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ail Issue 1138

2020년 글로벌 결산 및 전망 / 중국

2020년 글로벌 결산 및 전망 / 중국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538# 아마존 떠나고 코스트코·알디 입성 이커머스 생태계 이겨낼까 지난해 중국 유통업계는 큰 변화를 맞이했다. 용후이의 중바이 백화점 인수 추진, 쑤닝의 까르푸 중국 부문 인수, 아마존 철수 그리고 코스트코·알디 진출 등 시장 재편이 이뤄진 것이다. 한편 지역사회 기반의 비즈니스가 활성화되는 가운데, 글로벌 기업과 현지 유통업체들은 소형점 확대 등으로 중국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다. 알리바바는 지난해 11월 홍콩 증시에 상장했다. 이로써 중국 이커머스 기업 최초로 미국과 홍콩 모두에 상장한 기업이 됐다. 알리바바와 징동은 중국 온라인 시장에서 신규 고객을 ..

2020년 글로벌 결산 및 전망 / 프랑스

2020년 글로벌 결산 및 전망 / 프랑스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537# 드라이브 스루로 1위 지킨 르끌레르 카지노는 매장 매각 추진 지난해 프랑스 유통업계는 온라인쇼핑 시장의 상승세 속 여전히 고전을 면치 못하는 모습이었다. 르끌레르는 드라이브 스루 매장 확대와 매장 리뉴얼 작업을 통해 오프라인 유통업계 점유율 1위 자리를 지켜냈다. 반면 부진점 매각에 나서고 있는 카지노와 오샹 등은 점포 수가 줄어들면서 순위가 하락했다. 온라인 시장과의 가격 경쟁이 심화되면서 프랑스 오프라인 기업들은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찾고 있다. 특히 유기농 시장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유기농 상품 확대, 유기농 전문점 론칭..

2020년 글로벌 결산 및 전망 / 영국

2020년 글로벌 결산 및 전망 / 영국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536# 빅 4의 시장 지배력 축소 ◇오카도 위상은 강화 영국 유통업계는 지난해 여전한 브렉시트 불확실성과 예정에 없었던 12월 조기총선, 변덕스러운 날씨 탓에 업태별 실적이 부진했다. 특히 영국 유통시장을 이끌고 있는 슈퍼마켓 업계에서는 빅4 기업들의 점유율이 일제히 하락한 데 반해, 시장 점유율 5위 이하 업체들은 선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The Guardian)에 따르면, 영국 경제는 성장 정체기에 들어섰고 브렉시트 우려 등으로 인해 최근 유통업체가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다. 슈퍼마켓뿐 아니라 쇼핑센터 역시 높은 임대료와 테넌트들의 매출 부진..

2020년 글로벌 결산 및 전망 / 일본

2020년 글로벌 결산 및 전망 / 일본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535# 2019년 일본 유통업계 가장 큰 이슈는 소비세 인상이었다. 지난해 10월 소비세가 8%에서 10%로 인상된 이후 소비시장이 냉각되며 유통업체들의 판촉전이 가열되고 있는 상황이다. 더불어 편의점 및 슈퍼마켓 업계에서는 휴업 및 영업시간 단축 문제가 대두돼 어려움이 가중됐다. 지난해 10월 일본 내 소비세가 기존 8%에서 10%로 인상됐다. 즉, 한 개에 108엔하던 아이스크림 가격이 110엔으로 오른 것이다. 이에 유통업체들은 소비세 인상에 따른 소비 침체를 우려하며 10월 한 달 간 실적을 예의주시했다. 그 결과, 백화점은 지난해 10월 전년 동기 대비 기..

2020년 글로벌 결산 및 전망 / 미국

2020년 글로벌 결산 및 전망 / 미국 HDS의 식품 유통업 잠식 D2C·서브스크립션몰 세력 확대 미국 유통업체들은 온·오프라인 채널에서 자동화 서비스, 증강현실 등 신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특히 오프라인 업체들은 고정비를 줄이고 고객 경험 향상을 위해 기술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온라인쇼핑에서는 D2C몰과 서브스크립션몰 등이 신흥 강자로 떠오른 가운데 업태 간 무한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2019년 미국 유통시장은 변혁의 시기였다. 2017년 8,500여 개 매장, 2018년 3,800여 개 매장이 문을 닫은데 이어, 지난해에도 6,500여 개 매장이 철수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바니스 뉴욕(Barneys New York) 같이 역사 깊은 브랜드와 포에버21(Foreve..

2020년 업태별 결산 및 전망 / 편의점

2020년 업태별 결산 및 전망 / 편의점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530# ◇편의점 재계약 돌입, 가맹점 확보로 추가 성장 도모 근접출점 자율규제가 시작된 지난해 편의점 업계는 본격적으로 질적 성장을 위한 전략을 펼쳤다. 다양한 생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으로 변화를 시도했으며, 비용을 줄이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무인 편의점이 확대됐다. 올해는 가맹점 재계약이 편의점 업계의 가장 큰 이슈가 될 만큼, 어떤 업체가 매장 수를 확보해 편의점 시장에 파장을 일으킬지 주목된다. 2019년 편의점 시장의 성장률 둔화가 현실화됐다. 통계청 발표자료를 기반으로 지난해 편의점 업계 시장 규모를 추정해보면, 전년 대비 4.5% ..

2020년 업태별 결산 및 전망 / 면세점

2020년 업태별 결산 및 전망 / 면세점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529# 면세점은 수익성 개선 시급 ◇과열 양상 보인 따이공 유치 경쟁 면세점은 2018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고성장세를 보였다. 2019년 시장 규모는 24조 원을 넘어설 전망으로 2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국내 면세점 시장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매년 평균 23%씩 성장했고, 지난해에는 3월, 5월, 8월 월간 매출이 사상 처음으로 2조 원을 돌파하는 등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면세점 매출이 늘어난 데는 2018년 7월 신세계면세점 강남점, 같은 해 11월 현대백화점면세점, 12월 엔타스면세점이 문을 열며 시내 면세점이 3곳 늘어난 것과..

2020년 업태별 결산 및 전망 / 백화점·쇼핑센터·

2020년 업태별 결산 및 전망 / 백화점·쇼핑센터·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529# ◇명품이 이끈 백화점 선전 지난해 백화점은 명품과 리빙에 힘입어 새롭게 성장 기회를 잡았다. 젊은층 유입과 고가 상품 수요가 늘면서 명품에 한해 구매객수와 객단가 모두 증가했다. 다른 카테고리의 역신장은 우려되지만 2년 연속 시장 성장은 오프라인 저성장 속에서 거둔 값진 성과라 할 수 있다. 면세점은 따이공의 활약으로 고성장세를 유지했지만 송객 수수료, 마케팅 등 비용 문제가 발생하며 수익성 개선이 화두로 떠올랐다. 2019년 백화점은 고소득층 고객이 꾸준히 증가하고, 이들의 소비성향이 럭셔리 브랜드로 향하면서 전년 대비 3% 성장을 기록한 것으..

2020년 업태별 결산 및 전망 / 슈퍼마켓

2020년 업태별 결산 및 전망 / 슈퍼마켓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528# ◇마지막 보루, 신선식품 사수에 총력전 그동안 소비 부진과 출점 규제로 악전고투의 시간을 보낸 슈퍼마켓에 위협 요소가 하나 더 추가됐다. 온라인 식품 전문몰의 공세로 슈퍼마켓의 핵심 부문인 신선식품까지 잠식당하기 시작한 것. 이에 슈퍼마켓 업계는 오프라인 매장 구조조정과 온라인 배송 서비스를 강화하는 이원화 전략을 전개하는 중이다. 2019년 기업형 슈퍼마켓을 포함한 전체 슈퍼마켓 시장규모는 44조 2천억 원(이마트 유통산업연구소 추정치)으로 예상된다. 이는 2018년 46.5조 원에서 4.8%나 감소한 수치로, 그동안 미약하게나마 2%대 성장세를 유지하..

2020년 업태별 결산 및 전망 / 대형마트

2020년 업태별 결산 및 전망 / 대형마트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527# ◇길 잃은 대형마트… 출구 전략을 찾아라 대형마트 부진은 최근 몇 년 간 도드라졌지만 지난해에는 이익이 줄어드는 속도가 예상보다 빨랐다. 온라인쇼핑 공세와 1∼2인 가구 증가로 인한 타 채널 성장, 해외시장 철수 등으로 격변을 겪은 대형마트는 점포와 상품구조조정을 본격화하는 추세다. 기존 마트의 영역을 뛰어넘는 혁신을 모색하면서, 일시적이 아니라 장기적 관점의 생존을 도모한다는 점은 각사가 추구하는 출구 전략의 공통점이다. 대형마트가 기존 틀을 깬 변신으로 부진 털기에 나서고 있지만, 소비패턴 변화와 내수경기 침체 등으로 위기설은 계속되고 있다. 대형마트..

⊙까르푸의 물류혁신 / 인공지능으로 고객 데이터 분석, 재고관리

⊙까르푸의 물류혁신 / 인공지능으로 고객 데이터 분석, 재고관리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264# 까르푸ㅣ인공지능으로 고객 데이터 분석, 재고관리 지난해 1월 까르푸의 새로운 CEO 알렉산드르 봉파르(Alexandre Bompard)는 온라인 식품 시장에 대한 포부를 밝혔다. 2022년까지 온라인 식품 시장의 리더가 되겠다고 발표한 것. 더불어 50억 유로 매출과 시장 점유율 20%를 달성하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밝혔다. 이를 위해 까르푸는 5년 동안 28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까르푸는 2만 6천㎡ 규모의 물류센터를 설립했다. 물류센터는 파리와 일드 지역의 드라이브 스루 매장의 주문 상품을 배송하기 위한 것으로, 주문 후 3~..

⊙카지노그룹의 물류혁신 / 스타트업과 협업 통해 물류 첨단화 실현

⊙카지노그룹의 물류혁신 / 스타트업과 협업 통해 물류 첨단화 실현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264# 카지노ㅣ스타트업과 협업 통해 물류 첨단화 실현 카지노 그룹은 최근 발표한 2019~2021년 사업계획안을 통해 그룹의 이커머스 규모를 두 배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 기준 카지노 그룹의 이커머스 매출 비중은 전체의 18%로 이를 3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카지노 그룹의 마켓 플레이스 플랫폼 ‘씨디스카운트(Cdiscount)’는 2017년 21억 유로의 매출을 올리며, 9.3%의 성장률을 달성하기도 했다. 씨디스카운트가 운영중인 ‘더 웨어 하우스 바이 씨디스카운트(the warehouse by Cdiscount)’는 물류..

⊙테스코의 물류혁신 / 근거리 쇼핑객 위한 라스트 마일 강화

⊙테스코의 물류혁신 / 근거리 쇼핑객 위한 라스트 마일 강화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263# 테스코ㅣ근거리 쇼핑객 위한 라스트 마일 강화 영국 내 가장 많은 매장을 보유하고 있는 테스코 경우 매장에서 3.2㎞ 내에 거주하는 고객에게 유모차 크기의 무인 배송 로봇을 이용해 상품을 배송하는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스타십 테크놀로지(Starship Technology)에서 개발한 이 로봇은 GPS 기술과 9대의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다. 제품이 담긴 상자는 고객이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열 수 있다. 테스코뿐 아니라 음식 배달 전문 기업 저스트잇(Just Eat), 아마존 등이 해당 기술을 활용해 무인 배송을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오카도의 물류혁신 / 독보적 AI 물류 솔루션 개발

⊙오카도 / 독보적 AI 물류 솔루션 개발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263# ‘영국판 아마존’ 오카도 AI 로봇으로 물류 첨단화 실현 최근 영국 소매업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을 꼽으라면 온라인 유통업체 ‘오카도’가 가장 먼저 떠오른다. 스스로를 기술 기업이라고 칭하는 오카도는 물류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 사람 대신 로봇이 주문 수집부터 피킹 등 전 작업을 수행하는 풀필먼트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에 대응해 오프라인 업체 중에서는 테스코가 무인 배송 로봇을 활용해 온라인 주문 상품을 배송하는 서비스를 시범 도입했다. 영국 온라인 시장에서 신선식품 매출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신선식품을 얼마나 빠르게 배송하는가에 유통업계 미래..

⊙쑤닝의 물류혁신 / 기존 센터보다 10배 빠른 시스템 구축

⊙쑤닝의 물류혁신 / 기존 센터보다 10배 빠른 시스템 구축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262# 쑤닝ㅣ기존 센터보다 10배 빠른 시스템 구축 쑤닝의 물류센터는 스마트 물류 시스템의 중요한 전환점이라 할 수 있다. 난징 물류센터는 건축면적 20만㎡으로 축구장 28개에 상응하는 초대형 면적이며 2016년 11월 정식 오픈했다. 일처리 주문건수는 180만 건 정도로 동종업계 처리능력의 4.5배 이상이다. 이곳에서는 스마트 피킹 시스템을 이용, 시간당 1,200건의 주문을 처리한다. 또한 자동 분류 시스템으로 기존 물류센터보다 분류와 피킹 작업 속도에서 10배 이상 빠른 모습을 보여준다. 2017년 쑤닝은 상하이와 지난에 무인운반차 로봇 무..

⊙알리바바의 물류혁신 / 광군제 물류를 책임진 무인운반차

⊙알리바바의 물류혁신 / 광군제 물류를 책임진 무인운반차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262# 알리바바ㅣ광군제 물류를 책임진 무인운반차 알리바바는 당초 물류에 대한 투자가 미비했으나 2013년부터 ‘인타이 그룹’ 등과 함께 ‘차이냐오 네트워크’를 설립했다. 2017년 차이냐오 네트워크에 53억 위안 지분투자를 시작으로 2017년에는 5년 간 1천억 위안 투자를 선언하기도 했다. 그리고 2018년 5월 전세계 스마트 물류포럼에서 물류 IoT ‘미래단지’의 시작을 알렸다. 3만㎡ 규모의 미래단지에는 자동화 분류 작업라인, 무인운반차, 로봇팔 등 기술이 적용됐다. 미래단지 내부의 모든 작업 인원 인식과 차량 이동, 시설 등은 데이터화 방식으..

⊙징동의 물류혁신 / 사람-기계-차량 연결하는 5G 네트워크 구축

⊙징동의 물류혁신 / 사람-기계-차량 연결하는 5G 네트워크 구축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262# 전세계 최대 규모의 전자상거래 국가인 중국에서는 이커머스 물량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물류 인프라 확보가 필연적이다. 특히 최근 2년간 신유통 발전과 함께 물류 시스템도 전통적 물류에서 신물류로 전환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무인 물류에 이어 5G 스마트 물류 시스템까지 등장하며 징동과 알리바바 등은 3세대 물류 혁신에 나서고 있다. 전 과정 무인화 물류센터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징동이 최근 5G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물류 시범 단지를 공개했다. 알리바바는 지난해 공개한 미래단지로 적재 능력과 인력 효율을 높일 수..

⊙유니클로의 물류혁신 / 물류 대란 계기로 자동화에 착수

⊙유니클로의 물류혁신 / 물류 대란 계기로 자동화에 착수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261# 유니클로 | 물류 대란 계기로 자동화에 착수 온라인몰의 확대와 인력 부족이 물류창고의 모습을 크게 바꾸고 있다. 일본 물류 시스템 기업인 다이후크는 유니클로를 운영하는 패스트리테일링과 물류 자동화를 위해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 두 기업이 손을 잡고 유니클로 물류센터를 기존 대비 10%만의 인력으로 운영이 가능한 곳으로 바꿔 놓았다. ◇100명이 하던 작업을 10명이 처리 도쿄 고토구의 아리아케 지역. 연안에 우뚝 솟은 거대한 건물에 트럭이 끊임없이 출입한다. 패스트리테일링이 운영하는 유니크로의 온라인쇼핑몰 전용 물류센터다. 2018년 10월..

⊙니토리의 물류혁신 / 로봇 활용으로 물류 효율 5배 증가

⊙니토리의 물류혁신 / 로봇 활용으로 물류 효율 5배 증가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261# 가구 및 인테리어 제조·판매업체인 홈센터 니토리. 현재 점포 수는 550개 이상으로 일본 전역은 물론, 중국에도 2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2019년 2월까지 32기 연속 매출 및 이익이 전년대비를 상회하는 등 실적도 호조세다. 니토리는 독자 SPA 모델인 ‘제조물류 소매업’을 확립한 회사로도 유명하다. 제조물류 소매업이란, 상품기획부터 물류, 판매까지를 일괄해 자사에서 실행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말한다. 니토리가 취급하는 상품은 매장에서 그대로 집으로 가지고 가기 어려운 대형 가구나 인테리어 잡화가 대부분이다. 즉 매장에서 물건 ..

⊙월마트의 물류혁신 / 기술 인프라 강화해 이커머스 생태계 구축

⊙월마트의 물류혁신 / 기술 인프라 강화해 이커머스 생태계 구축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260# 월마트ㅣ기술 인프라 강화해 이커머스 생태계 구축 최근 월마트 CEO 더그 맥밀런(Doug McMillon)은 월마트를 테크놀로지 회사로 부를 만큼 기술력을 강화하고 있다. 쇼핑, 서비스, 헬스, 웰니스 그리고 이커머스를 아우르는 디지털 변환(digital transformation)을 진행하며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해나가고 있다. ◇샘스클럽, 이커머스 전용센터로 대체 아마존이 1억 명의 프라임 회원을 보유하고 있는 반면, 월마트 웹사이트는 일주일에 2억 700만여 명의 소비자들이 방문한다. 상대적으로 온라인 사업에 약점을 가지고 있던 월..

⊙아마존의 물류혁신 / 배송 준비 시간 3배 단축시킨 ‘물류 로봇’

⊙아마존의 물류혁신 / 배송 준비 시간 3배 단축시킨 ‘물류 로봇’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260# 아마존ㅣ배송 준비 시간 3배 단축시킨 ‘물류 로봇’ 아마존은 미국에서만 75개의 풀필먼트 센터를 운영한다. 물류센터는 평균 11만 7천㎡ 규모에 전체 물류 관련 인력만 9만 5천 명이 넘는다. 일찍부터 물류센터 자동화에 주력한 아마존은 2012년 물류 로봇 제조업체 ‘키바 시스템(Kiva systems)’을 인수했다. 이를 ‘아마존 로보틱스(Amazon Robotics)’로 이름을 바꾼 뒤 2014년 1만 5천 대, 2017년 25개 물류센터에 4만 5천 대의 키바 로봇을 투입했다. ◇‘풀필먼트 바이 아마존’ 서비스 가동 기존에는 ..

⊙온라인 전용센터 투자 현황

⊙온라인 전용센터 투자 현황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256# 이커머스 주도권 경쟁 ‘풀필먼트 물류’에 달렸다 최근 온라인 기업뿐 아니라 기존 오프라인 강자들이 온라인 신설법인과 이커머스 통합 사업본부 등을 내세워 온라인 시장에서 영토 확장에 나서고 있다. 이들 기업은 하나 같이 물류 경쟁력 확보를 1순위 투자처로 꼽으며, 풀필먼트 센터 구축에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다. 온라인 시장에서 차별화된 물류·배송 서비스가 갖는 막강한 경쟁력을 고려할 때 최상의 물류 시스템 확보를 위한 투자는 필수이기 때문이다. 특히 단순히 큰 규모의 창고를 구해 상품을 적재하는 작업이 아니라 온라인 물류에 특화된 풀필먼트 시스템 구축에 힘쓰고 있다. 아마..

〔리뉴얼〕리더 프라이스·리들 / 하드 디스카운터에 고품질 친환경 콘셉트 도입

〔리뉴얼〕리더 프라이스·리들 / 하드 디스카운터에 고품질 친환경 콘셉트 도입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229# 카지노 그룹의 하드 디스카운트 스토어 ‘리더 프라이스(Leader Price)’는 기존의 저가 이미지에서 탈피하기 위해 2017년부터 신 포맷 ‘넥스트(Next)’로 전환하고 있다. 리더 프라이스 기존점이 매장 인테리어를 최소화하고 운영 효율성에 초점을 맞춘 데 반해 넥스트는 가격뿐 아니라 서비스 경쟁력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실제로 넥스트 매장들은 점두에 베이커리 매대와 과일착즙기를 설치해 신선한 식품을 제공하고 있다. 계열사 슈퍼마켓인 프랑프리(Franprix)와 비슷한 콘셉트이지만 가격은 더 저렴하다. 또한 1,200..

〔리뉴얼〕막스앤스펜서 / ‘모바일, 페이, 고’ 시스템 도입

〔리뉴얼〕막스앤스펜서 / ‘모바일, 페이, 고’ 시스템 도입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228# 지난해 여름 막스앤스펜서는 워터사이드점 리뉴얼을 통해 ‘모바일, 페이, 고(Mobile, Pay, Go)’ 서비스를 도입했다. 이 서비스는 유인 혹은 무인 계산대를 거칠 필요 없이 고객이 스스로 스마트폰으로 결제를 하고 매장을 나서는 방식이다. 시범 운영 기간 동안 워터사이드점에서 1시간 평균 170개 상품이 스마트폰으로 결제됐으며, 이는 전체 매출의 20%를 차지했다. 이후 막스앤스펜서는 런던 6개점에 모바일, 페이, 고 시스템을 도입했다. 모바일, 페이, 고는 상품을 골라 막스앤스펜서 앱으로 상품 바코드를 스캔하고 결제하는 시스템이며 ..

〔리뉴얼〕다카시마야 / 백화점에서 멀어진 젊은층 확보 총력

〔리뉴얼〕다카시마야 / 백화점에서 멀어진 젊은층 확보 총력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227# 백화점들이 젊은 부유층을 잡기 위해 대대적인 리뉴얼에 나섰다. 다카시마야는 지난 3월 5일 니혼바시점에서 여성이 파티 등에서 입을 수 있는 드레스를 모은 코너를 신설했으며, 미츠코시이세탄과 한큐한신백화점도 맨즈관에 개성 있는 브랜드를 대거 입점시켰다. 백화점에서 멀어지고 있는 젊은 세대를 포섭, 실적 저조로 고민하는 백화점 시장에 활기를 불어 넣기 위한 전략이다. ◇젊은 감각의 드레스 매장 오픈 다카시마야 니혼바시점 3층. 지난 3월 5일 화려한 드레스를 모은 코너 ‘드레스 업 클로젯’이 문을 열었다. 국내외 30개 브랜드의 드레스를 취급하..

〔리뉴얼〕세븐일레븐 / 레이아웃 바꾸고 새 고객 잡기 ‘안간힘’

〔리뉴얼〕세븐일레븐 / 레이아웃 바꾸고 새 고객 잡기 ‘안간힘’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227# 일본 편의점 시장은 지금 포화상태다. 출점에 적합한 입지가 한계에 이르러 더 이상의 점포 확대 여지는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대로라면 인구 감소에 따라 편의점 각사의 실적은 줄어들 것이 극명하다. 업계 1위인 세븐일레븐 상황도 마찬가지로, 점포 수 증대 없이 매출을 늘리기 위해서는 상품구성을 적극적으로 바꿀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세븐일레븐은 창립 이래, 처음으로 매장 레이아웃의 전면 쇄신에 나섰다. ◇레이아웃 재설계로 냉동식품, FF 확장 편의점에서 매장 레이아웃은 매출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어떤 장소에 어떤 상품을 배치하느냐에..

〔리뉴얼〕타깃 / BI 변경 후 상품 부문별로 대대적 혁신

〔리뉴얼〕타깃 / BI 변경 후 상품 부문별로 대대적 혁신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226# 타깃 역시 2017년부터 대대적인 리뉴얼을 진행하고 있다. 타깃은 소형 포맷과 매장 리모델링에 집중해왔다. 2018년 초 본사가 있는 미네소타주의 28개 매장을 리뉴얼하는데 2,500만 달러를 사용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이미 2017년에 노스텍사스 지역의 28개 매장을 리뉴얼하는 데 2,200만 달러를 투자했다. 2018년 말까지 300개 매장을 리뉴얼했으며, 2020년까지 1,100개 매장의 리뉴얼을 완성할 계획이다. 타깃이 소유한 매장이 1,800여 개임을 감안하면 60%가 넘는 매장들을 리뉴얼할 계획인 것이다. 타깃에 따르면 ..

〔리뉴얼〕알디 / 매장 고급화 및 신선식품 확대에 주력

〔리뉴얼〕알디 / 매장 고급화 및 신선식품 확대에 주력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226# 알디는 미국에서 2017년 6월부터 2021년까지 53억 달러에 이르는 규모의 매장 리뉴얼을 진행한다. 2017년 기준 약 7천만에 이르는 가정이 새롭게 알디를 찾았고, 현재 매달 4천만 명의 고객이 알디에서 쇼핑을 하고 있다. 리뉴얼이 완성되는 2022년에는 이용객이 매달 1억 명으로 증가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2017년 6월 발표 이후 2018년 중반까지 140개 매장을 추가해 약 1,800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2022년까지 800개의 신규점을 개점해 2,500여 개로 점포 수를 늘리는 것이 목표다. 이렇게 되면 알디는 미국에서 월..

〔리뉴얼〕월마트 / 옴니채널 매장으로 대 전환

〔리뉴얼〕월마트 / 옴니채널 매장으로 대 전환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226# 월마트는 무려 110억 달러(12.3조 원)를 투자해 대대적인 리뉴얼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현재 500개 매장 리뉴얼과 신규점 20개를 개점했다. 플로리다와 텍사스주에서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82개 매장 리뉴얼과 14개 신규점 개점에 4,770만 달러가 투입됐다. 리뉴얼 후 가시적인 변화로는 사이니지와 바닥, 벽면 디자인 변경을 들 수 있다. 고객이 좀 더 편안하게 상품을 둘러볼 수 있도록 매대 간 통로를 넓히고 매대 길이는 줄였다. 셀프 계산대를 대폭 확대해 계산대 대기 시간도 줄였다. 전자제품 매장은 규모 자체를 확장했을 뿐 아니라, ..

〔리뉴얼〕HDC 아이파크몰 / 고객체험과 테넌트 차별화

〔리뉴얼〕HDC 아이파크몰 / 고객체험과 테넌트 차별화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225# ‘브랜드’보다 중요한 ‘체험’ 글로벌 어뮤즈먼트몰로 재탄생 아이파크몰이 다시 한 번 진화했다. 지난해 리뉴얼을 마무리하고 ‘글로벌 어뮤즈먼트몰(Global Amusement Mall)’로 발돋움했다. 아이파크몰은 쇼핑 이외의 즐거움을 고객에게 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 엔터테인먼트 요소를 추가했다. 그리고 쇼핑몰에서 누릴 수 있는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고자 한다. 서울 용산역에 위치한 HDC 아이파크몰이 지난해 6월 29일 리뉴얼 오픈했다. 증축과 내부 변화를 거쳐 새롭게 태어났다. 아이파크몰은 2015년 시내 면세점 사업권을 따내면서 리뉴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