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ail Issue 1138

■ 메트로 AG(Metro AG) / 독일 1964년, 유통그룹

■ 메트로 AG(Metro AG) / 독일 1964년 Home - METRO AG •업종 : Wholesale •설립 : 1964 as Metro-SB-Großmarkt GmbH & Co. KG, 1996 as Metro AG •본부 : Düsseldorf, Germany •업종 : Wholesale, food and non-food assortments - 캐시앤캐리(셀프서비스 도매, B2B방식) 개념 최초 도입 - 오토 바이쉠 박사 - 1964년 1호점 뮐하임루트에 개설 - 13,000㎡ 매장, 2만개 식품, 3만개 비식품 - 클래식(10,000-16,000㎡), 주니어, 에코 타입의 매장전개 형태 ○캐시앤캐리(Cash&Carry) - 메트로와 마크로가 제휴 ○레알(Real) - 식품하이퍼마켓 ○엑스..

2019년~2020년 유통시장 진단

2019년~2020년 유통시장 진단 http://www.ulogistics.co.kr/test/board.php?board=special2&command=body&no=325 유통 ‘혹한기’ 지속 깊어지는 수익성 고심 당일·새벽·즉시배송‘진화하는 배송서비스’ 2019년 유통시장은 온라인을 제외하고 업태 전반적으로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수익성 악화로 이어졌으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던 온라인조차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수익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따라서 올해는 유통업계가 지난 2년간 겪은 최악의 부진에서 벗어나 반등의 기회를 모색하는 한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마트 유통산업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소매시장 매출액은 374조 4,000억원 규모로 전년대비 3% 성..

〔이커머스 물류〕주문배송 스피드 경쟁 치열

〔이커머스 물류〕주문배송 스피드 경쟁 치열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859573 전날 주문하면 다음날 오전 문 앞으로 신선식품을 배송해주는 '새벽배송'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이커머스업계는 물론 백화점, 편의점, 홈쇼핑 등 유통업계도 품목과 지역을 확장하는 등 본격적으로 새벽배송 사업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마켓컬리 신선식품 새벽배송은 스타트업으로 출발한 마켓컬리가 지난 2015년 개척한 분야다. 마켓컬리는 오후11시까지 주문하면 다음날 오전7시까지 배송하는 '샛별배송' 서비스를 앞세웠다. 대형유통업체가 점령하고 있는 식품시장에서 김슬아 마켓컬리 대표는 식품 새벽배송이라는 틈새를 파고들었다. 그 결과 지난 2015년 29억원에 불과했던 매출..

〔이커머스 물류〕 라스트 마일 배송’에 달려있다.

라스트 마일 배송’에 달려있다.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2673?skey=top&sword=%C0%CC%C4%BF%B8%D3%BD%BA%20%B9%B0%B7%F9# 이커머스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글로벌 유통업체의 공통적인 노력 중 하나는 배송 시간 단축이다. 아마존, 월마트는 빠른 배송을 위해 주요 지역에 배송 거점을 설치했으며, 물류업체는 3PL이나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을 통해 고객 가까이의 재고를 활용한다. 미래 물류를 지배할 솔루션 기술을 생각해본다면 로봇 배송이 상용화될 날도 머지 않아 보인다. 전체 유통시장 대비 최근 온라인 유통의 성장세는 가파르다. 매년 15% 이상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온라인 유통시장은 2022년까지 ..

〔이커머스 물류〕초소량 배달’ 전쟁

〔이커머스 물류〕초소량 배달’ 전쟁 https://www.ajunews.com/view/20200216100844762 식품·생필품 ‘초소량 바로배달’ 서비스 전쟁에 불이 붙었다.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점유율 2위 요기요가 1위 배달의민족(배민)이 운영하는 초소량 배달 서비스 ‘B마트’와 비슷한 형태의 마트 신사업을 내놓기로 하면서다. 요기요도 배민처럼 자체 물류센터와 라이더를 두고 직접 물건을 소비자들에게 배달한다는 계획이라 유통업계의 이목이 쏠린다. 특히 이마트가 물류 스타트업 메쉬코리아 지분 투자를 검토하고, 롯데도 배달 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유통 공룡’들도 초소량 바로배달 시장에 맞불을 놓을 태세라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요기요 스토어’ 신사업 본부를 구축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

〔이커머스 물류〕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이커머스 물류

〔이커머스 물류〕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이커머스 물류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499# 주문 처리·출고·배송까지 원스톱 물류 시스템 구축 필요 8번째 연사로 나선 삼성SDS 판매물류사업 박영선 팀장은 글로벌 물류 트렌드와 이커머스 물류의 특징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물류의 중요성은 4차 산업혁명과 함께 더욱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많은 업체에서 시도하고 있는 자동화에 대해서는 업체별 유연한 적용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무조건적인 물류센터 자동화보다는 업체별 프로세스와 시스템을 확립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글로벌 물류 트렌드를 알아보기 앞서 4차 산업혁명을 이해해야 한다. 산업혁명이란 혁신적인 기술이나 새로운 제조 공..

〔이커머스 물류〕이커머스 업계의 물류 혁신

〔이커머스 물류〕이커머스 업계의 물류 혁신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259# ◇AI·빅데이터가 이커머스 물류 해결사 주문 상품을 배송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이커머스 업체에게 물류센터는 중요한 기반 시설이다. 물론 마켓 플레이스 플랫폼으로 중개 사업을 하는 업체들도 있지만, 물류센터가 없다면 고객에게 상품을 신속하게 전달할 수 없다. 이에 이베이코리아와 쿠팡은 자사의 직배송 강화를 위한 물류센터 확장을 하고 있고, 신선식품 새벽배송을 하는 마켓컬리, 헬로네이처는 효율적인 신선식품 물류센터를 구축, 안정적인 새벽배송에 나섰다. 네이버 역시 이커머스를 강화하는 한편, 물류 관련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이어가는 중이다. 당일배송, 예약배송..

⊙유통업계 '덩치 전쟁' 끝… 이젠 전문점으로 차별화

⊙유통업계 '덩치 전쟁' 끝… 이젠 전문점으로 차별화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7121842021 24년 만에 처음 점포 줄인 이마트, 전문점은 올해 116곳 늘려 유통업계 '덩치 전쟁' 끝… 이젠 전문점으로 차별화 온라인쇼핑·1인 가구 증가에 출점 규제도 영향 리빙 전문관 연 롯데 "국내 유일 상품들로 승부" 신세계는 지난해 유아용품 전문점 ‘베이비써클’, 프리미엄 슈퍼 ‘PK마켓’, 장난감 전문점 ‘토이킹덤’ 등 전문점 브랜드를 선보였다. 복합쇼핑몰 스타필드 하남이 문을 열 때쯤이다. 축구장 70개를 합쳐 놓은 크기의 쇼핑몰을 채우기 위해서는 기존 브랜드 외에 새로운 전문점이 필요했다. 올 9월 스타필드 고양을 열 때는 전문점이 더 커지고 많아졌다. 신세계가 보..

2019년 주요 온라인 플랫폼 실적

2019년 주요 온라인 플랫폼 실적 http://www.apparelnews.co.kr/news/news_view/?cate=CAT127&idx=182356 55% 기업 흑자… 매출 톱 이베이코리아 지난해 국내 온라인 플랫폼 실적 매출 톱을 기록한 이베이코리아 영업이익 톱은 757억의 ‘카카오커머스’무신사 외형 두 배 이익 493억 기록 국내 온라인 플랫폼의 지난해 성적표가 일제히 발표됐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주요 20개 전자 상거래 기업의 지난해 실적은 사업 내용에 따라 희비가 교차했다. 흑자를 낸 기업이 전체의 55%, 마이너스를 기록한 곳이 45%로 나타났다. 전년대비 매출이 신장한 기업은 85%에 달했다. 이 중 매출과 이익 모두 잡은 기업은 약 40%로 조사됐다. 카카오커머스와 무신사는 각각 ..

2020년 유통산업 트렌드 / 유통전망세미나

2020년 유통산업 트렌드 / 유통전망세미나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492# 극강의 편의성, 초개인화… 밀레니얼 이어 Z세대가 온다 ‘2020 유통 대전망’의 첫 번째 세션은 맥킨지 한국사무소 한정은 부파트너가 매년 11월 전세계 유통업계 관계자들의 관심을 집중시키는 중국의 광군제 열기로 운을 떼며 시작됐다. 과연 유통산업은 활황인가 불황인가. 유통시장이 양극화되고 있는 배경 및 2020년 트렌드를 소비자, 기술 혁신,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구도 변화에 초점을 맞춰 살펴봤다. 최근 맥킨지는 향후 신 소비층으로 등극할 Z세대는 어떤 양상을 띠고 있으며, 그들을 잡기 위해 유통업체는 어떻게 변화해야 할지 알아보기 위해 한국, 중국, ..

2020년 유통산업 전망 / 유통전망세미나

2020년 유통산업 전망 / 유통전망세미나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500# 유통 변곡점의 해 혁신모델을 선점하라 2020년 유통업계 핵심 이슈와 현안은 무엇이며, 어떤 트렌드 키워드를 중심으로 내년도를 준비해야 할까. 한국체인스토어협회와 리테일매거진이 지난 11월 6일 ‘2020, 리테일 빅뱅의 시작’이라는 주제로 개최한 2020 유통 대전망 세미나에서는 기존 틀을 뒤바꾸는 ‘개혁’ 관련 키워드가 내년도 핵심 트렌드로 제시됐다. ‘유통시장의 분열과 재발명’, ‘에코 시스템 중심의 디지털 생태계’, ‘기술 융합 시대의 풀필먼트 물류’ 등 트렌드 변화를 주시하며 혁신 모델을 선점하는 기업만이 2020년 이후 유통시장을 주도할 것이라는..

2020년 출점 예정 점포는? 화제의 이슈 매장 연대기

2020년 출점 예정 점포는? 화제의 이슈 매장 연대기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467# 내년도 오프라인 매장에서 ‘체험’을 제공하는 복합쇼핑몰의 선전이 예상된다. 엔터테인먼트 비중은 갈수록 늘어나고 있으며, 가족 단위 고객을 이끌 수 있는 키즈 콘텐츠도 확대되고 있다. 쇼핑몰과 아웃렛의 출점이 예정된 만큼 오프라인 매장의 즐길거리 콘텐츠 경쟁은 지속될 전망이다. 한편, 국내 최대 규모라고 알려진 현대백화점의 신규 출점이 침체된 백화점 업계에 활기를 되찾아줄 것인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16 ~2019년 화제의 이슈 매장 연대기

2016 ~2019년 화제의 이슈 매장 연대기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467# 온라인 유통업체와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오프라인 유통업계의 저성장이 이어졌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오프라인 매장은 ‘집객’을 위한 전략을 펼쳤다. 타깃 고객을 세분화해 맞춤 매장을 오픈하거나 이업태간 혼합을 통해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고자 했다. 게다가 쇼핑몰의 엔터테인먼트 비중은 전체의 30% 이상까지 증가했다. 기존 매장 역시 리뉴얼을 통해 트렌드에 발맞춰 나갔는데, 대형마트 경우 휴식 공간을 만들거나 구입한 식품을 바로 요리해주는 그로서란트 매장으로 차별화를 시도했다. 한편, 기술 발전에 따라 언택트 마케팅이 인기를 끌면서 무인 매장도 등장했다.

2010 ~2015년 화제의 이슈 매장 연대기

2010 ~2015년 화제의 이슈 매장 연대기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467# 2010년 초반 대형마트, 백화점 같은 대형 매장은 성장세로 출발했지만, 이내 성숙기에 접어들었다. 대형마트의 매장 출점속도는 갈수록 줄어들었으며, 질적 성장으로 전환을 시도했다. 단순 출점이 오프라인 유통업의 성장 동력이 되기 어렵다는 기조가 생기며 창고형 할인매장과 카테고리 킬러가 등장했다. 한편, 쇼핑하면서 여가 생활도 즐기려는 ‘몰링’ 수요가 태동하며 엔터테인먼트 시설을 갖춘 쇼핑몰과 아웃렛 출점이 가속화됐다. 이처럼 오프라인 유통업의 성장 정체와 변화하는 고객니즈는 오프라인 매장의 생존 전략을 새롭게 바꿨다.

2020 패션 산업 전망 / 맥킨지&BoF

2020 패션 산업 전망 / 맥킨지 &BoF http://www.apparelnews.co.kr/news/news_view/?cate=CAT11Z&idx=180283&newsletter 글로벌 컨설팅 회사 맥킨지와 패션 비즈니스 매거진 BOF는 ‘2020년 산업 전망보고서(The State of Fashion 2020)’에서 걱정스러운 한 해를 전망했다. 맥킨지 글로벌 패션지표(MGFI)에 따르면, 올 세계 패션 산업의 성장률은 3~4%다. 2019년 예상치인 3.5~4.5%를 밑돈다. 거시 경제적 불확실성, 전 세계적인 정치적 격변, 그리고 무역전쟁의 계속되는 위협 속에서 소비위축이 더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BoF-맥킨지가 기업 고위 경영진 대상으로 한 연례 설문조사에서도 작년보다 만만찮은 해를 예상..

◙〔쇼핑카트〕★포컬 시스템즈 / 스마트 쇼핑카트

★포컬 시스템즈 / 고객 경험 고려한 쇼핑 카트, 로스 방지에도 탁월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328# 미국 럿거스 대학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온라인보다 오프라인 매장에서 6배 이상의 시간을 보낸다. 또한 응답자 중 78% 이상이 온라인보다 오프라인 구매를 선호한다. 실제로 미국 유통시장에서 온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10% 정도다. 오프라인 매장은 효율성과 첨단 유통업체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자동화 프로세스를 도입하는데, 소비자 시간을 절약해준다고 말하기 어렵다. 테스트를 해보면 연령대, 소비자 특성, 셀프 체크아웃 도입 정도에 따라서 시간이 더 걸리는 경우도 있다. 또한 무인화와 자동화가 도입된 매장을 불편..

★로켓뷰의 ‘찍검’ 앱 / 쇼루밍족의 필수 앱

★로켓뷰의 ‘찍검’ 앱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325# 검색하고 쇼핑하는 오프라인 고객 데이터의 보고 오프라인 매장에서 모바일로 상품을 검색하는 소비패턴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고객들을 쇼루밍족이라 하는데 ‘찍검’은 쇼루밍족의 필수 애플리케이션이다. 찍검 이용자가 검색한 상품 로그를 분석하면 옴니채널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최근 매장의 흔한 모습 중 하나가 매대 앞에 선 고객이 스마트폰으로 상품정보를 검색하는 것이다. 구입을 결정하기 전에 혹시 온라인쇼핑몰이 더 싸지는 않은지, 사용자들의 후기는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서다. 로켓뷰 김화경 대표는 그러한 고객들의 모습을 유심히 살펴봤다. 그리고..

◙〔상품정보검색〕★니어스트(NearST) / 고객 인근 매장의 재고 정보 제공

★니어스트(NearST) / 고객 인근 매장의 재고 정보 제공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329# 2015년 설립된 니어스트(NearST)는 ‘내 주변 매장을 쉽게 찾는다’를 모토로 기존 오프라인 매장 환경을 혁신적으로 바꾸고 있다. 니어스트는 온라인쇼핑을 즐기는 소비자를 더 쉽고 빠른 쇼핑을 즐길 수 있는 오프라인 매장으로 돌아오게 만드는 것이 자신들의 미션이라고 말한다. 니어스트의 공동창업자 맥스 크레이즌과 닉 브래큰버리는 전구를 구입하려다 해당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어를 내게 됐다. 예를 들어 거실 전구가 나갔을 때 온라인을 통해 몇 초 만에 필요한 상품을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다. 그러나 집 근처 오프라인 매장에서 원하는 상품을..

★AI 무인주차 산업

"AI가 빈주차장 판다"…무인주차 산업 '폭풍성장' http://news.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1809280235&t=KOv 사람이 없어도 주차장이 운영되는 스마트 주차관리 시스템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건축주 수익성이 두 배이상 개선되는 데다 주변 도로의 교통체증까지 해소하고 있다는 분석인데, 정부 스마트 시티 조성 바람과 함께 성장 기대감이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내 대형 복합쇼핑몰 중 하나인 서울 영등포 타임스퀘어. 평일저녁이나 주말이면 방문차량이 늘어서 혼잡을 빚던 인근 도로가 최근 크게 원활해졌습니다. 로봇이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차안에서 자동으로 결제가 이뤄지는 스마트 주차관제 시스템 덕분에 차량 대기시간이 20%나 경감됐기 ..

★에이텍에이피 / ‘무인 정산기’

★에이텍에이피 / ‘무인 정산기’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326# 금융자동화 솔루션 기반의 신개념 무인 정산기 과거 정산기는 계산원이 하루 업무를 끝내고 잔돈과 매출을 맞춰보는 기계였다. 그래서 매장 뒤편 사무실에 설치돼 있었다. 하지만 에이텍에이피는 무인 정산기에 실용적인 기능을 추가, 매장 전면으로 가지고 나왔다. 주력 사업이던 금융 자동화 솔루션을 바탕으로 스마트 무인 정산기를 출시, 매장 직원들의 수고를 덜어줬다. 자동화플랫폼 전문 기업 ‘에이텍에이피(ATEC AP)’는 1989년 LG에서 금융 자동화 기기 사업을 개시하면서 시작됐다. 국내 최초로 CDM(지폐방출기)을 개발했고 해외시장에 진출하기도 했다. 이후 LG엔시스와..

★엑사스코프 / ‘셀프 계산대’

★엑사스코프 / ‘셀프 계산대’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324# 익스프레스 셀프 체크아웃으로 스마트 스토어 구축 셀프 체크아웃, 무인 매장 등 오프라인 매장에서 자동화, 무인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상용화 단계에 들어서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기 때문인데, 스마트 스토어와 셀프 체크아웃의 기술적 기반을 마련한 스타트업이 있다. 바로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을 전문으로 하는 엑사스코프다. “20년 전, 전표를 쓰던 은행들에 현금지급기가 들어오면서 은행 업무가 전반적으로 바뀌었습니다.” 엑사스코프 김창열 대표는 현재 유통업계가 과거 은행이 처했던 상황과 같다고 설명했다. 자동화, 무..

◙〔무인계산정산〕★파나소닉 레지로보(Rrgirobo)

〔무인계산대〕파나소닉 ★레지로보(Rrgirobo) 日 5대 편의점 “2025년까지 모든 점포에 무인 계산대 도입” http://news.donga.com/3/all/20170826/85994212/1 기술은 미국이 앞섰지만 도입은 일본이 빠를 수도 있겠다. 신통방통한 무인 계산대 얘기다. 2016년 말 일본에서 처음 선을 보인 파나소닉의 무인 계산대 ‘레지로보’. 특수 장바구니에 바코드 스캐너가 달려 있다. 바코드에 물건을 찍고 레지로보에 장바구니를 놓으면 알아서 포장해준다. 전자태그가 상용화되면 바코드를 찍을 필요 없이 장바구니를 무인 계산대에 올려놓는 것만으로 결제가 가능하다. 지난해 말 글로벌 정보기술(IT) 및 유통업계를 동시에 놀라게 한 아마존의 무인 식료품점 ‘아마존 고’는 인공지능(AI), ..

★백터리 / 고객 동선 따라 맞춤형 광고 발신

★백터리 / 고객 동선 따라 맞춤형 광고 발신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330# 백터리(Vectaury)는 2014년 설립된 스타트업으로 소비자의 쇼핑 경로를 분석하는 솔루션 분야를 이끌고 있다. ‘드라이브 투 스토어(drive-to-store)’라는 이름의 솔루션으로 소비자의 정보를 모아 분석할 뿐 아니라, 쇼핑 경로에 따라 그에 맞는 광고를 내보낸다. 백터리는 최근 카지노 그룹과 파트너십을 맺었다. 백터리는 카지노 그룹의 앱 ‘카지노 맥스(Casino Max)’를 활용, 고객의 쇼핑 경로는 물론 과거 쇼핑 내역까지 분석한다. DMP(Data Management Platform) 기술을 활용, 정보가 수집되고 분석되는 만큼 정확도..

★플로우히트맵(Flow Heatmap) / 구독형 방문객 분석 서비스

★플로우히트맵(Flow Heatmap) / 구독형 방문객 분석 서비스 •방문객 동선과 히트맵 데이터를 실제 매장 평면도에 구현 •클라우드 기반의 구독형 방문객 분석 서비스 리테일트렌드 ▲방문객 동선과 히트맵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플로우히트맵[자료=씨프로] 씨프로, 방문객 동선과 히트맵 한눈에 보는 ‘플로우히트맵’ 출시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85778&page=1&kind=3 우리 매장에 방문한 고객들이 어디로 어떻게 돌아다니고, 어디에 가장 관심을 많이 보이는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서비스가 나왔다. 클라우드 기반 방문객 분석 서비스 리테일트렌드를 운영하는 씨프로(대표이사 이영수)는 매장에 설치된 다수의 영상 센서에서 분석한 방문객의 동선..

★로플랫(Loplat) 엑스 / 모바일폰 실내동선파악 프랫폼

★로플랫(Loplat) 엑스 / 모바일폰 실내동선파악 프랫폼 https://loplatgravity.com/company (주)로플랫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11 드림플러스 11층, 1113호 •연락처 (02) 3288 1225 고객문의 business@loplat.com 로플랫, 위치기반 마케팅 솔루션 ‘로플랫엑스’ 정식 론칭 https://platum.kr/archives/121643 오프라인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스타트업 주식회사 로플랫(이하 로플랫, 대표이사 구자형)이 모바일앱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활용한 고객 동선 분석 및 마케팅 솔루션 ‘로플랫엑스’ 정식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17일 밝혔다. 로플랫엑스는 모바일앱 이용자의 오프라인 행동 분석 뿐만 아니라 정확한 실내 위치에 기반한 ..

〔고객동선추적기술〕신세계 본점 `百 '방문객수 & 머문시간' 안다?

신세계 본점 `百 '방문객수 & 머문시간' 안다? http://fashionbiz.fashionscout.co.kr/TN/main.asp?cate=2&idx=122574 하룻동안 매장을 방문한 고객수와 평균 체류시간, 점포내의 동선 등을 데이터화 시킨다면 얼마나 효율적인 브랜드 관리가 가능할까. '객수 정보 시스템'을 선보이는 업체가 있어 눈길을 끈다. 바로 일본의 기켄트라스템(대표 오오니시 요시하루, www.trastem.co.kr)이다. 이를 통해서 백화점 혹은 패션 브랜드 점포별 고객 특성을 파악하고 차별화된 MD구성이 가능하다. 기존에 있는 이러한 객수 정보 시스템들이 열감지 센서 등으로 이뤄져 오차범위가 넓고 단순히 입점고객수만을 확인한다면 기켄트라스텀의 ‘객수정보시스템’은 보다 스마트하다. 들..

〔고객동선추적기술〕롯데월드몰 프리오픈 1년…방문객 감소

롯데월드몰 프리오픈 1년…방문객 감소 http://news1.kr/articles/?2456933 2015년 10월 일평균 방문객 8만8000명, 개장 초 88% 수준 1년간 약 2800만명 방문 추산, 총 9개 브랜드 매장 철수 서울 송파구 신천동에 소재한 제2롯데월드의 저층부인 롯데월드몰은 △쇼핑몰 △에비뉴엘(명품 백화점) △면세점 △마트 △아쿠아리움 △하이마트 △콘서트홀 등으로 구성된 복합몰이다. 제2롯데는 롯데월드몰과 123층, 555m 높이의 롯데월드타워로 구성되며, 롯데는 내년 하반기 롯데월드타워 완공에 앞서 저층부인 롯데월드몰을 지난해 10월 임시개장했다. ◇롯데월드몰 개장후 1년간 약 2800만명 찾아 14일 롯데물산에 따르면 롯데월드몰은 지난해 10월 14일 개장 이후 1년간 약 2800..

〔고객동선추적기술〕영등포 상권내 백화점 이용 행태 분석

영등포 상권내 백화점 이용 행태 분석 https://steemit.com/loplat/@ceojohn/offline-behavior-insights 본 포스팅은 로플랫(loplat)의 CEO이며 이 계정의 주인인 @ceojohn이 아닌, 그 와 함께 일하고 있는 jungjin이 작성한 것입니다. 로플랫 데이터팀은 오프라인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행동 분석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영등포 지역은 4개의 백화점이 밀집해 있는 대규모 상권 중에 하나 입니다. 백화점의 입장에서는 다양한 매장이 입점해 있어서 방문객의 백화점 내 매장 이용 행태에 대한 관심과 궁금증이 높을 것 같습니다. 거기에 인접한 경쟁 백화점과의 경쟁이나 소비자 선호 등 사업자 측면에서도 답을 찾고 싶은 질문이 많을 것 같구요. 이러한 질문..

◙〔고객동선추적기술〕 쇼핑동선을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방법

〔고객동선추적기술〕미국 ★하나포드의 가상 쇼핑 경로 분석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2453?skey=top&sword=%BA%F1%C4%DC#  ◇지능형 쇼핑카트, 고객의 쇼핑 경로 추적하다 미국 ★하나포드는 쇼핑카트에 RFID칩을 부착해 고객의 쇼핑 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했다. 이러한 기술은 고객이 어떤 매대에서 오래 머무는지, 이동 빈도가 잦은 위치는 어디인지를 오프라인 유통업체도 구체적인 데이터로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매장의 레이아웃을 고객 편의에 맞춰 개선할 수 있어 전반적인 매출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미국에서 지난 수 년간 많은 유통업체들은 점포 천장에 특수 카메라를 설치해 매장 내 고객 동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