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ail Issue 1138

⊙백화점 업계, 2020 F/W MD Renewal

⊙백화점 업계, 2020 F/W MD Renewal •빅3 주요점, 젊은 층 겨냥한 리뉴얼 잇달아1, 2층 영럭셔리, 명품, 뷰티편집숍이 차지 •내셔널 잡화, 마담부띠끄 조닝 등 대폭 축소 •백화점 업계가 ‘MZ세대’ 모시기에 올인하고 있다. 백화점 업계가 ‘MZ세대’ 모시기에 올인하고 있다. http://www.apparelnews.co.kr/news/news_view/?cate=CAT121&idx=185179 올 추동 시즌 젊은 층의 선호도가 높은 명품, 식품, 뷰티 등 킬러 콘텐츠를 강화하거나, 각 조닝별로 MZ세대 타깃의 브랜드 구성비(MD표 참조)를 확대하고 있다. 또 명품 시계, 영 럭셔리, 스트리트, 뷰티 등을 프리미엄 층에 집중 배치하고 있다. 롯데는 가장 적극적이다. ■ 롯데 인천터미널점..

⊙코로나19에 따른 한국 리테일 시장의 변화 / Savills

⊙코로나19에 따른 한국 리테일 시장의 변화 https://www.savills.co.kr/insight-and-opinion/research.aspx?rc=Korea&p=&t=&f=date&q=&page=1 리테일 업계의 코로나19 영향 2020년 1월말부터 시작된 코로나 19감염 확산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언택트 문화, 개학연기, 재택근무 등으로 사회적 활동이 줄며 내국인과 외국인 관광객으로 북적이던 서울의 주요상권은 한산해졌다. 이에따라, 지역내 대형마트, 백화점, 쇼핑몰, 영화관 등의 방문객은 주중주말 구분없이 크게 감소했다 . 한국영화산업진흥회의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 면 , 올해 4월 관객수는 9 7만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7% 수준에 그쳤다. 관객수 급감은 매출하락으로 이어졌고,..

〔리테일대응전략〕"홈플러스 통째 바꿔 고객마음 움직일 것"

〔리테일대응전략〕"홈플러스 통째 바꿔 고객마음 움직일 것" https://www.sedaily.com/NewsVIew/1RX56CPBJO •대형 마트·창고형 할인점의 장점을 모두 갖춘 신개념 스토어 ‘홈플러스 스페셜’을 상반기부터 도입해 서울 목동점, 대구점, 서부산점 등 연내 10여곳을 전환한다. •또 하반기에는 동네 장터와 같은 지역밀착형 커뮤니티 ‘코너스’를 선보이겠다는 것이 요지다. 2017년 10월 취임한 ‘유통업계 첫 여성 CEO’ 임일순(사진) 홈플러스 사장이 전 분야에 걸친 혁신에 나선다. 27일 임 사장은 서울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사업전략 기자 간담회에서 “고객이 가장 선호하고 신뢰하는 유통사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단순히 물건을 팔기만 하는 ‘장사꾼’이 아니라 생동감 있고, 근면과 성실..

〔콜라보〕은행 점포 혁신, 카페 문화공간, 편의점 결합 까지 다양

〔콜라보〕은행 점포 혁신, 카페 문화공간, 편의점 결합 까지 다양 http://www.etnews.com/20180206000255 은행점포에 이종산업을 결합한 복합점포가 올해 더 확대 될 전망이다. 은행 점포 내 카페를 설치한 '카페인 브랜치'부터 북카페, 편의점, 복합문화공간 등 종류도 다양하다. 시중은행은 모바일 뱅킹 등 비대면 거래 확산으로 줄어드는 오프라인 방문고객을 잡기위해 이종산업 간 결합을 과감하게 추진한다. 우리은행을 시작으로 NH농협은행, KEB하나은행 등이 복합 점포에 가세해 새로운 시도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올해 상반기 문화공간과 점포를 결합한 '컬처뱅크'를 최대 5개 지점으로 확대한다. 지난해 12월 서울방배서래지점에 처음 문을 연 것을 시작으로 4..

〔콜라보〕의류매장 안에 카페·꽃집·베이커리

〔콜라보〕의류매장 안에 카페·꽃집·베이커리 http://www.fnnews.com/news/201211251750559625?t=y #. 서울 명동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이재창씨(28)는 점심식사 후 커피를 마시고 싶을 때는 인근 커피전문점을 가지 않고 명동 빈폴 매장을 종종 찾는다. 이곳 4층에 있는 커피숍에서 조용하면서도 저렴한 가격에 커피를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쇼핑이 단순히 제품을 사는 것을 의미하는 시대는 지났다. 매장도 물건을 팔기 위해 진열하는 장소를 넘어 고객들의 편의성을 높이고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공간으로 변하고 있다. 의류매장이 끊임없이 변신하고 있는 이유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의류업체들이 제품 외에도 다른 업종과 컬래버레이션(협업)한 복합형 매장을 선보이며 고객들의..

〔콜라보〕컬래버레이션, kollabo, kʰo̞ɭɭa̠bo, k'ollabo, コラボ

〔콜라보〕컬래버레이션, kollabo, kʰo̞ɭɭa̠bo, k'ollabo, コラボ •Collaboration •서로 다른 것이 합쳐져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하는 것. •시너지 효과 (유의어) •협업. 사전적인 의미로는 협력, 합작이라는 뜻으로 서로 다른 업종의 기업 간의 공동작업으로 탄생한 작품을 콜라보레이션이라고 한다. 서로 이질적으로 전혀 연관성이 없는 회사들이 협력, 합작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것도 콜라보레이션이다. 콜라보레이션의 대표적인 사례는 ‘연아신발’을 들 수 있는데, 김연아라는 피겨선수의 이미지와 신발의 이미지를 합쳐, 더 좋은 시너지를 나타내는 마케팅이다. ‘콜라보’는 ‘협업’으로 https://news.joins.com/article/21055589 신문을 제작하면서 부닥치는 문제 가운..

〔리테일 대응전략〕국내 오프라인 유통업체, 미국 유통업체와 생존 전략 비교

〔리테일 대응전략〕국내 오프라인 유통업체, 미국 유통업체와 생존 전략 비교 https://www.delco.co.kr/knowledge/category/ 이커머스 시장이 나날이 발전하면서 국내 유통업체들은 어려움에 빠졌다. 현재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은 온라인 유통업체들의 다양한 프로모션과 무더운 날씨로 인해 방문 구매보다는 온라인 구매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그 결과 유통업계의 전망이 점점 하락세를 이루고 있다. 소매유통업체 1000개사를 대상으로 한 대한상공회의소의 조사에 따르면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가 기준치(100)보다 7포인트 낮은 93포인트로 집계되었다고 밝혔다. 이마트, 롯데마트 등 대형마트들은 분기 적자를 냈다. 여러 대형마트가 위기에 놓인 반면에 미국의 오프라인 유통회사들은..

〔리테일 대응전략〕저성장 극복을 위한 유통업체들의 전략

〔리테일 대응전략〕저성장 극복을 위한 유통업체들의 전략 https://www.delco.co.kr/knowledge/category 신발은 신발 전문점에서, 의류는 의류 전문점에서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인 대형 스포츠 브랜드 매장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많은 매장이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물품을 한곳에 취급하기 위해 매장의 규모를 확대했다. 고객 유치를 목적으로 한 백화점의 전략이다. 생활필수품이나 식료품 등 종류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물품을 취급하는 대형 쇼핑몰 이마트 역시 저성장 극복을 위한 전략을 세웠다. 자료를 통해 사례를 정리해보았다. ◇국내 유통업계, ‘대형’에 집중하다 지난달 28일 롯데백화점은 인천터미널점은 4층에 ‘아디다스 스타디움’ 매장을 개점했다. 중국 상하이가 첫 개점을 한 후..

〔리테일 대응전략〕인구구조 변화와 리테일 대응전략

〔리테일 대응전략〕인구구조 변화와 리테일 대응전략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101# ◇인구절벽 가속화, 소비절벽을 막아라 인구구조의 변화는 유통업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미 1인 가구 비중의 증가는 소비행태 및 소비품목을 크게 바꾸었다. 인구절벽까지 전망되는 시점에서 유통업계는 어떻게 대응책을 세워야 할지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유통업계의 경영 전략에 대해 알아본다. 이제 인구 감소와 고령화는 멈출 수도, 거스를 수도 없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됐다. 통계청 인구동향 조사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서울과 경기, 인천을 제외한 전국의 자연증가 인구는 8,1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도표 1 참조).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은 ..

〔카멜레존〕컬처 융복합에서 공간 융복합으로-공간의 변신

〔카멜레존〕컬처 융복합에서 공간 융복합으로-공간의 변신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19/10/862435/ 이제 단순히 하나의 목적으로 만들어진 공간은 재미없다. 시대는 하나의 공간 속에 담긴 풍성한 콘텐츠를 원한다. 그렇게 공간은 진화하고 있다. 이른바, ‘카멜레존(Chameleon+Zone)’이라는 이름으로 말이다. △버려진 공장의 모습 △옛 공장에 자리한 레스토랑 꽤 예전부터 상수역 부근에는 재미있는 공간이 있었다. 지금도 존재하는 그곳은 ★‘제비다방’이라는 이름의 카페였다. 다방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그곳은 커피나 차를 파는 곳이다. 그런데 해질녘이면 금세 간판이 뒤집어지며 공간이 바뀌었다. ‘술 취한 제비’로 말이다. 이 말인 즉, 낮에는 카페..

〔카멜레존〕호텔도 카멜레온처럼 변할 수 있을까?

〔카멜레존〕호텔도 카멜레온처럼 변할 수 있을까? http://www.hotelrestaurant.co.kr/news/article.html?no=6359 언젠가부터 서울 한복판에도 창의적인 복합 공간이 눈에 띄기 시작했다. 이제 웬만한 시설에 괜찮은 카페 하나쯤 결합돼 있는 건 신기한 일도 아니다. 또 특이한 방식으로 변모하는 공간도 있는데, 유럽에서는 감옥이었던 곳이 호텔이 된 적도 있고, 합정의 유명한 한 카페는 원래 신발 공장이기도 했다. 게다가 에어비엔비, 위워크, 역세권의 다양한 쉐어하우스를 비롯해 ‘공유’의 개념까지 공간에 흡수됐다. 이렇듯 오프라인 공간은 무궁무진한 방식으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데, 이러한 ‘카멜레존’ 트렌드가 호텔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까? ◇전통적인 기능을 벗은..

〔카멜레존〕카멜레존 전략과 상권 분석 사례

〔카멜레존〕카멜레존 전략과 상권 분석 사례 https://www.sphinfo.com/chamelezone/ 오전은 카페, 오후는 스튜디오, 저녁은 레스토랑, 주말은 세미나실, 시간에 따라 그리고 상황에 따라 변신하는 공간이 있습니다. 이러한 공간이 최근 오프라인 매장의 트렌드인 카멜레존입니다. 카멜레존(Chamelezone)이란 말 그대로 카멜레온처럼 주변 상황에 따라 변신하는 공간을 말합니다. 『트렌드 코리아 2019』에서는 카멜레존을 “특정 공간이 협업, 체험, 재생, 개방, 공유 등을 통해 본래 가지고 있던 하나의 고유 기능을 넘어서 새로운 정체성의 공간으로 변신하는 트렌드.”라고 정의합니다. ◇왜 카멜레온이 되어야 했는가? 이미 수많은 오프라인 매장들이 카멜레존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왜 그럴..

〔카멜레존〕긍정의 공간으로 바뀐다 '카멜레존'

〔카멜레존〕긍정의 공간으로 바뀐다 '카멜레존' "어, 여기 은행 아니야? 이런 곳이 있었어?" 은행 안에 들어선 카페, 책을 읽으면서 맥주를 마실 수 있는 공간, 기계가 멈춘 공장이 카페로 변신하더니 밤에는 술집으로 바뀝니다. 이 정도는 이제 별다른 감흥이 없으시죠? △은행 속으로 들어온 카페. [사진=유튜브 화면캡처] 도심 곳곳에 생긴 창의적 복합공간,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공간의 변신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서울 시내 유명한 한 카페는 원래 신발공장이었고, 유럽의 인기있는 호텔은 원래 감옥이었습니다. 이처럼 기존 용도에서 벗어나 상황에 맞춰 새로운 곳으로 변신하는 공간을 '카멜레존(Chamelezone)'이라고 합니다. 카멜레존은 '카멜레온(chameleon)’과 공간을 의미하는 ‘존(zone)’을 합..

★랩투마켓 / 2015, 물류 자동화 시스템 개발 회사

★랩투마켓 / 물류 자동화 시스템 개발 회사 • 본부 : 서울시 강서구 마곡중앙8로 14 408호 • 설립 : 2015년 3월 설립 랩투마켓은 물류 자동화 시스템 개발 회사다. http://www.retailing.co.kr/ 물류창고 내에서 셔틀, 포장장비, 컨베이어, 무인자동로봇(AGV) 등 다양한 장비를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하는 일을 주로 한다. ‘연구실과 시장을 연결한다’는 회사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학교 실험실에서 창업한 회사다. 항공대 항공물류학부 교수이기도 한 장윤석 대표가 국토교통부 연구과제로 시작했던 물류 시스템 자동화 기술을 발전시켜 레고형 셔틀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선보였다. 물류센터의 컨베이어벨트 위로 상자들이 부지런히 움직인다. 코로나19로 인해 언택트 쇼핑이 크게..

2020년 주요 물류기업 창고업 등록 현황

2020년 주요 물류기업 창고업 등록 현황 http://www.k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1710 물류창고 등록수와 면적 모두 늘어 주요 물류기업들의 창고업 변화는 지난해와 직접적으로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등록 수와 면적 모두 늘어난 것으로 확인 됐다. 전체 물류창고업의 등록수가 줄어든 상황에서 주요 기업들의 등록수가 늘어났다는 점에 주목된다. 올해 주요 물류기업의 창고업변화는 CJ대한통운, 롯데글로벌로지스, 판토스, 한진, 동원로엑스, 세방, BGF로지스, 한익스프레스, 한솔로지스틱스, 동방, KCTC, 삼성전자로지텍(물류창고업 등록 수 순)을 대상으로 조사했으며 지난해 사명을 변경한 동원동부익스프레스는 동원로엑스와 등록수와 등록면적을 합산해 계산했다. ..

2020년 물류창고업 등록 현황

2020년 물류창고업 등록 현황 http://www.k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1709 ◇물류창고 운영 면적 대형화 ‘뚜렷’, 3년째 물류창고 등록수는 ‘감소’ 물류창고업 등록수는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등록면적은 큰 폭으로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물류센터에 대형화 추세에 따른 변화로 보인다. 2020년 7월 15일 기준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에 등록된 물류창고의 수는 총 3,697개로 지난해 3,577개에 비해 늘어난 것으로 보이지만 주소와 면적이 중복되는 내용을 정리하면 등록된 물류창고업의 수는 총 3,006개로 지난해에 비해 총 571개의 물류창고 등록수가 줄어들었다. 하지만 이에 비해 등록 면적은 상당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

⊙쿠팡, 이베이, 롯데…유통가는 지금 오픈마켓 경쟁 중 / 200527

⊙쿠팡, 이베이, 롯데…유통가는 지금 오픈마켓 경쟁 중 포춘코리아(FORTUNE KOREA) ▶최근 유통업체들이 자사 e커머스 플랫폼에 거의 공통으로 오픈마켓 시스템을 도입하거나 관련 사업을 확장하는 모습을 보여 눈길을 끈다. 오픈마켓 사업 모델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최근 이슈는 지난달 28일 론칭한 롯데그룹 통합 온라인 쇼핑몰 롯데온이었다. 롯데온은 그룹사 쇼핑 플랫폼으로 기획됐으나 오픈마켓 시스템을 접목한 모습으로 선보여 화제가 됐다. 오픈마켓은 다수의 시장 참여자가 상품을 구매 또는 판매할 수 있도록 개방된 온라인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말한다. 오픈마켓은 e커머스 흥행 과정에서 보자면 정점을 지나 쇠퇴기에 접어든 모델이다. 오픈마켓은 과거 위탁 판매 쇼핑몰과의 경쟁에서 승리해 20년 가까운 전성기를..

⊙인도 소매업

⊙인도 소매업 http://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84/globalBbsDataView.do?setIdx=403&dataIdx=181839 〈산업 개관〉 □ 산업 개요 ㅇ 인도 소매업 현황 - 인도의 총 소비지출 규모는 2017년 1조8,240억 달러에서 2020년까지 3조 6,000억 달러에 이르는 성장세를 보이며 세계 5위 규모. - 인도 소매업은 인도 국내 총생산(GDP)의 10% 이상, 인도 전체 고용률의 8%를 차지. - 외국인직접투자 신뢰지수(FDI Confidence Industry) 순위에서 인도의 소매업은 16위를 기록. ㅇ 인도 소매업 규모 - 2018년 기준, 인도 소매업은 13%의 연평균성장률을 보이며 9,500억 달러 규모로 확..

⊙AI 고성과 기업(AI high performers)

⊙AI 고성과 기업(AI high performers) http://news.mk.co.kr/v2/economy/view.php?year=2019&no=1095293 지난 2014년 개봉된 영화 ‘Her(그녀)’에서 주인공 호아킨 피닉스는 자신의 말에 귀를 기울이며 이해해주는 AI(인공지능) 비서 ‘사만다’와 사랑에 빠진다. 과연 그런 날이 올 것인지 여전히 궁금하기는 하지만, AI 활용은 이제 지역과 업종을 가리지 않는 글로벌 현상이 됐다. 맥킨지는 2019년 다양한 산업에 종사하는 여러 지역 응답자 2360명을 대상으로, 8개 사업 기능에 대해 33개 AI 사용 사례·도입 효과를 분석했다. 일상적인 비즈니스 프로세스에서 인공지능 도입은 전년 대비 25%나 증가했다. AI 사용에 따른 효과도 나타났다...

⊙북한 내 시장의 형성과 발전

⊙북한 내 시장의 형성과 발전 http://news.kotra.or.kr/ ㅁ Beyond Parallel*의 조사에 따르면 북한에는 436개의 정부 운영 공식 시장이 있음 - 북한 내 9개도에 평균적으로 48개의 시장 분포 - ㅇ 이론적으로 북한은 중앙당이 통제하는 사회주의 경제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나, 자본주의적 시장 원리가 작동하는 시장도 운영되고 있음 - 상대적으로 인구가 많은 특별시인 평양시, 남포시, 라선시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시장이 소재하며, 인구가 적은 자강도 및 량강도에는 적은 수의 시장이 설립되어 있음 (자료원: 북한의 사유 경제와 자본주의 (The Markets: Private Economy and Capitalism in North Korea?), Victor Cha and Lisa..

〔Self-medication〕일본, 건강 위해 약 먹으면 稅혜택

〔Self-medication〕일본, 건강 위해 약 먹으면 稅혜택 https://www.medigatenews.com/news/1324365232 일본 ‘셀프 메디케이션’ 특별세 눈길 일본, 2025년 의료비 54조엔 예상… 인센티브 활용해 고령자들의 ‘탈(脫) 병원’ 유도 초고령사회 일본에서 요즘 ‘셀프 메디케이션(Self Medication)’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스스로 치료한다’는 뜻의 셀프 메디케이션은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요통 등 가벼운 병상(病狀)에 대해서는 시판약을 구입해 자체 처방하는 것을 말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셀프 메디케이션을 ‘자신의 건강에 책임을 지고 가벼운 신체의 부조화에 대해 스스로 대응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쉽게 말해 조금 아프다고 이내 병원부터 찾지 말고..

〔Self-medication〕‘셀프 메디케이션’을 아시나요?

〔Self-medication〕‘셀프 메디케이션’을 아시나요? http://www.financialreview.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461 바쁜 현대인들은 본인의 건강을 위해 어떤 노력들을 하고 있을까. 운동, 식습관 관리, 규칙적인 수면 등 다양한 부분에서 신경을 쓰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내 몸은 내가 지킨다’는 기치 아래 ‘셀프 메디케이션(Self-medication)’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해외에서 셀프 메디케이션은 ‘자가 처방, 자가 치료’라는 의미에서 의사와의 상담 없이 스스로 의약품을 구입해 지산의 질병 치료와 건강 개선 등에 사용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반면 국내에서는 의약품에 국한되기보다는 ‘좋은(건강한) 것을 먹는’ 모든 행위에 초..

〔Self-medication〕2020년 글로벌 건기식 시장 200조여원

〔Self-medication〕2020년 글로벌 건기식 시장 200조여원 http://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5734 올 초부터 약업계는 처방약 이외에 다양한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대해 매출성장을 유지하겠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성장폭을 정해야 하는데 전문약 만으로는 성장에 한계가 있는 데다 전반적인 제약 환경마저 크게 나아질 것으로 기대되지 않으면서 다각적인 사업 영역을 검토하고 있는 것. 주목할 점은 이 같은 새로운 시장창출에 대한 접근방식이 기업들의 일시적인 행보가 아니라 회사의 전략적 방향 아래 추진되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건강기능식품, 보툴리눔 톡신제제, 치과제품 부문이 중심축을 담당하고 있으며 실제로 제품을 타진하는 제약사들도..

〔Self-medication〕1인 가구 ‘셀프메디케이션’ 건기식 각광

〔Self-medication〕1인 가구 ‘셀프메디케이션’ 건기식 각광 https://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75715 ◇합리적인 가격 맞춤형 제품 2030 세대에 호응 1인 가구 520만 시대를 맞아 일상을 즐기는 1인가구의 다채로운 라이프 스타일 만큼이나 스스로 건강을 챙기는 문화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의 발표에 따르면 1인가구의 혼밥 비율은 무려 91.8%에 달한다. 혼자 식사를 할 경우 영양 있는 한 끼를 섭취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음주, 흡연, 비만 등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가 ‘신(新)건강 취약계층’으로 대두됨에 따라 젊은층 사이에서는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챙기는 ‘셀프메디케이션(Self..

〔Homeconomy〕 KB국민카드, '홈코노미' 결제 1년새 2배

〔Homeconomy〕 KB국민카드, '홈코노미' 결제 1년새 2배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11/18/2019111803314.html - KB국민카드 빅데이터 분석 맛집 음식 배달해 먹으며 영화 출장 청소, 반려동물 돌봄 등 집안·차량 관리 서비스도 인기 '집은 여유롭게 노는곳' 인식 늘어 직장인 서모(31)씨는 약속이 없는 날에는 퇴근 후 집으로 직행한다. 거실 소파에 누워 넷플릭스로 인기 미드(미국 드라마)를 보는 게 취미다. 저녁은 손에 든 스마트폰으로 배달시켜 먹곤 한다. 집 근처에 대형마트가 있지만 제대로 장을 본 게 언제인지 가물가물하다. 필요한 물건이 있으면 침대에 누워 스마트폰으로 주문하는 일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주요 홈코노..

〔Homeconomy〕배달·렌털시장 웃고 대형마트·자동차 울고

〔Homeconomy〕배달·렌털시장 웃고 대형마트·자동차 울고 https://jmagazine.joins.com/economist/view/328866 20~30대 60% 이상이 “나는 홈족”… 지난해 온라인쇼핑 거래액 역대 최대 홈코노미(Home Economy) 전성시대다. 1인 가구 확대와 디지털 기술 발달, 불편한 소통보다 혼자가 더 편한 성향을 드러내는 밀레니얼 세대(1980~2000년대 출생)의 가치관이 반영된 결과다. 한 설문조사에서 20~30대의 60% 이상은 스스로를 ‘홈족’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홈코노미 증가로 국내 산업 지형도 역시 빠르게 변모하고 있다. 기업은 이들이 집에서 누릴 수 있는 제품·서비스를 끊임없이 내놓고 있다. 특히 유통업계에는 홈코노미 증가가 마케팅 전략의 중요한 변..

〔Homeconomy〕홈족들의 홈코노미 전성시대

〔Homeconomy〕홈족들의 홈코노미 전성시대 https://woman.donga.com/3/all/12/1899045/1 집 안에서 모든 것을 즐기는 홈족들이 새로운 경제 주체로 홈코노미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이제 과거의 집순이, 집돌이가 아니다! 과거 집순이 혹은 집돌이는 놀 줄 모르는 사람으로 여겨졌다. ‘집구석에 처박혀 있지 말고 나가 놀아라!’라는 말을 들으며 활동적이지 못하다고 구박받기도 했다. 하지만 이제 타인의 눈치를 볼 필요가 없다. 집순이와 집돌이의 전성시대가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나만의 집, 나만의 공간에서 여가와 휴식을 즐기는 그들은 ‘홈족’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형태의 경제 주체로 급부상 중이다. 홈족들은 단순히 지출을 줄이기 위해 집에 머무는 것이 아니다. 나만의 공간에서 힐..

■ 덴츠(電通, Dentsu) / 일본 1906, 광고회사

■ 덴츠(電通, Dentsu) / 일본, 광고회사 http://www.dentsu.co.jp/ •본사 소재지 : 도쿄도 미나토구 히가시심바시잇쵸메 8번 1호 •설립 : 1906년 •사업 내용 : 모든 광고·시장화 서비스, 및 컨텐츠·비즈니스 •종업원수 : 6,927명(2017년) 1901년(메이지34년), 미쓰나가 호시로에 의해서 설립된 「일본 광고」를 전신으로 한다. 1907년 광영이 통신사를 설립한 것으로 일본 광고는 흡수되어 「일본 전보 통신사」(덴츠)이 된다. - 企業文化 - 〈鬼十則〉 1. 仕事は自ら創るべきで、与えられるべきでない。 2. 仕事とは、先手先手と働き掛けていくことで、受け身でやるものではない。 3. 大きな仕事と取り組め、小さな仕事はおのれを小さくする。 4. 難しい仕事を狙え、そしてこれを成し遂げると..

■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Reliance Industries) / 인도 1973년, 유통기업

■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Reliance Industries) https://www.ril.com/ •설립 : 8 May 1973 •설립자 : Dhirubhai Ambani •본부 : Mumbai, Maharashtra, India •직원수 : 236,334 (2021)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 리미티드(RIL)는 뭄바이에 본사를 둔 인도의 다국적 대기업이다. Reliance는 에너지, 석유 화학, 섬유, 천연 자원, 소매 및 통신에 종사하는 인도 전역의 기업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Reliance는 인도에서 가장 수익성이 높은 회사 중 하나이며, 시가 총액으로인도 에서 가장 큰 상장 기업인와 최근 정부가 통제하는 인도 석유 공사를 능가한 후 수익으로 측정된 인도 최대 기업입니다. 또한 거의 195,000 명..

■ 오카도(Ocado) / 영국 2000, 리테일 & 솔루션, 온라인 수퍼

■ 오카도(Ocado) / 영국 2000, 리테일 & 솔루션, 온라인 수퍼 Ocado more •설립 : April 2000 •설립자 : Jonathan Faiman, Jason Gissing, Tim Steiner •본부 : Hatfield, England, UK •업종 : Online shopping, software, robotics, automation Ocado Group은 온라인 소매업체를 위한 소프트웨어, 로봇공학 및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는 상장 회사입니다. 오카도 그룹은 2010년 7월 21일 런던 증권거래소에서 상장을 진행했으며 FTSE 100 지수의회원입니다. Ocado Group은 오늘날 별도의 법인인 영국의 오카도 리테일 리미티드(Ocado Retail Limited)에 기반을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