 쇼핑만 하던 오프라인은 잊어라. 작년과 올해 새로 문을 연 대형유통 점포들이 과거 틀을 벗었다. 복합몰은 더 업그레이드 됐고, 특히 두드러지는 변신은 백화점이다. 이전에 없던 새로운 형태, 파격 실험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 롯데 동탄점 2BF 전경 급속한 온라인으로의 이탈 속에 코로나까지, 위기가 고조된 백화점의 선택은 '온라인에서 경험할 수 없는' 것. MZ 세대를 비롯한 폭넓은 연령층을 홀릴 수 있는 오래 머무를 콘텐츠, 쉼을 제대로 느낄 자연친화적인 공간, 복합 문화·예술 공간 등에 공을 들이고 있다. 닮은 듯 다른 최근의 오프라인 변신은 신규점 뿐 아니라 주요점의 리뉴얼까지 더해져 ..

⊙위기를 기회로, 유통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위기를 기회로, 유통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KB경영연구소 (kbfg.com) 〈유통업의 위기 진단〉 • 2017년부터 미국 오프라인 중심 유통기업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이커머스(E-commerce) 기업들의 빠른 성장에 대응하지 못하고 오프라인 매장을 폐점하고 파산 보호 신청에 들어가는 위기 상황이 발생 • 유통업의 오프라인 위기는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으며, 2017년에서 2020년 사이 미국 내 1만3800개 이상 오프라인 매장이 폐점 • 국내 유통업 또한 온라인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오프라인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온라인 점유율이 증가하는 상황 〈유통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전략〉 • [옴니 채널(Omni-channel)]] ..

〔Retail Therapy〕우미건설, '레이코꼬모' 리테일 테라피 공간으로

〔Retail Therapy〕우미건설, '레이코꼬모' 리테일 테라피 공간으로 (wikileaks-kr.org) 동탄호수공원의 자연환경과 다양한 쇼핑을 즐길 수 있는 레이크꼬모 동탄이 '리테일 테라피'(쇼핑을 통한 힐링)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 레이크꼬모 동탄은 공원녹지 56만㎡, 호수면적 18만4000㎡에 달하는 대규모 공원과 맞닿아 있어 자연과 상업시설의 편리함을 동시에 만끽할 수 있는 '라이프스타일 파크'(Lifestyle Park) 콘셉트로 기획된 복합 상업공간이다. 레이크꼬모 동탄은 일본 도쿄의 롯폰기힐즈와 긴자식스 등으로 유명한 '모리빌딩도시기획'이 기획에 참여하고 우미건설이 시행과 시공을 맡아 경기도 화성시 동탄대로 181에 총 6개 층, 2만3100㎡(전용면적 약 7000여 평) 규모로 조..

〔Retail Therapy〕백화점·복합쇼핑몰, 자연 힐링 마케팅 봇물.

〔Retail Therapy〕백화점·복합쇼핑몰, 자연 힐링 마케팅 봇물. (greened.kr) 자연친화형 공간 조성...코로나19 장기화에 휴식 테마 늘어 현대백화점, 더현대서울에 이어 목동점 실내 정원 조성 스타필드 코엑스몰, 별마당 도서관 ‘봄날의 시’ 행사에 생화 풍경 롯데백화점, 노원점 리모델링에 정원 카페 조성 백화점·복합쇼핑몰업계는 자연친화형 공간을 조성해 '리테일 테라피(쇼핑을 통한 힐링)' 고객 모시기에 한창이다. 코로나19 장기화로 휴식·힐링을 원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판매 환경에도 변화가 일고 있다는 분석이다. ★사운즈 포레스트(Sounds Forest) 현대백화점은 리테일 테리피 적용 공간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달 문을 연 ‘더현대 서울’은 실내 정원인 ‘사운즈 포레스트’를 ..

〔Retail Therapy〕쇼핑이 곧 여가생활…럭셔리가 백화점을 구원하리라.

〔Retail Therapy〕쇼핑이 곧 여가생활…럭셔리가 백화점을 구원하리라 (mk.co.kr) 온라인 편리함과 상관없이 레저쇼핑 갈수록 중요해져 1분기 실적을 마감하면서 '명품 보복소비에 따른 백화점 실적 호조'라는 기사를 자주 접하게 된다. 럭셔리 매출이 백화점 실적을 좌우하는 현상은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라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렇다면 과연 럭셔리는 백화점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기에 백화점 실적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며, 백화점들 간의 유치경쟁을 불러일으키는 것일까? 근본적인 원인은 럭셔리가 백화점을 위협하는 온라인과는 방법론이 상충된다는 데 있다. 최저가 경쟁, 빠른 배송, 반품 및 교환의 편리성을 내세운 온라인 방법론이 대세가 된 지금, 럭셔리는 백화점 상품 중 온라인과의 경쟁에서 ..

〔Retail Therapy〕쇼핑을 통한 기분 전환 / 리테일 테라피

〔Retail Therapy〕쇼핑을 통한 기분 전환 / 리테일 테라피 http://v.media.daum.net/v/20131202092106275 리테일 테라피(retail therapy)는 쇼핑을 통한 기분 전환을 뜻하는데요. 스트레스가 쌓일 때 쇼핑을 하는 여성분들 많으실 텐데요. 그 때, 이 용어를 사용합니다. 치유의 목적이 있다는 식으로 쇼핑을 합리화시키는 표현이라네요.

〔Retail Therapy〕가장 유혹적인 인생 레슨 / 쇼핑 테라피

〔Retail Therapy〕가장 유혹적인 인생 레슨 / 쇼핑 테라피 http://book.daum.net/detail/book.do?bookid=KOR9788957972885 저자 아만다 포드 지음 역자 정윤희 옮김 ◇쇼핑에 빠진 여자는 미치지 않았다! 미국의 베스트셀러 작가 아만다 포드가 강의하는 가장 유혹적인 인생 레슨, 『쇼핑 테라피』. 마치 연극을 보는 것처럼 저자와 그녀의 지인들이 겪은 쇼핑 스토리 30편이 옴니버스 형식으로 펼쳐지면서, 우리가 자신의 쇼핑 스타일을 깨닫는 것은 물론, 다음 쇼핑에서는 지금까지 빠져있던 함정에서 벗어나 완전하고 성공적인 쇼핑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 이 책은 쇼핑을 통해 인생을 살아가는 꼭 필요한 지혜 30가지를 선사하는 지침서다. '지혜로운 쇼핑을 방해..

〔Smart Home〕2년뒤 국내 스마트홈 시장 100조원 넘는다.

〔Smart Home〕2년뒤 국내 스마트홈 시장 100조원 넘는다. (etnews.com) 우리나라 스마트홈 시장이 오는 2023년이면 100조원을 돌파하고, 2025년엔 115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급성장에 따른 글로벌 표준 대응과 시장에 적합한 맞춤형 솔루션 개발이 과제로 떠올랐다. 16일 한국스마트산업협회는 온라인으로 스마트홈리더스포럼을 개최하고, 산업 트렌드와 국내 산업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공개한 '국내 스마트홈 산업 동향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홈 시장은 2019년 약 70조9398억원에서 2020년 78조2837억원으로 약 10.4% 성장한 것으로 추정했다. 올해 시장은 85조7048억원 규모로 성장하고, 이어 2023년엔 처음 100조원(100조4455억원)..

■ 더본코리아(theBORN) 1994

■ 더본코리아(theBORN) 1994 (theborn.co.kr) •(주)더본코리아 / 대표이사 백종원 •본사 : 서울시 강남구 봉은사로 1길 39 유성빌딩 5~6층 •설립일 : 1994년 1월 12일 •창업주 : 백종원 •유형 : 요식업, 숙박업, 교육업 •매출액 : 1,201억원 (2019) •직영&가맹점 : 1267개 (2012) 〈요식업〉 1993년 원조쌈밥집 브랜드 런칭을 시작으로 1998년 7월 역세권, 번화가에 하나씩 보이는 한신포차, 1999년엔 대패삼겹살을 백종원이 개발 및 상표를 등록했다. 2002년 본가 브랜드 런칭, 2004년 해물떡찜 0410 런칭, 2008년 알파 갈매기살 런칭, 같은 해 절구미집 런칭, 2006년 빽다방을 런칭했으며 2011년 역전우동을 런칭했다. 2015년부..

■ 공영식품(共榮食品) 1988

■ 공영식품(共榮食品) 1988 기소야 (kisoya.co.kr) •업종 : 음·식료품·식품가공 •본부 : 삼성로 92길 13 •설립 : 1988년 12월 15일 •매출액 : 83억 8,334만원 (주)공영식품은 1988년에 설립된 음·식료품·식품가공 업종의 냉동식품(면류) 개발연구업냉동식품 제조 및 판매업식품 조미료의 제조 및 판매업일반음식점업가맹점 모집 운영 및 기술지도업식품 수출입업각호에 사업을 하는 중소기업 입니다. 사원수 30명 규모로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서이천로 853번길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브랜드〉

⊙유니클로,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 QQ뮤직과 협업 / 패션과 음악 콜라보

⊙유니클로,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 QQ뮤직과 협업 / 패션과 음악 콜라보 (retailing.co.kr) 유니클로는 2017년부터 중국 최대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 QQ뮤직과 협업을 이어오고 있다. 지난 2월에는 양사가 함께 주최하는 음악 창작 경연대회를 개최했다. 참가자들은 예술, 트렌드, 개성 등 여러 키워드 중 2개를 선택하고 여기에서 영감 받은 곡을 만들되 가사에 ‘유니클로 UT’를 추가해야 한다. 심사를 거쳐 우승한 곡은 중국 내 유니클로 매장 800여 곳에서 재생되고 해당 작곡가에게는 많은 상금과 콘서트 개최 등 다양한 혜택이 제공됐다. 유니클로는 음악 인재 및 자원을 개발하고 건강한 창작 환경을 조성해 음악 팬들에게 더 많은 즐거움을 주기 위해 QQ뮤직과 새로운 협업 이벤트를 계획했다고 밝혔다..

⊙핀둬둬, 부동산 거래 플랫폼 워아이워지아와 협업 / 부동산 매매 및 임대서비스 제공

⊙핀둬둬, 부동산 거래 플랫폼 워아이워지아와 협업 / 부동산 매매 및 임대서비스 제공 (retailing.co.kr) 이커머스 플랫폼 핀둬둬 역시 부동산 거래 플랫폼 워아이워지아와 손을 잡았다. 먼저 핀둬둬의 플랫폼에 워아이워지아의 공식 홈페이지가 입점했다. 협업을 통해 핀둬둬에서 손쉽게 워아이워지아로 접속할 수 있게 됐고, 핀둬둬 역시 부동산 임대와 매매 서비스 등 서비스 저변을 확대할 수 있게 됐다. 양사의 협업을 알리기 위해 핀둬둬는 ‘100억 위안 보조’ 이벤트를 진행했다. 과거에도 진행해온 해당 이벤트는 인기상품을 대상으로 고객에게 대규모 보조금 혜택을 제공하는 행사다. 본래 생활소비재, 가전제품, 패션, 미용용품 등이 주요 대상이었으나 이번 협업으로 부동산 상품까지 포함하면서 소비자 관심을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