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ail Issue 1138

〔다크 이코노미〕매장 손님 안받아도 살 수 있다.

〔다크 이코노미〕매장 손님 안받아도 살 수 있다. 조선일보 (chosun.com) ‘다크 이코노미’ 전략을 쓴다면 창고만 있는 소매점, 주방만 있는 음식점 비용 줄이고 온라인 공략하는데 초점 미국의 스포츠·아웃도어 용품 판매업체인 ‘아카데미 스포츠앤아웃도어’는 지난해 신종 코로나 사태가 닥치자 250여 개 매장의 문을 닫아야 했다. 매출이 급감하면서 매장을 유지하면 할수록 적자가 늘었다. 위기에 몰린 이 회사가 찾은 대안은 매장을 창고처럼 바꾸고, 구매는 인터넷으로만 가능하게 하는 것이었다. 매장 앞 주차장은 ‘픽업 센터’로 바꿨다. 고객은 더는 매장에서 직접 신발이나 옷을 고를 수 없었고, 집에서 온라인으로 주문한 뒤 매장 주차장에서 물건을 받아야 했다. 고육지책(苦肉之策)은 뜻밖의 ‘대박’으로 이어졌..

〔다크 이코노미〕롯데마트 ‘다크 스토어’ 매출 90% 폭증…

〔다크 이코노미〕롯데마트 ‘다크 스토어’ 매출 90% 폭증… 조선일보 (chosun.com) 한국의 ‘다크 이코노미’ 현장 가보니 기존 매장과 사업 모델을 비대면·온라인 중심으로 바꾸는 ‘다크 이코노미’의 조류는 한국 시장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서울 송파구 잠실동 롯데마트 잠실점 지하 3층 매장은 이 회사의 ‘다크 스토어'다. 롯데마트는 오프라인 손님이 줄고 온라인 주문이 급증하는 다크 이코노미의 변화가 감지되자 작년 11월 말부터 잠실점 매장 뒷공간에 다크 스토어를 만들었다. 오후 3시, 마트 영업이 한창인 시간대에도 115평 규모의 매장에는 자동화 기능이 탑재된 8개의 철제 분류대와 그 안을 채우는 수백 개의 플라스틱 상자들만 빼곡했다. 이 상자는 인터넷이나 모바일 앱으로 주문한 손님들의 장바구니다..

⊙빅3, 초대형 백화점 나란히 오픈

⊙빅3, 초대형 백화점 나란히 오픈 어패럴뉴스 - 빅3, 초대형 백화점 나란히 오픈 (apparelnews.co.kr) 현대 여의도 파크원, 롯데와 서울권 점유율 경쟁 롯데 동탄, 신세계 대전 등 지역 최대 점포 노려 올해 롯데, 신세계, 현대 등 빅3 유통사들이 나란히 백화점 점포를 출점한다. 2019년 1월 롯데가 신세계 인천터미널점을 인수하며 점포를 추가한 것을 제외한 빅3 유통의 백화점 신규 출점은 2016년 12월 신세계 대구점 이후 5년 만이다. 그만큼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대백화점은 오는 2월 서울 여의도에, 롯데쇼핑은 6월 화성 동탄역 복합환승센터에, 신세계는 하반기 대전 유성구 신세계 사이언스콤플렉스에 각각 백화점 점포를 오픈한다. 3개 점포 모두 초대형 규모다. 가장 주목되는..

2020년 온라인쇼핑 결산과 전망

⊙온라인쇼핑 2020 결산과 전망 (retailing.co.kr) 온라인 침투율 40% ◇카테고리 전문몰 급부상 국내 온라인쇼핑 시장 규모는 2020년에도 10% 후반대의 고성장세를 달성했다. 소매시장 내 온라인 침투율은 40%대를 상회하고 있으며, 올해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대형 온라인 플랫폼과 식품 카테고리 전문몰, 카테고리별 수직화에 성공한 전문몰 등을 중심으로 경쟁구도 변화가 예상된다. 한편 플랫폼 간 경쟁이 가속화되면서 최근에는 자사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합종연횡과 제휴도 본격화되고 있다. 통계청과 이마트 유통산업연구소에 따르면, 2020년 국내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약 16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2021년에는 180조 원을 넘기면서 전체 소매시장에서 온라인 시장이 차지하는..

⊙편의점 2020 결산과 전망

⊙편의점 2020 결산과 전망 리테일매거진 2021 유통산업 보고서 ④ 편의점 (retailing.co.kr) ◇성장 정체기 진입, 가맹점 추가 수익 창출 고민 코로나19 여파로 편의점의 수익성이 악화됐다. 유동인구 감소로 특수입지 매장 객수가 줄어들면서 점포당 매출액이 감소했다. 게다가 언택트 수요는 편의점 환경도 바꿨다. 비접촉 니즈에 따라 무인매장이 늘어났으며 배달 서비스가 확대됐다. 시장 포화 상태를 맞이한 편의점 업계에서 각 업체들은 숍인숍, 협업 매장 등으로 양적성장을 계속하고, 빅데이터를 활용해 점포당 매출을 개선하는 질적성장도 노리고 있다. 편의점 성장세는 지난 2019년부터 둔화되고 있었는데, 지난해 코로나19로 그 흐름이 이어졌다. 통계청 발표자료를 기반으로 2020년 편의점 업계 시장..

⊙슈퍼마켓 2020 결산과 전망

⊙슈퍼마켓 2020 결산과 전망 리테일매거진 2021 유통산업 보고서 ② 슈퍼마켓 (retailing.co.kr) 슈퍼마켓은 팬데믹에 의한 근거리 내식 수요 증가로 객단가, 매출 면에서 상승세를 달성하며 근린상권에서 존재감을 공고히 했다. 그러나 기업형 슈퍼마켓의 실적은 여전히 마이너스 기조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지속되는 규제와 온·오프라인 간 경쟁 심화에 재난지원금 사용처에서도 제외되면서 슈퍼마켓 전체 업태 성장과 무관하게 외형 확대는 이룰 수 없었다. ◇국내 슈퍼마켓 시장 규모 46조 8천억 원 2020년 기업형 슈퍼마켓을 포함한 국내 슈퍼마켓 시장 규모는 46조 8천억 원(이마트 유통산업연구소 추정치)으로 추정된다. 이는 2019년 시장 규모인 44조 2천억 원 대비 6% 성장한 수치로, 코로나19..

⊙면세점 2020 결산과 전망

⊙면세점 2020 결산과 전망 리테일매거진 2021 유통산업 보고서 ③ 백화점 · 쇼핑센터 · 면세점 (retailing.co.kr) ◇최악 맞이한 면세점, 공항 면세점 재검토 2020년 면세점에 대한 평가는 ‘천당에서 지옥으로’라는 표현이 맞을 것 같다. 2019년까지 국내 면세점 시장의 매출 성장은 가팔랐다. 2010년 4조 5천억 원으로 시작해 2019년에는 24조 8천억 원 규모로 성장했다. 최근 면세점 매출이 급속하게 늘어난 계기는 2018년 7월 신세계면세점 강남점을 시작으로 현대백화점, 엔타스 면세점 등 시내 면세점 3곳이 잇따라 오픈한 데다 2019년 5월 입국장 면세점까지 개장한 영향이 있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로 상황은 급반전됐다. •2019년 갤러리아와 두타가 면세점 사업권을 반..

⊙백화점 2020 결산과 전망

⊙백화점 2020 결산과 전망 리테일매거진 2021 유통산업 보고서 ③ 백화점 · 쇼핑센터 · 면세점 (retailing.co.kr) ◇명품만 돋보인 백화점, 언택트로 체질 개선 중 소매업태 중 코로나19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백화점은 큰 폭의 역신장을 경험했다. 명품과 리빙 카테고리에서 선방했지만 매출 하락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코로나19로 국내 경제는 1년 내내 전시 체제를 유지했다. 이러한 상황에 백화점은 급격한 침체를 피할 수 없었다.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된 지난해 2월 전년 대비 -21.4% 역신장했고 3월에는 -40.3%라는 초유의 역신장을 기록했다. 이는 IMF 경제 위기였던 1997년 12월 이후 최악의 수치였다. 소폭이나마 백화점 매출을 견인한 동력은 고소득층의 지속적인 소비였다..

⊙대형마트 2020 결산과 전망

⊙대형마트 2020 결산과 전망 리테일매거진 2021 유통산업 보고서 ① 대형마트 (retailing.co.kr) ◇코로나 치명상에도 출구 전략 모색 2020년 대형마트 업계의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3%가량 신장한 것으로 추정돼 지난 2년간 역신장에서 벗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발표하는 소매업태별 판매액에 기초해 추정 집계한 대형마트 매출 규모는 전년보다 3% 성장한 33조 4천억 원으로, 코로나19 이후 내식수요 증가에 따른 식품 매출 개선 효과에 힘입어 수년째 이어져 온 하락세에서 탈피할 수 있었다. ◇‘점포=매출’ 시대는 끝난 지 오래다. 대형마트 3사의 400개점 시대도 위태위태하다. 코로나 시대 온라인 전환 가속화로 오프라인 쇼핑객이 줄어들고 있는 탓인데, 2020년 대형마트 3사 점포..

2021년 상업용 부동산 시장 진단 및 전망' / 이지스운용

2021년 상업용 부동산 시장 진단 및 전망' / 이지스운용 (sedaily.com) 2020년 상업용 부동산 거래액 21조 지난해 오피스·물류센터는 ↑, 리테일·호텔은 ↓ 금리와 코로나19 확산, 백신 도입 상황은 변수 오피스, 물류, 리테일 매매지수(2010=100.0)/자료=이지스자산운용 리서치센터 지난해 상업용 부동산 거래규모가 총 21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여파에 리테일과 호텔 거래비중은 감소했으나, 저금리 기조 속 오피스와 물류센터는 매매가 상승이 이어졌다. 이같은 상황에서 초유의 저금리 기조로 인해 올해도 오피스와 물류센터는 매매가가 상승세를 이어가겠으나, 코로나19 확산 추이와 백신 도입 상황이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이지스자산운용은 ’2020년 상업용 부..

2020년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규모 / 약 4조 2,000억달러

2020년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규모 / 약 4조 2,000억달러 〈국내 이커머스社〉 국내 Big 3 이커머스 시업인 네이버, SSG닷컴, 쿠팡은 각각 시장 점유율 17%, 15%, 1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미국 이커머스 기업〉 아마존이 41%로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중국 이커머스 기업〉 알리바바가 50%에 달할 정도로 높습니다. 치열한 이커머스 시장 (naver.com) 이커머스 산업이란 PC, 모바일 등 온라인 매체를 이용해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시장을 의미합니다. 2020년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 규모는 약 4조 2,000억달러로, 한화 약 4,803조원의 어마어마한 크기입니다. 이커머스 시장은 2019년 대비 27.6%이라는 이례적인 성장률을 보였는데요. 기존에 이미 이커머스 시장이 상..

⊙백화점 '빅3', 신규점 줄줄이 오픈

⊙백화점 '빅3', 신규점 줄줄이 오픈 백화점 '빅3', 내년 신규점 줄줄이 오픈 < 식음료·유통 < 산업 < 기사본문 - 인터넷월요신문 (wolyo.co.kr)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대형 유통업계가 연일 몸집을 줄이고 있는 가운데, 내년에는 롯데·현대·신세계 유통 빅3가 신규 출점 카드를 꺼낼 예정이라 업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특히 빅3가 같은 해에 신규 출점을 단행하는 것은 2016년 이후 5년 만이라 더욱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현대백화점 내년 2월 서울 여의도점을 신규 오픈한다. 영업면적만 약 2만7000평에 달해 서울 시내 백화점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앞서 정지선 현대백화점 회장이 "여의도점을 대한민국 최고 랜드마크로 만들겠다"고 포부를 밝힌 것..

⊙롯데 “5년 후, 10년 후에도 일하고 싶은 회사 만들자”

⊙롯데 “5년 후, 10년 후에도 일하고 싶은 회사 만들자” [신년사] 신동빈 롯데 회장 “5년 후, 10년 후에도 일하고 싶은 회사 만들자” - SBS Biz 신동빈 롯데 회장은 2021년 신년사를 통해 “강력한 실행력으로 5년 후, 10년 후에도 일하고 싶은 회사를 함께 만들어가자“고 4일 강조했습니다. 신 회장은 지난해 여러 현장을 방문하며 “악전고투의 현장에서, 마스크 위로 보이던 여러분의 눈빛에서 반드시 이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결의를 읽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지금까지 우리는 다양한 사업분야에서 업계를 선도할 정도로 탄탄한 경쟁력을 쌓아왔다고 자부했지만, 유례없는 상황에 핵심역량이 제 기능을 발휘했는지 돌아보자”고 제안하며 세 가지 사항을 당부했습니다. 첫째로는 “그 동안 축적한 역량을 바탕..

⊙현대百그룹 "2030년 매출 40조 시대 연다"

⊙현대百그룹 "2030년 매출 40조 시대 연다" 정지선 현대百그룹 회장 "2030년 매출 40조 시대 연다" - SBS Biz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이 '매출 40조 시대'를 열겠다고 말했습니다. 정지선 회장은 올해 창립 50주년을 맞아 오늘(4일) '디지털 비전 선포식'을 열고, 10년 뒤 그룹 매출 규모를 현재의 두 배 수준인 40조원대로 키우겠다는 목표를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현대백화점그룹은 ‘계열사별 맞춤형 성장전략’과 ‘그룹 사업 다각화 전략’을 투 트랙으로 추진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계열사별 맞춤형 성장전략으로는 환경 변화에 따른 ‘밸류 체인(Value-Chain)’을 보완하고, 연관성이 높은 분야로의 사업 확장을 꾀한다는 방침입니다. 동시에 소비패턴 변화 등 미래 수요 확대가 예상되..

⊙신세계그룹, 스타필드 수원·동서울 속도 낸다

⊙신세계그룹, 스타필드 수원·동서울 속도 낸다 신세계그룹, 스타필드 수원·동서울 속도 낸다 - SBS Biz 〈스타필드 수원 부지 매입〉 신세계그룹이 복합쇼핑몰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신세계프라퍼티와 KT&G가 설립한 스타필드수원은 지난 23일 KT&G로부터 복합쇼핑몰 개발을 위해, 경기도 수원 정자동 토지를 1607억원에 취득했다고 공시했습니다. 신세계프라퍼티는 앞서 지난 2018년 KT&G와 수원 화서역 인근 옛 KT&G 연초제조장 부지를 복합상업시설로 개발하기 위한 계약을 맺고 합작회사 '스타필드수원'를 설립한 바 있습니다. 스타필드수원은 2024년 오픈할 예정입니다. 스타필드수원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스타필드수원은 스타필드하남, 고양, , 안성에 이어 4번째 스타필드가 될 전망입니다. 〈스타..

2021년 ‘포스트 팬데믹, 패션 산업의 모든 것이 달라진다’ / 어패럴뉴스

2021 ‘포스트 팬데믹, 패션 산업의 모든 것이 달라진다’ 어패럴뉴스 - 2021 ‘포스트 팬데믹, 패션 산업의 모든 것이 달라진다’ (apparelnews.co.kr) 맥킨지를 비롯한 글로벌 경제 컨설팅 기관들은 세계 경제가 2023년이 되어서야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반면 2020년 한 해 동안 디지털 커머스 시장은 평균 30% 성장하며, 5년 간의 시간이 앞당겨졌다고 평가된다. 팬데믹 이전부터 진전되어 온 4차 산업 혁명이 팬데믹을 맞아 가속화된 데 따른 것으로, 디지털 커머스의 약진이 팬데믹에 의한 일시적 현상이 아닌, 앞으로 수년 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10년 혹은 30년 후 사람들은 2020년 이후의 시간을 어떻게 기록하고 기억할까. 2차..

2020년 복종별 베스트브랜드 / 어패럴뉴스

2020년 복종별 베스트브랜드 / 어패럴뉴스 어패럴뉴스 - [송년기획] 올해의 브랜드 ‘내셔널지오그래픽’ (apparelnews.co.kr) 불안의 시대… 기존 강자들 영향력 더 커졌다 복종별 베스트 브랜드 24개 선정 男캐릭터, 스트리트캐주얼 ‘복마전’ 올해 복종별 베스트 브랜드에는 갤럭시, 앤드지, 띠어리맨, 헤지스, 시스템, 쉬즈미스, 타임, 지오다노, MLB, 커버낫, 나이키, PXG 등 24개 브랜드가 선정됐다. 여성복과 남성복은 선두 업체들의 장악력이 더 강화된 경향이 뚜렷했다. 다만 남성 캐릭터캐주얼 부문의 선두권은 완전히 교체됐고, 여성복은 모든 조닝에서 큰 이변 없이 마무리됐다. 캐주얼 역시 기존 제도권인 이지/스타일리시와 진/유니섹스 조닝의 경우 기존 강자들의 점유율이 확대되는 경향이 ..

2021년 미국 소비시장 트렌드

2021년 미국 소비시장 트렌드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82/globalBbsDataView.do?setIdx=243&dataIdx=186557 -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송두리째 바뀐 美 소비시장 - - 2021년 역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이 핵심될 것 - 팬데믹의 대유행, 각종 규제로 인한 경제 셧다운, 잠시 숨을 고른 완화기, 이전보다 더욱 심각한 팬데믹의 재확산… 돌아보면 참으로 다사다난한 2020년이었다. 이러한 엄중한 결과를 받아들이며 연말을 준비하는 동안 어느새 2021년이 단 2주 앞으로 다가왔다. 다가오는 2021년에는 무엇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까? 미국에서는 새..

2020년 유통업계 10대 뉴스 / 리테일매거진

2020년 유통업계 10대 뉴스 / 리테일매거진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898# 유통업계 코로나 쇼크, 전 업태 체질 개선의 해 올해 유통업계는 코로나19 발생으로 예상하지 못한 상황을 맞이했다. 외부 활동 감소에 오프라인 업태들은 힘든 시기를 보냈고, 온라인쇼핑은 성장했다. 다만 플랫폼의 커머스 확대, 배달 앱의 장보기 시장 진출 등 이커머스 경쟁이 한층 격화됐다. 한편 식품 수요 증가와 긴급재난지원금 사용 가능 여부 등 코로나19로 발생한 이슈에 따라 업태별 명암이 갈렸다. 리테일매거진은 팬데믹과 함께한 2020년을 마무리하면서 올해 짚고 넘어가야 할 10가지 뉴스를 선정했다. 1 코로나19 장기화, 명암 갈린 유통업계 코로나..

⊙팹랩(fab lab) / 작은 실험실

⊙팹랩(fab lab) / 작은 실험실 ‘작은 실험실’ 팹랩에서 창조경제 길을 찾다 http://news.donga.com/3/all/20140311/61595756/1 팹랩은 1998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시작된 작은 제작 실험실이다. 3D 프린터, 레이저 커터기 등의 장비를 갖추고, PC로 그린 설계도면을 실제 제작해볼 수 있는 곳이다. 지금 이 팹랩 열풍이 세계 곳곳에 불고 있다. 팹랩이 가진 의미는 무엇보다 기존 실험실과 달리 누구나 접근 가능한 공간이 될 수 있다는 데 있다. 이런 공간이 가능하다는 것은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첫째 제조업을 부활시킬 동력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현대 제조업의 핵심은 디자인 경쟁력이다. 다양한 아이디어와 이를 제품 제작으로 연결할 디자인..

⊙헥토콘(Hectocorn) 기업 / 기업 가치가 1000억달러(약 100조원) 이상인 스타트업 기업

⊙헥토콘(Hectocorn) 기업 / 기업 가치가 1000억달러(약 100조원) 이상인 스타트업 기업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201XXX2010082 헥토콘이란 기업 가치가 1000억달러(약 100조원) 이상인 스타트업 기업(신생 벤처기업)을 뜻하는 말이다. 기업 가치가 10억달러(약 1조원)가 넘는 비상장 스타트업 기업을 유니콘 기업이라 하는데, 이 유니콘의 100배 규모라 해서 숫자 100을 의미하는 접두사 헥토(hecto)를 붙여 헥토콘이라 부른다. 동영상 플랫폼 ‘틱톡’(TikTok)을 운영하는 중국 바이트댄스가 세계 최초로 ‘헥토콘’ 반열에 올랐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바이트댄스의 기업 가치는 1050~1100억달러로 평가받으며 세계 2위 스타트업..

⊙데카콘(Decacorn) 기업 / 기업가치 100억 달러가 넘는 벤처기업

⊙데카콘(Decacorn) 기업 / 기업가치 100억 달러가 넘는 벤처기업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47XXXXXXb233 기업가치 100억 달러가 넘는 신생 벤처기업을 뜻하는 경제용어. 전설 속의 동물인 유니콘에 빗대어 명명됐다. 유니콘은 한 개의 뿔이 달린 희귀동물로 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인 스타트업을 지칭하는데, 이 유니콘보다 10배 이상 가치를 지녔다는 뜻에서 100억 달러 이상인 초대형 스타트업을 데카콘이라 부른다. 스타트업의 특성상 과대평가 문제도 제기되나 현재는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축이 되었다. 신생이지만 초대형의 규모를 자랑하는 벤처기업을 뜻하는 용어. 유니콘(Unicon)에 빗대어 명명됐다. 유니콘은 전설 속의 동물로 영국문학에 빈번하..

⊙유니콘 기업(Unicorn) / 기업가치 10억 달러($1 billion) 이상, 설립한지 10년 이하의 스타트업 기업

⊙유니콘 기업(Unicorn) / 성공한 스타트업 유니콘은 신화 속에서 등장하는 이마에 뿔이 하나 달린 말을 뜻하는데, 여기서는 최근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큰 성공을 거둔 스타트업을 통칭하는 말이다. ‘유니콘(Unicorn)’은 기업가치 10억 달러($1 billion) 이상, 설립한지 10년 이하의 스타트업을 뜻한다. 원래는 스타트업이 상장하기도 전에 기업 가치가 1조 원 이상 되는 것이 유니콘처럼 상상 속에서나 존재할 수 있다는 의미로 사용됐다. 2013년 여성 벤처 투자자인 ‘에일린 리(Aileen Lee)’가 처음 사용했다. 최근에는 ‘유니콘 버블’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제2의 ‘닷컴 버블’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하지만 당시와 상황이 다르다는 견해가 우세하다. 우선 모바일이나 소셜 시장 규모가 훨..

2021년 소매경기예측 / 리테일매거진

2021년 소매경기예측 / 리테일매거진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857# 불확실성 여전한 2021 ‘뉴노멀 혁신’이 화두 2021년을 두 달 앞둔 유통업계가 어느덧 내년도 시장을 준비하고 있다. 창간 45주년을 맞은 리테일매거진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은 내년도 소매경기를 미리 예측하기 위해 업계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2021 유통 예측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소매경기 전망 인터뷰’를 진행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소비 성향이 떨어지는 것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공통된 현상으로, 업계 종사자들도 더 이상 큰 폭의 반등을 기대하지는 않았다. 실제로 설문조사 결과 2021년 국내 소매시장 회복세는 0∼1%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고, ..

〔다크 스토어〕대형마트 3사 온·오프 장점 결합 유통실험 확대

〔다크 스토어〕대형마트 3사 온·오프 장점 결합 유통실험 확대 https://www.sedaily.com/NewsVIew/1Z6F9ZDZ8K @롯데마트 중계점과 광교점에서 온·오프라인을 통합한 스마트 스토어를 선보이고 있다. 롯데마트 중계점과 광교점은 바로배송이 가능한 스마트 스토어 체제를 지난 4월 말 구축했다. 월마트와 같이 기존 매장을 미니 물류 허브로 탄생시킨 것이다. 우선 중계점과 광교점이 있는 지역은 20~40대 인구 비중이 높고 아파트에 사는 직장인이 많아 새롭게 도입하는 바로배송에 적합한 곳으로 분석됐다. 이들 매장의 모습은 언뜻 보면 기존 매장과 같다. 하지만 고개를 들어보면 매장 천장에는 설치된 레일에 온라인 주문 상품을 담은 장바구니가 쉴 새 없이 움직이며 집하장으로 이동하고 있었다...

〔다크 스토어〕월마트, 유통공룡 '옴니채널'로 진격

〔다크 스토어〕월마트, 유통공룡 '옴니채널'로 진격 https://www.sedaily.com/NewsVIew/1Z6F9ZDZ8K 세계 최대 유통 공룡으로 불리는 미국의 ‘월마트’에 최근 다른 수식어가 붙었다. 대형마트의 대명사인 월마트는 이제 ‘세계 최대의 옴니 채널 체인’으로 불리고 있다. 월마트는 아마존으로 대표되는 온라인 쇼핑 업체의 위협에 대응해 ‘클릭 앤 콜렉트’(Click & Collect)라는 옴니채널 서비스를 구축했다. 온라인으로 신선식품 등을 주문하고 집에서 가까운 매장에서 상품을 수령하는 방식이다. 비대면거래로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잠재우면서도 집 근처 매장에서 원하는 시간대에 물건을 수령할 수 있어 소비자들로부터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미국 전역에 포진돼 있는 5,..

〔다크 스토어〕롯데마트, 월마트식 ‘다크 스토어’ 본뜬 모델 도입

〔다크 스토어〕롯데마트, 월마트식 ‘다크 스토어’ 본뜬 모델 도입 https://www.news1.kr/articles/?4101865 다음달부터 ‘세미 다크 스토어’ 도입 오프라인 영업하면서 온라인용 자동화 설비 추가한 형태 롯데마트가 오프라인 점포를 물류 거점으로 활용하는 미국식 ‘다크 스토어’ 시스템을 일부 도입한 ‘세미 다크 스토어’를 운영한다고 29일 밝혔다. 롯데마트 내 후방 자동화 설비. 롯데마트 제공 롯데마트가 다음달 말 잠실점, 구리점 등에 도입하는 세미 다크 스토어는 온라인 주문처리를 위해 자동화 장비를 일부 갖춘 오프라인 점포다. 온라인 주문이 들어온 상품은 크게 ‘피킹(상품 집어 들기)→패킹(상품 포장)→배송’ 단계를 거쳐 고객 집으로 배달된다. 세미 다크 스토어는 이 중 패킹 과정..

〔다크 스토어〕오프라인 판매 거점, 주문하면 2시간 내 바로 배송

〔다크 스토어〕오프라인 판매 거점, 주문하면 2시간 내 바로 배송 https://www.kfood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928 •‘불 꺼진 슈퍼마켓’을 뜻하는 다크 스토어는 일종의 대형마트 물류창고로서 도심 내 소규모 물류 거점에서 고객이 주문한 상품을 배송하는 오프라인 매장이다. •오프라인 판매 거점이지만 고객이 직접 방문해 구매할 수 없다. 온라인 플랫폼으로 주문하면 배달원이 다크 스토어에서 물건을 수령해 배달한다. •미국 대형마트 체인인 월마트, 크로거 등은 증가하는 온라인 주문 물량을 처리하기 위해 다크 스토어를 운영하고 있다. 다크 스토어는 최근 수익성 확보가 어려운 유통가에 새로운 대안이다. 온라인 수요에 적절히 대응하면서 인건비와 인테리어비 등..

★도드람양돈농협 / 축산업 선진기지

★도드람양돈농협 / 축산업 선진기지 출하농가 “소 가치 정확히 평가”…개장 후 5년 간 10배 넘게 성장 http://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8523 지난 1990년 태동해 어느덧 스물다섯 청년으로 성장한 도드람양돈농협. 그동안 도드람양돈농협은 조합원 중심의 계열화 체계를 완성해 나가며, 축산 분야에 있어 대표적인 협동조합 롤 모델로 자리 잡았다. 여기에 조합원이 안정적으로 축산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생산과 가공, 유통, 소비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에서 다양한 지원활동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부산물가공공장 건립, 프랜차이즈 사업 진출 등 새로운 도전도 끊임없이 이어나가고 있다. 이에 본보는 3회에 걸쳐 도드람양돈농협이 추진하고 있는 주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