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 Issue 2100

2013년 새해 바뀌는 것들

2013년 새해 바뀌는 것들 http://gyinews.co.kr/ArticleView.asp?intNum=10201&ASection=001011 책자는 24개 부처별 총 194건의 달라지는 제도 등에 대해 국민적 관심사항이나 중요사항을 분야별로 재구성해 설명하고 있다. 분야별로는 환경ㆍ국토(52건), 보훈ㆍ국방(35건), 농식품ㆍ산림(28건), 보건복지ㆍ여성(24건), 고용ㆍ노동(21건), 교육ㆍ문화(14건), 산업(10건), 금융(4건), 소방ㆍ경찰(3건), 세제(3건) 등이다. 현재 국회에서 심의중인 세법개정 관련 내용(약 40건)은 포함하지 않았다. 내년 1월초 반영할 예정이다. 각 부처별로 달라지는 제도를 변경 전ㆍ후로 비교(도표화)했고, 시행 시기별로도 목차를 구성해 알아보기 쉽게 정리했다. ..

2013년 보건복지 정책 이렇게 바뀐다

2013년 보건복지 정책 이렇게 바뀐다 http://www.fnnews.com/view?ra=Sent0901m_View&corp=fnnews&arcid=201212300100275680015571&cDateYear=2013&cDateMonth=01&cDateDay=02 2013년부터 3월부터 만 3~5세 어린이에 대한 무상보육이 실시된다. 영유아와 65세 이상 성인의 필수예방접종 국가지원이 확대된다. 고가 항암제와 중증질환자에 대한 초음파 검사, 노인 틀니 건강보험 혜택도 확대된다. 음식점은 메뉴판에 부가세 등을 포함한 최종지불가격을 표시해야 한다. PC방은 6월부터 흡연이 전면 금지된다. 보건복지부는 2013년부터 바뀌는 보건의료·건강정책·장애인 지원 등 제도 변경 사항을 2일 소개했다. 만 5세 어린..

2013년 외식업계 결산 및 2014년 전망

2013년 외식업계 결산 및 2014년 전망 http://month.foodbank.co.kr/etc/search_view.php?secIndex=4371&page=1§ion=&serial=&keyfield=all&key =아이스크림 Not too late, Still hope! ‘좌절하기엔 이르다, 아직 희망이 있으니까!’ 국내 외식업계에서 2013년은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한 해였다. 장기불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위축된 소비심리는 되살아 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외식업계의 발전을 저해하는 정부의 각종 규제는 날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도 모자라 연초부터 터진 고병원성 AI(조류인플루엔자)는 외식업계의 험난한 2014년을 예고하고 있다.하지만 언제까지나 손 놓고 기다..

2013년 외식업계 트랜드

외식업계 2013년 상반기 결산 및 하반기 전망, ‘숨통 조인’ 외식업계 ‘안간힘’으로 버틴다 진퇴양난에 빠진 외식업계의 상황은 올 상반기에도 예외는 아니었다. 끝을 모르는 장기불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위축된 소비심리는 되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외식업계의 발전을 저해하는 정부의 각종 규제는 날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공정거래위원회의 모범거래기준 발표에 이어 가맹사업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정, 동반성장위원회의 중소기업적합업종 선정까지 상반기 외식업계는 한 마디로 파란만장했다. 또 한국휴게음식업중앙회가 오는 9월 커피·피자·햄버거 등을 중소기업적합업종으로 신청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모범거래기준으로 이미 1차 타격을 입은 피자업계와 커피업계에 거센 후폭풍을 예고하고 있다...

2013년 세계경제 전망

2013년 세계경제 전망 http://www.lgeri.com/economy/overseas/article.asp?grouping=01010200&seq=618 121217101644 세계경제전망.pdf 2012년 세계경제는 유로존 재정위기 확산으로 뚜렷한 둔화추세를 보이고 있다. 향후 세계경제의 긍정적 측면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초래했던 구조적 문제점들이 부분적으로 해소되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의 주택가격이 상승세로 돌아서고 가계부채도 상당부분 조정되면서 가계 소비여력이 회복되고 있다. 중국도 주택경기가 반등하면서 긍정적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선진국 정부의 재정건전화를 위한 적자축소는 2013년에도 지속되면서 세계경제의 본격적인 회복을 제약하는 요인이 될 것이다. 선진국들은 2013년 세계GDP..

2013년 경제성장율 전망치

2013년 경제성장율 전망치 http://media.daum.net/economic/newsview?newsid=20121114030700489 최근 일부 경기 지표가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바닥 통과론'이 조심스럽게 고개를 들고 있다. 이를 토대로 정부는 우리 경제가 완만하게나마 바닥을 찍고 회복되는 '나이키형' 성장을 보일 것이라고 내다본다. 하지만 민간 경제연구기관들은 바닥 국면이 오랫동안 지루하게 이어지는 'L자형' 모습을 예측한다. 정부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공식적으로는 3.3%로 고수하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이미 2%대 초반으로 수정한 상태다. 기획재정부 고위 관계자는 "3분기 성장률이 전 분기 대비 0.2%에 그쳐 올해 2%대 중반 성장도 어렵다는 게 내부 공감대"라면서 "최근 글로..

●2013년 세계경제전망 / SERI

2013년 세계경제전망 (SERI) http://www.seri.org/kz/kzBndbV.html?no=124876&pgca=4&ucgb=KZBNDB 2013년 세계경제 전망 (SERI).pdf 유럽 재정위기로 세계교역이 급격히 위축되고 소비심리가 악화되면서 세계경기가 빠른 속도로 둔화되고 있다. 세계경기의 저점이 당초 예상보다 더 낮아지면서 뒤로 밀리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경제는 올해의 3% 초반의 성장에 이어 내년에도 비슷한 수준의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향후 수 년간 정부부문이 주요 수요위축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며 높은 가계부채 부담이 소비를 제약할 것으로 보인다. 재정건전화 시한 연장과 같은 긴축 완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기 부양이 어려워 2013년 유로존 성장률은 0% 수준으로 예상..

2012년 하반기 경제전망(올해 연간 성장률 3.0% 예상)

2012년 하반기 경제전망(올해 연간 성장률 3.0% 예상) http://www.lgeri.com/economy/domestic/article.asp?grouping=01010100&seq=908 120625091600 2012년 하반기 경제전망(올해 연간 .pdf 하반기중 유로존의 실물경기 침체와 재정위기 관련 불안이 지속되면서 세계경기 둔화추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금융동맹과 부분적 재정통합 시도에도 불구하고 남유럽 국가의 마이너스 성장, 재정적자 축소의 어려움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자산거품과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BRICs국가들은 경기부양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우며 미국의 나홀로 회복에도 한계가 있을 것이다. 세계경제 성장률은 올해 3% 내외에 머물 것으로 전망되며 ..

2012년 한국경제의 당면 과제

2012년 한국경제의 당면 과제 http://www.seri.org/db/dbReptV.html?menu=db02&pubkey=db20111221001 111221 2012년 한국경제의 당면 과제.pdf 요약 2012년에도 경제불안이 가중될 우려가 크다. 민간부문의 회복력이 충분히 복원되지 못한 상태에서 각국 정부의 경기부양여력이 소진되어 세계경제의 저성장 기조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경제도 위기 이전의 성장궤도로 복귀하는 데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저성장 체제에 대비하는 것이 2012년 한국경제의 최우선 과제다. 목차 Ⅰ. 국내외 경제 현황 Ⅱ. 2011년 세계 및 한국 경제 평가 Ⅲ. 2012년 한국경제의 과제

2012년 세계경제 전망 / LGERI

2012년 세계경제 전망, 금융불안과 재정감축이 경기 압박 http://www.lgeri.com/economy/overseas/article.asp?grouping=01010200&seq=579 111220094304 2012년 세계경제 전망, 금융불안과 .pdf 세계경제는 선진국 국가부채 위기가 실물경기로 파급되면서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다.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당분간 이어지고 선진국 정부의 재정건전화를 위한 지출 축소도 계획되어 있어 내년에도 세계경제는 성장세가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규모에 대비한 총부채 비중이 줄어드는 디레버리지가 본격화되면서 세계경제는 중기적으로 3%대 초반의 성장에 머물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 재정위기는 국채만기가 몰려 있는 내년 상반기가 분수령이 될 것이다. 재정..

2012년 국내경제 전망 / LGERI

2012년 국내경제 전망, 수출견인력 약화로 성장률 3.4%로 둔화 http://www.lgeri.com/economy/domestic/article.asp?grouping=01010100&seq=885 111220094154 2012년 국내경제 전망, 수출견인력 .pdf 내년 국내경제 성장률은 3.4%로 올해 3.8%에 비해 낮아질 전망이다. 선진국의 수요 둔화로 우리 주력제품인 내구재와 관련 부품의 교역이 위축되면서 그동안 국내 성장을 주도해왔던 수출의 활력이 크게 약화될 전망이다. 중기적으로 세계경제는 3% 초반 성장에 머물 것으로 예상되며 수출의 성장기여도가 높은 우리경제도 4% 성장을 회복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부진을 지속해왔던 내수경기는 개선될 여지가 있으나 회복속도는 빠르지 않을 전망이다..

2012년 세계경제 및 한국경제 반기별 전망

2012년 세계경제 및 한국경제 반기별 전망 http://www.seri.org/db/dbReptV.html?menu=db01&pubkey=db20111201003 111202 2012년 세계경제 및 한국경제 반기별 전.pdf 요약 2012년 세계경제 성장률은 2년 연속 하락하면서 3.5%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경제의 성장 속도도 상반기를 저점으로 하반기로 갈수록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2012년 한국경제 성장률 역시 3.6%로 하락할 전망이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1년에 비해 낮은 3.4%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2년 연평균 원/달러 환율은 1,060원으로 하락할 전망이다. 목차 Ⅰ. 최근 한국경제 흐름 Ⅱ. 2012년 세계경제 전망 Ⅲ. 2012년 한국경제 전망 ..

2012년 세계경제 및 한국경제 전망

2012년 세계경제 및 한국경제 전망 http://www.seri.org/db/dbReptV.html?menu=db01&pubkey=db20110921001 110902 2012년 세계경제 및 한국경제 전망.pdf 요약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빠른 회복세를 보이던 세계경제에 적신호가 켜졌다. 2012년 세계경제 성장률은 2년 연속 하락하면서 3.5%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경제 역시 주요 성장 동력이 모두 냉각되어 2012년 성장률이 2011년의 4.0%에서 3.6%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2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1년의 4.4%에서 3.4%로 하락할 전망이다. 목차 Ⅰ. 최근 한국경제 흐름 Ⅱ. 2012년 세계경제 전망 Ⅲ. 2012년 한국경제 전망 Ⅳ. 2012년 업종별 전망 Ⅴ. ..

2012년 한국외식산업식자재박람회

2012 한국외식산업식자재박람회 농수축산업과 식품외식산업의 행복한 상생 1만1258명 참관, 거래규모 117억원 달성 올해 3회째인 이번 박람회는 총 1만1258명의 참관객이 다녀간 가운데 총 117억 원에 이르는 거래 실적을 달성해 성황을 이뤘다. ` 글•취재부 / 사진•이종호 팀장 300여 명의 내외빈, 해외 한식당 경영주 100여 명 참가 첫날 열린 개막식에는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을 비롯해 서규용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유정복 새누리당 국회의원, 우윤근 민주통합당 국회의원, 양승조 민주통합당 국회의원, 신성범 새누리당 국회의원, 이학재 새누리당 국회위원, 김재수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 양일선 한식재단 이사장, 김경근 (재)재외동포재단 이사장, 김순진 (주)놀부NBG 회장, 최인식 (주)..

2012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2012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http://www.digieco.co.kr/KTFront/report/report_issue_trend_view.action?board_seq=7516&board_id=issue_trend # 130118_2012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pdf 올해 DMC미디어는 라이프스타일 분석과 관련하여 두 개의 보고서를 내놨다. 하나는 ‘한국인의 소셜 라이프스타일’이었고, 다른 하나는 지금 읽고 있는 ‘2012년 한국인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보고서이다. 두 보고서 모두 ‘디지털과 라이프스타일’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하 지만 소셜 미디어와 디지털이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은 비슷한 듯 하지만 영향의 깊이와 범위가 다르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소셜 미디어 라이프..

2012년 국민통일의식조사

2012년 국민통일의식조사 http://office.kbs.co.kr/tongil/ - 광복 67주년을 맞아 통일에 대한 국민 의식을 조사하기 위해 KBS 남북협력기획단이 기획함 (KBS 방송문화연구소와 여론조사기관인 엠비존(Mbizon)을 통해 조사가 이루어짐) - 조사 대상 :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유효표본 1,027명 - 조사 방법 : 휴대전화 조사 - 표본 추출 방법 : 전국 지역, 성, 연령별 분포에 따른 비례할당 추출 - 표본 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3.1%p - 조사 기간 : 2012년 8월 6일-7일 ※ 자세한 통계는 추후 책자로 발간할 예정임 ○ 북한 정권에 대한 인식 - 북한의 정권과 집권세력에 대해 ‘반감을 느낀다’는 응답이 45.5%로 가장 많았음(매우 반감 22..

201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201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269308 2012년 가계금융ㆍ복지조사 결과 보도자료.hwp 보도자료 통계표.xls □ 2012년 3월말 현재 우리나라 가구의 평균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순자산은 2억 6,203만원으로 전년에 비하여 6.7%증가(순자산 중앙값은 1억 3,818만원으로 6.1%증가) 자산은 3억 1,495만원, 부채는 5,291만원 □ 우리나라 전체 가구 자산은 거주주택 38.2%, 거주주택 이외 부동산 31.2%, 저축액 17.9%, 전ㆍ월세보증금 7.0%, 자동차 등 기타 실물자산 5.1%로 구성 □ 가구의 64.6%(1.8%p 증가)가 평균 8,187만원(1...

2012년 경제전망 / LGERI

2012년 경제전망 http://www.lgeri.com/economy/domestic/article.asp?grouping=01010100&seq=874 110923 2012년 경제전망 LGB.pdf 국가부채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고 선진국의 재정긴축기조가 본격화되면서 세계경제는 올 하반기 이후 성장활력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리먼쇼크 당시 위기해결사로 나섰던 정부 부문이 부채급증으로 경기를 떠받치는 능력이 약화되어 선진국 가계와 기업의 수요 심리가 쉽게 살아나기 어려울 전망이다. 선진국의 소비 및 투자부진은 세계교역과 금융시장 불안정성 확대, 경제주체들의 기대심리 악화 등을 통해 세계경제로 파급될 것이다. 중국 등 거대개도국이 제한적으로 버팀목 역할을 하면서 급격한 침체는 막을 것이지만 세계경제 ..

●2012년 글로벌 경제뉴스 / 조선비즈

2012년 10대 글로벌 경제뉴스 - 조선비즈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2/12/21/2012122101804.html 2011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한 듯 보였던 전세계는 2012년에는 본격적인 저성장 국면으로 진입했다. 각국은 서로 경쟁적으로 돈을 풀며 자국 경제 살리기에 매달렸고 금융규제 강화속에 리보금리 사태가 터졌다. AAA 등급을 받았던 많은 유럽국가들이 최고 지위를 잃기도 했다. 다음은 조선비즈가 꼽은 2012년 세계경제 10대뉴스. ① 美 오바마 재선과 재정절벽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11월 6일 치러진 대선에서 승리, 연임에 성공했다. 실업률이 7%를 넘어가는 대통령이 그동안 재선에 성공한 경우가 없다는 징크스를 깨고 과반의 지지..

2011년 10대 뉴스 IT업계 / CNN

2011년 10대 뉴스 IT업계 / CNN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1/12/27/0200000000AKR20111227014800091.HTML?did=1179m CNN은 올해 정보기술(IT)업계에서는 애플의 공동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 스티브 잡스의 사망과 '중동의 봄'을 연출한 소셜미디어의 역할 등을 10대 뉴스로 꼽았다. 다음은 CNN이 선정한 2011년 10대 IT뉴스. ◆ 스티브 잡스 = 가난한 입양아 출신으로 세계에서 가장 가치있는 정보기술(IT) 기업을 일궈낸 애플의 공동창업자 스티브 잡스가 지난 10월5일 암투병 끝에 사망한 후 전세계적으로 추모열기가 뜨거웠다. 잡스의 사망 직후 올해 급변동을 거듭하던 IT업계가 충격에 빠지면서 한동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