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 Issue 2100

2011년 하반기 경기전망-LGERI

2011년 하반기 경기전망-LGERI http://www.lgeri.com/economy/domestic/article.asp?grouping=01010100&seq=866 2011년 하반기 세계경제는 고유가와 유럽 재정위기 등 상반기 충격요인들의 향배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원유와 농산물 등 원자재 가격은 정세불안이나 기상이변에 따른 공급차질이 어느 정도 해소되면서 상승세가 진정되겠지만 전반적인 공급여력 위축으로 크게 안정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유럽 재정위기는 하반기 중 파국을 맞을 가능성은 줄어들었지만 근본적 문제해결 지연으로 향후 불안 재연이 불가피한 것으로 판단된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고 국제금융시장이 소용돌이에 휘말린 가능성이 줄어들면서 세계경제의 양대축인 미국과 중국경기의 급락 가능성은..

2011년 세계경제 및 한국경제 전망 / SERI

2011년 세계경제 및 한국경제 전망 / SERI 2010년 상반기까지 한국경제는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2010년 하반기 이후 성장속도가 둔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2010년 하반기 중 성장세 둔화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상반기의 양호한 경기흐름에 힘입어 2010년 한국경제는 5.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2011년 한국경제는 3.8%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00902 2011년 세계경제 및 한국경제 전망.pdf

2011년 국내 10대 트렌드 / SERI

2011년 국내 10대 트렌드 http://www.seri.org/db/dbReptV.html?menu=db02&pubkey=db20110112001 2011년 국내 트렌드의 키워드는 '긴장'과 '모색'이 될 것이다. 글로벌 경제위기가 발생한 지 3년째인 2011년은 경제성장세 둔화, 다양한 사회갈등의 표출, 한반도 안보리스크 등으로 '긴장'이 고조되는 한 해가 될 전망이다. 한편, 2011년은 21세기 두 번째 10년을 시작하는 해로 다양한 준비를 통해 새로운 도약을 '모색'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2011년 국내 10대 트렌드 http://www.seri.org/db/dbReptV.html?menu=db02&pubkey=db20110112001 110112 2011년 국내 10대 트렌드.pdf

2011년 11가지 주요 소비 트렌드 / 트렌드워칭 ★

2011년 11가지 주요 소비 트렌드 http://trendwatching.com/kr/trends/11trends2011/ ://trendwatching.com 새 해에도 수많은 위협과 기회가 롤러코스터처럼 오르내릴 것이다. 위협보다는 기회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비록 환율전쟁과 국가부도라는 위기에 처하더라도 창조적인 기업과 브랜드들은 오히려 상황에 따라 급변하는 소비자들의 필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더 많이 찾아낸다. 브라질에서 벨기에까지. 아주 잘 나가는 이들은 쉴 틈이 없다! 시작하기 전에... 이 브리핑은 '트렌드'를 전적으로 다루고 있는데다가 '트렌드'라는 것이 '서유럽 인구의 노령화부터' 부터 '2012년 봄 시즌 스커트 길이'까지 모든 것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브리핑을 시작하..

2011년 중산층 라이프스타일 보고서(1)

2011년 중산층 라이프스타일 보고서(1) http://danmee.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7/12/2011071201322_2.html 얼마 전 서울 시내 근로자의 한 달 평균 임금이 385만원이고, 생활비는 228만원으로 집계됐다는 통계가 나왔다. 이 결과로 상대적인 박탈감에 빠진 사람들도 많았는데, 이는 서울이기에 가능한 수준이다. 서울만이 아닌, 대한민국 중산층은 어느 정도의 수입을 가진 사람들일까? 2011년을 살아가는 중산층의 소비 패턴과 라이프스타일을 공개한다. ‘중산층’은 어떤 사람을 말하는 것일까? 국어사전에 따르면 중산층(중산계급)은 무상 계급과 유상 계급 중간에 놓인 계층이다. 한 노무사는 네이버 지식인 답변을 통해 ‘다분히 심리적이지만, 소득..

2011년 한국 소비자의 관심사 / 인터넷 뉴스 소비와 검색어로 본

2011년 한국 소비자의 관심사 / 인터넷 뉴스 소비와 검색어로 본 http://www.lgeri.com/management/marketing/article.asp?grouping=01020300&seq=378 111219085400 인터넷 뉴스 소비와 검색어로 본 20.pdf 사람들의 관심사를 안다는 것은 소비자 이해의 첫 걸음이다. 스마트폰 대중화 등 인터넷의 발달로 사람들은 관심있는 뉴스 기사나 주제에 대해 실시간으로 반응하고 이러한 관심은 실제 라이프스타일로 이어지고 있다. LG경제연구원은 인터넷 포털 Daum과 함께 ‘한국인의 관심사’ 연구를 작년에 이어 2회째 수행했다. Daum이 보유한 최근 1년 동안 인터넷 뉴스 및 검색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한국인의 관심 키워드, 관심 분야, 모바일 웹..

2011년 농산물시장의 트렌드 변화와 대응

2011년 농산물시장의 트렌드 변화와 대응 http://www.seri.org/db/dbReptV.html?menu=db02&pubkey=db20110810001 110810 농산물시장의 트렌드 변화와 대응.pdf 요약 구제역 파동과 기상재해 등의 여파로 최근 농축산물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농산물 가격 상승이 최근의 물가불안을 주도하고 있으며 서민가계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농산물 가격 상승은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장기적·구조적 현상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 농산물시장의 트렌드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농산물 가격 상승의 장기화 가능성을 점검하고 대책을 강구해본다. 목차 Ⅰ. 농산물 가격 급등과 한국경제 Ⅱ. 농산물시장의 새로운 트렌드 Ⅲ. 대응전략

⊙편의점서 한끼 뚝딱, 이렇게 하면 건강도 OK

⊙편의점서 한끼 뚝딱, 이렇게 하면 건강도 OK http://media.daum.net/life/health/list/newsview?newsId=20150407115505738 '냉장고를 부탁해'(JTBC), '삼시세끼'(tvN), '잘 먹고 잘 사는 법, 식사하셨어요?'(SBS) 등 최근 '먹방' 프로그램들이 대세다. 인기 이면에는 제대로 된 식사를 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먹방 대리만족'이라는 서글픈 자화상이 담겨있다. 최근 경제적 여유나 시간에 쫓겨 편의점 식사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더불어 편리함 때문에 편의점 식품을 자주 구매해 먹는 1~2인 가구의 소비도 증가하는 추세다. 실제로 한 편의점 업체에 따르면 지난 1~2월 아침 시간대(6~10시) 샌드위치, 빵 종류, 김밥, 우유의 매출이..

⊙‘김영란법’ / 불황의 외식업계 3만원 굴레에 빠지다.

⊙‘김영란법’ / 불황의 외식업계 3만원 굴레에 빠지다. http://month.foodbank.co.kr/section/section_view.php?secIndex=5204&page=1§ion=001001&back=S§ion_list=special.php ◇외식인 목 조르는 ‘김영란법’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일명 ‘김영란법’으로 인한 외식업계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음식물 접대 상한액이 ‘3만원’으로 정해지면서 일부 외식업 경영주들은 폐업까지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속되고 있는 장기불황에 예측하기 힘든 환경변화로 날이 갈수록 매장 운영이 팍팍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김영란법은 외식업 관계자들에게 그야말로 ‘어퍼컷’의 충격이다. 본격적인 법 시행을 한 달여 앞두고 외식..

2010년 한식업계 전망

한식 업계 http://blog.daum.net/md114/8914491 대중화·전문화한 브랜드 무난한 성장세 ‘잘 되는 곳은 계속 잘되고, 못 되는 곳은 망했다’. 한식 업계 상반기를 정리하자면 대중적인 아이템과 견고한 브랜드 파워를 갖고 있는 업체의 경우 불황 여파와는 관계 없이 무난하게 동그라미 성적표를 받았지만, 운영 능력이 부족하거나 다소 트렌드에 부합하지 않는 아이템으로 승부를 건 업체들은 낙제점을 받았다. 한식 업계의 이원화가 뚜렷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글/안혜경 기자 ahk@foodbank.co.kr -대중화, 전문화가 경쟁력 핵심 한식 업체 중 본아이에프의 본죽, 더본코리아의 새마을식당 등 대중적이되 전문화한 브랜드가 상반기 성공적인 운영 성과를 거둠에 따라 한식 업계의 주요 이슈가..

2010년 외식업계 트랜드

2010년 외식산업 총정리 ★2010년 외식업계 마케팅 트렌드★ 요즘과 같은 불황에 창의적인 마케팅은 필수다. 뭔가 남과 다르게 튀어야 하고, 앞서가야 고객들에게 선택을 받을 수 있다. 마케팅 전략은 대기업부터 골목 식당까지 꼭 필요하다. 올 해 마케팅의 키워드는 전통적인 PPL 마케팅과 함께 소셜미디어 마케팅이 주목받았다. 01 브랜드 노출에 최적_PPL 마케팅 PPL은 Product in Placement의 약자로 영상산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영화, 드라마 등에 자사의 특정 제품을 등장시켜 홍보하는 것을 의미한다. 외식업계에도 몇 년 전부터 PPL마케팅을 도입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거나 제품 판매를 극대화하고 있지만, 역으로 영화나 드라마의 스토리와 자연스럽게 어울리지 못하는 경우 소비자들에게 거부감을..

2010년 외식업계 상반기 동향

외식업계 2010년 상반기 동향 http://delco.co.kr/pages/sub4_01.htm?db=rec1&page=2&part=&word=&sort=&id=417&type=read 외식업계는 지난해에는 경기부진과 신종플루 등으로 외식 수요가 감소하였으나, 금년에는 정부의 한국음식의 세계화 추진, 남아공 월드컵 특수 등으로 다소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델코지식정보에서는(http://www.delco.co.kr) 외식업계별 동향과 시장추이를 살펴봅니다(본 자료는 2010 유통업체연감에서 발췌한 것임). 1. 패스트푸드(햄버거중심)업계 표1-1. 패스트푸드 업계 연도별 시장규모 추이 (출처 : 2010 유통연감) 2. 패밀리레스토랑업계 표2-1. 패밀리레스토랑 업계 연도별 시장규모 추이 (출처 :..

〔브랜드〕2018년 유통업태 및 전문업종 브랜드경쟁력 / NBCI

〔브랜드〕2018년 유통업태 및 전문업종 브랜드경쟁력 / NBCI http://www.brand.or.kr/2014/knowledge/board_view.asp?board_idx=1478&page=3&setListViewCnt=10&schField=&schValue= 〔2018년 백화점 업종〕 백화점 업종의 NBCI 평균은 75점으로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롯데백화점이 1점 하락한 77점으로 15년 연속 1위를 유지했다. 신세계백화점은 1점 상승한 75점으로 2위, 현대백화점은 전년과 같은 74점으로 3위를 차지했다. 1·2위간 순위 변동은 없었지만 점수 차이는 4점에서 2점으로 축소됐다. ■ 롯데백화점은 앞선 인프라와 시스템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한다. 고객 중심의 현장경영을 중시하는 ..

〔브랜드〕2018년 대한민국 100대 브랜드 / BRANDSTOCK

〔브랜드〕2018년 대한민국 100대 브랜드 / BRANDSTOCK http://www.brandstock.co.kr/webdoc/app/doc.php?menu_name=oz_2 - 대한민국 100대 브랜드는 BSTI(BrandStock Top Index)에 의해 선정되었으며, BSTI는 증권거래소 data와 브랜드 패널을 대상으로한 소비자 조사 data를 통해 산출되었습니다. - Email : contact@brandstock.co.kr TEL : 02-716-3114

〔브랜드〕Best Korea Brands 2017 Rankings

〔브랜드〕Best Korea Brands 2017 Rankings https://www.interbrand.com/newsroom/best-korea-brands-2017/ k-top.png Ji Hun Moon Chief Executive Officer, South Korea Ji Hun currently leads the Interbrand Seoul office as the Chief Executive Officer, with particular emphasis on COE (Creating Optimal Experiences) and providing 3R (Relevant, Remarkable, Real) solutions for Korea’s leading clients. He believes..

〔브랜드〕2016 올해를 빛낸 패션브랜드 베스트 16

〔브랜드〕2016 올해를 빛낸 베스트 브랜드 16 http://www.fi.co.kr/main/view.asp?SectionStr=Market&SectionSub=&idx=57253 브랜드력 다지며 지속가능한 성장 모델 구축 올해는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더욱 고조되는 한해였다. 경기 회복세가 안갯속에 놓인 가운데 하반기에 터진 최순실 게이트나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 등은 향후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하고 있다. 하지만 희망의 빛은 보인다. 어려운 가운데서도 브랜딩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 모델을 구축하는 브랜드들이 저력을 발휘하고 있다. ‘NBA’와 ‘3CE’ ‘디디에두보’는 차별화된 브랜드 아이덴티티로 국내는 물론 해외시장까지 사로잡았다. ‘타임’과 ‘스튜디오 톰보이’는 변함없이 세련된 감성과 우수한 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