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758

2006년 유통업계 5대 키워드

2006년 유통업계 5대 키워드 신세계 유통산업연구소는 20일 2006년 유통업 전망보고서를 발표하며 내년 유통업계의 5대키워드로 Green(친환경ㆍ웰빙), Recovery(소비회복), Experience(체험마케팅), Agglomeration(복합화ㆍ타운화), Technology(신 유통기술)를 제시했다. ◆ Green= 신세계는 잇따른 식품 파동으로 친환경식품 수요가 늘고 건강ㆍ안전 을 추구하는 경향이 더 뚜렷해지면서 친환경ㆍ유기농 상품을 선호하는 '그린슈 머'(Green+Consumer)가 본격적으로 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 Recovery= 내년에는 소비회복이 본격화되고 이를 지속시키기 위한 유통업계 노력도 다양하게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 신용버블이 안정화되고 주식 및 펀드시장이 살아나..

⊙대형마트(Mart) / 법정용어, 한국에서 “하이퍼마켓” 개념을 지칭함

⊙대형마트(Mart) / 법정용어, 한국에서 “하이퍼마켓” 개념을 지칭함 - ‘유통산업발전법’ 제2조 제3호에서 매장 면접합계가 3천 제곱미터 이상인 점포의 집단으로서 식품 가전 및 생활용품을 중심으로 점원의 도움 없이 소비자에게 소매하는 점포의 집단으로 정의하고 있다. - 대형마트는 1980년대 미국에서 크게 번성한 유통업태로 ‘월마트’의 성장과 이를 벤치마킹한 ‘이마트’의 성장 등과 맞물려 있어 일반적으로 이들 업체의 경영전략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들 대형마트는 과 같이 ⅰ) 저마진과 저가격을 지향하는 상품 판매, ⅱ) 주로 인지도가 높은 내셔널 브랜드(NB)의 상품 취급, ⅲ) 시설비 및 임대료 등을 감안한 교외에 입지 마련을 특징으로 하며, 저가격 대량판매를 위한 대규모 유통 점포시설로..

⊙시드라(Sidra) / 눈으로 마시는 술, 스페인 사과주

⊙시드라(Sidra) / 눈으로 마시는 술, 스페인 사과주 (mashija.com) 시드르는 사과를 발효한 술을 말한다. 프랑스에서는 시드르(Cidre), 영어로는 사이더(Cider), 스페인에서는 시드라(Sidra)라고 부른다. 포도가 재배되기 힘든 프랑스 북부지역, 영국 등에서 사과를 발효 시켜 술로 마셨고 이 술은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게 되었다. 하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사이더는 술이 아니라 음료다. 한국에서 술이 아닌 음료 ‘사이다’가 된 이유는 1884년 시드르가 일본을 거치면서 알코올과 사과 향이 빠진 ‘사이다’로 개발되었고, 한국으로 넘어왔기 때문이다. 이제는 프랑스나 독일, 영국 등에서 정통 시드르를 마셔보고 국내에서도 시드르를 찾는 마니아층이 늘어났다. 덕분에 국내 사과로 만든 시드르를 ..

⊙로봇(robot)의 개념과 유형

⊙로봇(robot)정의 인간과 유사한 모습과 기능을 가진 자동기계. ⊙로보틱스 기계 공학, 전기 공학, 컴퓨터 공학 등을 포함하는 공학 및 과학의 한 분야입니다. 로보틱스는 로봇의 설계, 조립, 작동, 사용 및 로봇의 제어, 센서 피드백, 정보 처리를 위한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합니다. 로봇은 센서, 엑추에이터, 정보 처리를 통해서 물리적 세상과 상호작용하는 기계입니다. 제조 분야는 로봇이 사용되는 주요 분야인데, 정확히는 산업용 로봇이 사용되는 ‘인더스트리 4.0’이 그렇습니다. ⊙로봇(robot)이란 용어 체코슬로바키아의 소설가 차페크(Karel Capek)가 1921년 발간한 『R.U.R(Rossum's Universal Robots)』이라는 희곡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로봇의 어원이 체코어의 노동..

⊙데킬라(Tequila), 메스칼(Mezcal), 풀케(Pulque) / 멕시코의 술과 음료

⊙데킬라(Tequila), 메스칼(Mezcal), 풀케(Pulque) / 멕시코의 술과 음료 (mashija.com) 멕시코의 술이라면 예전엔 소금과 라임을 곁들여 한 번에 마시는 데킬라(Tequila)를 먼저 상상했지만, 요즘 전 세계 유명한 바에서 눈에 잘 보이는 선반에는 메스칼(Mezcal)이 놓여있고 좀 더 낯선 풀케(Pulque)라는 술도 이국적인 술과 칵테일을 찾는 힙스터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멕시코시티는 물론, 뉴욕과 메트로폴리탄 도시들을 중심으로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는 멕시코 출신의 술들. 오늘은 외국으로 떠나지 못하는 여름이라 더 가보고 싶은 멕시코, 그곳에 가면 꼭 맛봐야 할 술을 소개합니다. 〈아가베로 만드는 멕시코 술〉 ◇데킬라와 메스칼은 다른 술인가요? 메스칼과 데킬라은 여..

⊙스크린야구

⊙스크린야구(FC) / Exer game 방(房)문화 어디까지… 천만원대 순익 야구방 인기http://www.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61973 프로야구 열기 편승 빠르게 확산…초기비용 크지만 안정적 수입 가능 ▲ 스크린야구는 대중들에게 친숙한 스포츠인 야구의 인기에 편승해 생겨난 오락 공간이다. 스크린야구는 직장 동료와 친구들이 모여 내기 게임을 하는 등 친목도모 공간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사진은 스크린야구 프랜차이즈 업계 1위 브랜드 ‘리얼야구존’ 입구 및 2위 ‘스트라이크존’ 입구 ⓒ스카이데일리 “투수, 이번엔 어떤 공을 던질까요. 던집니다. 공은 2루 주자 앞으로. 아웃” 또렷한 남성의 음성이 귀에 꽂힌다.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스크린 야구장’ 매장 로..

⊙국내 면세점업계 동향

⊙국내 면세점업계 동향 면세업계 큰손 된 내국인…매출비중, 6년만에 20% 회복내국인…20% 회복 중국 경기침체에 외국인 매출 감소 여파고환율·소비부진에 업황 불확실성 증폭 올해 1분기 기준으로 국내 면세점의 내국인 매출 비중이 6년 만에 20% 선을 회복했다. 코로나19 엔데믹(endemic·풍토병화된 감염병) 정착과 함께 여행 붐이 일면서 중국인 단체 관광객(유커)이 빠져나간 빈자리를 내국인이 조금이나마 메운 모양새다. 다만, 고환율과 중국 경기 침체에 따른 방한 관광객 감소 등으로 면세업계 업황 부진은 올해 내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1일 면세업계에 따르면 국내 면세점의 올해 1분기 매출액은 3조6천92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조1천94억원)과 비교해 18.8% 늘었다. 지난해 1분기 다이..

⊙리사이클 (Recycle)

⊙리사이클 (Recycle) 리사이클이란  「재순환」을 가리키며 제품화된 것을 재자원화하여 새로운 제품의 원료로서 이용하는 것이다. 자원 재생, 재자원화, 재생이용, 재생자원화 등이라고도 불린다.  리듀스(Reduce, 감량), 리유스(Reuse, 재사용)와 함께 3R로 불린다.  리사이클은 크게 소재 리사이클 (Material Recycle) : 소재로 재활용과 열 리사이클 (Thermal Recycle) : 열로서의 재활용으로 구분된다.  리사이클을 실시할 때의 과제로서 회수시의 불순물의 문제, 리사이클을 실시할 때에 걸리는 에너지의 문제, 리사이클에 따른 불순물의 농축의 문제 등을 들 수 있다. 빈 깡통중의 담배꽁초, 옛 종이중 래미네이트 등, 순도를 내리는 것이 회수물안에 들어와 끝 품질이 떨..

⊙대규모 타운형 외식업소

⊙대규모 타운형 외식업소 붐 http://month.foodbank.co.kr/etc/search_view.php?secIndex=4778&page=1§ion=&serial=&keyfield=all&key 주차 등 각종 편의시설 및 즐길 거리 다양해 인기 도심에서 살짝 벗어난 근교의 대형 부지에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룬 대규모 타운형 외식업소가 속속 생겨나고 있다. 고객에게 힐링을 키워드로 한 외식테마파크를 제공, 가족단위의 고객 유치가 가능한 것이 강점이다. 대형 부지에 여러 외식업소가 모여 공간을 ‘품앗이’하는 형태의 외식타운도 늘고 있는 추세다. 넓고 쾌적한 공간에서 다양한 먹거리와 놀 거리를 제공하는 외식타운 트렌드를 알아봤다. 먹거리·볼거리 함께 있는 외식타운 선호 고객 증가 지난 몇 년간 ‘소자..

⊙셀렉트숍(Select Shp)

⊙셀렉트숍(Select Shp) https://m.blog.naver.com/ •셀렉트숍(Select Shp)이나 패션멀티숍(Multi Shop)은 같은 종류의 다양한 상표의 제품을 한군데 모아 파는 매장이라는 사전적 뜻을 가지며, 한국패션협회에서는 ‘일정한 콘셉트에 맞춰 한 매장에서 다양한 브랜드나 다양한 품목의 디자이너 제품을 구성한 선진형 매장’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패션멀티숍은 유통업체가 직접 상품을 사입, 판매, 재고까지 책임지는 시스템으로 운영되어 지며, 가치 중심 소비를 지향하는 고객에게 원스톱쇼핑을 제공하는 매장 형태를 말한다. •국내 패션 마켓에서는 패션멀티숍(Multi shop), 콘셉트 스토어(Concept store), 셀렉트숍(Select shop), 편집매장(編輯賣場) 등의..

⊙업사이클(Upcycling) 새활용

⊙업사이클(Upcycling, 새활용)  1 개념 및 현황 □ (개념) 버려진 후 수거 또는 버려질 예정인 물건을 원재료로 아이디어·디자인 등을 더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  ※ 업사이클(Up-cycling)은 재활용(Re-cycling)과 업그레이드(Upgrade)의 합성어  ㅇ 단순 재활용(원형 그대로 재사용하거나 새로운 제품의 원료로 재이용)하는 차원을 넘어 디자인 등을 가미하여 새로운 가치를 부여 - 1994년 라이너 필츠(Reiner Pilz)가 신문사 인터뷰 과정에서 ‘낡고 오래된 제품에 더 나은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라는 개념으로 ‘업사이클링’을 언급한 것이 시초 ㅇ 업사이클링은 에너지 소비와 비용은 낮지만 자원의 가치는 높아진다는 점에서 기존의 리사이클링*과는 차별화되는 개념  *..

⊙MINTs / 유망 신흥시장 민트(MINTs)의 성장 잠재력 및 시사점

⊙MINTs / 유망 신흥시장 민트(MINTs)의 성장 잠재력 및 시사점 http://hri.co.kr/board/reportView.asp 201492483224 유망 신흥시장 민트(MINTs)의 성장 잠재력 및 시사점.pdf 민트(MINTs)는 멕시코(Mexico), 인도네시아(Indonesia), 나이지리아(Nigeria), 터키(Turkey) 등 유망 신흥시장으로 부상하는 4개국을 의미한다. 브릭스(BRICs) 4개국이 각 지역별 최대 규모의 신흥국이라면, 민트(MINTs) 4개국은 각 지역별로 두 번째 규모의 신흥국에 해당한다. 민트 4개국은 약 6.3억 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3.5%에서 2013년 4.4% 수준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최근..

⊙TIPS / 3국 태국.·인도네시아.·필리핀

⊙TIPS / 3국 태국.·인도네시아.·필리핀 - 태국·인도네시아·필리핀 - ▶TIPs 예상밖 선전 TIPs 국가 중 필리핀은 테이퍼링 ‘태풍의 눈’이다. 필리핀의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7.2%로 전년 6.8%를 능가했다. 이는 중국에 이어 아시아에서 두번째로 높은 성장률이다. 성장 기대감에 힘입어 필리핀 증시는 지난해 20.12% 하락에서 올해 1.22% 플러스 전환했다. 인도네시아 루피아화와 태국 바트화 가치는 지난해 버냉키 쇼크 이후 큰 폭으로 하락했지만 올들어서는 오히려 달러대비 강세를 보이면서 보합세를 이어가고 있다. 또 인도네시아 증시는 지난해 32.13% 폭락했으나 올들어 4.24% 반등했다. 인도네시아 경제성장률이 지난해 4분기 5.72%로 예상치를 웃돈 것이 높이 평가..

⊙BRICS / 브라질. 러시아·. 인디아. 중국

⊙BRICS / 브라질. 러시아·. 인디아. 중국 신흥 경제국 : 큰 잠재력이 있는 시장인 브라질·러시아·인디아·중국을 말함. 2003년 미국의 유명한 증권회사 골드먼삭스 그룹 보고서에서 처음 등장한 경제용어로서 브릭스는 브라질(Brazil), 러시아(Russia), 인도(India), 그리고 중국(China)의 영어 머리글자에서 따온 말이다. 이들 네 나라의 공통점은 국토·인구 규모로 보아 대국이며 근년에 눈부시게 경제성장을 이룩했고, 지하 천연자원도 풍부하여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등 이른바 브릭스(BRICs) 신흥시장에서 토요타자동차가 현대·기아자동차를 맹추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판매량에선 아직까지 현대·기아차가 앞서 있지만 올 들어 토요타차가 큰..

★모토로라 마이크로텍(MicroTAC) / 1989, 세계 최초의 플립폰

★모토로라 마이크로텍(MicroTAC) / 1989, 세계 최초의 플립폰 (uplus.co.kr) 이 제품은 국내에서도 판매가 된 제품이며 바(bar) 형태의 휴대전화 디자인을 벗어나 플립(flip) 구조를 한 최초의 플립폰입니다. 바로 모토로라 마이크로택(MicroTAC)인데요. 1989년 발매가 된 제품입니다. 마이크로택은 플립 구조를 사용했는데요. 이 플립 형태는 키 패드를 덮는 커버를 만들어 사용자가 원치 않는 키 오작동을 막기 위해 개발됐습니다. 그리고 마이크로택은 무게도 348g으로 줄었고 출시 당시 가격도 2,495달러로 많이 낮아졌습니다.

⊙서울권 백화점

⊙서울권 백화점   ■ 행복한 백화점 1999 - • 위치 :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동로 309 (목동 917-6)• 개점 : 1999년 12월 3일• 창업주 :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인 중소기업유통센터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인 중소기업유통센터에서 운영하는 백화점이라 중소기업 상품을 우선적으로 판매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현재 매장 구성을 보면 대기업 제품 절반, 중소기업 제품 절반인 느낌이다.   ■ 태평백화점 1992 - 2021 • 위치 :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대로 115 (구 사당동 136-1)• 개점 : 1992년 12월 4일 •  폐점 : 2021년 10월 31일 - 개업 이래 한번도 적자 난 적이 없는 서울에 남은 거의 유일한 지역백화점.- 건물 상층부에 위치한 스포츠센터가 이 백..

⊙미국의 파머스 마켓(Farmer's Market)

⊙미국의 파머스 마켓(Farmer's Market) (wikipedia.org) 미국의 파머스 마켓은 1930년대에 시작되었으며, 농부들이 직접 식품을 판매하기 위한 물리적 소매 시장이다. 소비자에게. 농민 시장은 실내 또는 실외에 있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농부들이 농산물, 살아있는 동식물, 때로는 준비된 음식과 음료를 판매하는 부스, 테이블 또는 스탠드로 구성된다. 주로 그 지역의 생산자농가가 복수로 모이고, 자신의 농장에서 만든 농산물을 추렴해,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스타일의시장이다. 본래라면 「생산자 스스로가 점포 앞으로 판매한다」라고 하는 형태를 가지고 파마즈마켓트라고 칭해져야 하는 것이지만, 단지 직매소에 지나지 않는 것인에 관련되지 않고, 파마즈마켓트와 이름을 붙이고 있는 경우도 보여진다..

⊙유럽의 단독주택 - 인건비 비싸 내 집은 내가 짓는다.

⊙유럽의 단독주택 - 인건비 비싸 내 집은 내가 짓는다. (countryhome.co.kr) 우리나라에서는 유럽식 주택 하면 대부분 스페니쉬 기와를 얹고 특이한 모양이들어간 도장재를 활용한 중후한 멋이 물씬 풍기는 것을 떠올린다. 흔히 말하는 '지중해식스타일'', 유럽식스타일'로지은전원주택을보면규모도상당하거니와 긴 포치를 달아 외형미를 강조한 주택이 다수를 이룬다. 과연 그럴까. 사실은 과장된 측면이 강하다. 실제 유럽 주택은 블록을 쌓아 골조를 구성한 후 스터코나 드라이비트로 마감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단순히 수성 페인트만을 칠해 마감한 곳도 많다. 일부 고급주택을 제외하고는 실용성을 강조한 주택이 다수를 이룬다. ◇합벽 주택이 다수… 디자인과 색으로 구분유럽 주택가를 둘러보면 합벽(벽과 벽을 맞대 짓는..

⊙SPA 브랜드 점포 현황 (2015년)

⊙SPA 브랜드 현황 잘나가던 SPA에 무슨 일이 http://news.mk.co.kr/newsRead.php?no=302543&year=2016 한국시장 철수·사업전략수정 잇달아… 대형마트·온라인 저가패션에 직격탄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승승장구하던 SPA(생산 유통 일괄형) 브랜드에 급브레이크가 걸렸다. 업계에 따르면 2014년 국내에 진출한 캐나다의 SPA 브랜드 조프레시가 지난 3월 말 코엑스점 문을 닫으면서 국내에서 완전히 사업을 접었다. 재미동포 부부가 창업해 전 세계 500여 개 매장을 둔 미국의 포에버21도 가로수길 대형 매장 자리를 넘겨주며 온라인 위주로 사업을 재편했다. 스페인의 망고 역시 수십 개에 달하던 매장을 7개까지 줄이며 위태로운 모습이다. 기본 아이템 위주의 유니클로와 스파오(..

⊙바(BAR)

⊙바(BAR) 문화의 새로운 트렌드 미국 레스토랑에서 레스토랑 자체 매출 못지않게 바(BAR)가 차지하는 기여도는 대단하다. 일반적으로 레스토랑의 심벌로 여기는 바의 구조는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는 마스코트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미국에서는 대부분의 레스토랑 안에 공존하고 있으며, 없으면 허전한 기능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음식과 서비스는 물론 분위기를 반영하는 미국의 레스토랑 평가에서는 바의 독특한 인테리어 여부에 따라 전체적인 점수에 영향을 줄 때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바 문화에 익숙지 않은 한국에서는 흔히 한국과 서양의 문화 차이를 빗대어 ‘서양인들은 개인주의 성향이 강해서 바에 혼자 앉아서도 아무렇지 않게 식사를 한다’고 말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미국의 바 문화는 오랫동안 그들 나름대로의 독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