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758

⊙공감능력이 뛰어난 사람을 뽑아라

⊙공감능력이 뛰어난 사람을 뽑아라 http://1234way.com/past_vitamin_read.asp?seq=6151&crm=d 조직이나 인간관계에서 공감능력이 아주 중요하죠. 헛 똑똑이는 대체로 공감능력이 부족할때 나타납니다. 똑똑한 조직에는 3가지 특징이 있다는데 동아일보 2015.1.20.보도된 내용을 보면 스티브 잡스나 빌 게이츠 같은 천재 1명이 세상을 바꿔놓곤 한다. 하지만 그런 똑똑한 사람들만 모아놓은 팀에서 형편없는 결정을 내리거나 한심한 실적을 보이는 경우도 적지 않다. 개인이 아닌, 팀을 똑똑하게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매사추세츠공대(MIT)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센터의 토머스 멀론 소장 등 3명의 연구자는 18일 뉴욕타임스(NYT)에 이와 관련..

⊙"경력 없지만 실력 있다" 교향악단에 먼저 편지했죠

⊙"경력 없지만 실력 있다" 교향악단에 먼저 편지했죠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1/22/2015012200198.html [名門 베를린 방송교향악단 최연소 수석 바순 주자 유성권] "한국인 주자 있는 것 알리고싶어 문 열리면 제일 먼저 무대 나가" 오는 3월 유럽 명문 오케스트라인 베를린 방송교향악단 내한 공연 때는 십중팔구 안경을 낀 동양인이 가장 먼저 무대로 달려나올 것이다. 이 교향악단 최연소 수석주자인 유성권(27·바순)이다. "공연 때마다 관악주자들이 가장 먼저 입장하는데요. 문이 열리면 누구보다 앞서 무대로 뛰어나갑니다. 한국인 주자가 있다는 걸 알리고 싶기도 하고, 관객들의 주목을 받는 게 즐거워요." 이 야심만만한 청년은 스물둘이..

⊙인문계열 장점 살릴 '융합직업'에 도전하세요

⊙인문계열 장점 살릴 '융합직업'에 도전하세요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G11&newsid=02863446612649904&DCD=A00701&OutLnkChk=Y 직업선택 돕는 '인문계열 진출직업' 발간 #박영미 씨는 산업보안요원이다. 기업의 산업보안팀에서 일하는 박 씨는 회사의 중요한 자료가 유출되지 않도록 관리한다. 이를 위해 국내 본사와 중국법인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은 과정에서 보안상 문제가 있는지 모니터링한다. 중국어 통번역이라는 인문학 소양에 보안지식을 합쳐 자신만의 길을 개척한 것이다. 박 씨는 “외국을 대상으로 한 산업보안의 중요성과 역할은 더욱 커질 것”이라며 “언어 전공을 하고 있거나 외국어 능력이 있다면 이 직업을 고민해보라”..

⊙한국경제 구조변화와 고용창출

⊙한국경제 구조변화와 고용창출 http://www.kdi.re.kr/research/subjects_view.jsp?pub_no=8971 한국경제 구조변화와 고용창출.pdf 제1장 서론 한국경제가 성숙단계에 진입함에 따라 고용창출능력이 저하되고 고용구조도 급변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외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조업과 농업부문의 일자리는 줄어든 반면 서비스업 부문의 일자리는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일자리 증가의 상당 부분이 저생산 업종에서 불완전고용의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경기변동충격의 취약성이 증가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문제는 비단 한국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OECD국가에서도 1970년대 오일쇼크(oil shock)이후 경기침체에 직면하였고, 그에 따라 약 15년 동안 고용이 증가..

⊙저녁이 있는 삶 위해 7시반에 불 끄는 회사

⊙저녁이 있는 삶 위해 7시반에 불 끄는 회사 http://premium.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1/29/2016112901349.html?pmletter '한국에서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 1위의 영광은 지난 해 유한킴벌리의 것이었다. 자유로운 기업문화와 수평적인 조직문화, 그리고 '저녁이 있는 삶'을 제공하는 유한킴벌리의 안쪽을 탐방해봤다. 시간·공간 제약 없앤 유한킴벌리 오전 7시에 출근해 오후 4시 퇴근, 오전 10시에 출근해 오후 7시 퇴근. 출퇴근 시간도 자유롭지만 일하는 공간도 자유롭다. 카페 같은 라운지에서 일하거나 도서관 같은 책상에서 일하거나. 20대 젊은 사원과 50대 임원이 서로 직함 대신 이름을 부르며 자유롭게 일한다. 1970년생. 사람으..

한국경제, 얼마나 일본을 따라잡았나.

한국경제, 얼마나 일본을 따라잡았나. http://hri.co.kr/board/reportView.asp?numIdx=27889&firstDepth=1&secondDepth=1 한국경제, 얼마나 일본을 따라잡았나 170324.pdf 1990년대 중반 이후 한국경제가 일본을 빠르게 추격하면서 양국 간 격차도 크게 축소되었지만, 최근 들어 양국 간 격차가 재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세계 GDP 대비 비중은 1980년에 한국이 0.6%, 일본이 9.8%로 양국 간 격차는 9.2%p였으나, 2016년에는 동 각각 1.9%, 6.3%로 4.4%p로 축소되었다. 1인당 GDP도 1995년에는 3만 달러 이상 차이가 있었으나, 2016년에는 1만 달러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낮아졌다. 하지만, 한국이 최근 6년..

⊙나만의 색깔로 칠해보자, 色 다른 집

⊙나만의 색깔로 칠해보자, 色 다른 집 http://premium.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4/18/2017041802002.html?pmletter - 컬러풀 리빙 - 똑같은 가구, 똑같은 구조…획일적인 집은 잊자. 시끄럽고 제멋대로지만 인간미 넘치는 나만의 집을 소개합니다. 알록달록, 생기발랄… 회색빛 삶에 ‘컬러풀 라이프’ 2017 밀라노 가구 박람회서 주목받은 나만의 집 꾸미기 ①호텔 콘셉트로 연출한 ‘모이(Moooi)’ 부스. ②아르페르(ARPER)의 파스텔톤 소파. ③가죽에 포근한 느낌의 패브릭을 매치한 모로소(moroso) 의자./ 모이·아르페르·모로소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이 일자리를 위협한다. 경제는 한 치 앞도 예측하기 힘들만큼 불확실하다. 그 ..

⊙일본 편의점 매출이 130조

⊙일본 편의점 매출이 130조 - 일본 도쿄를 주목하자!- 일본 특히 도쿄와 같이 지가가 비싸고 자가용 접근성이 제한돼 있는 도심에서 대형마트를 찾기가 어렵다. 대신 소규모 편의점이 다양하게 분산돼 있어 대형마트 수요층의 필요에 부합하고 있다. 편의점 내 손님을 보면 도시락 문화를 즐기는 정서 덕분인지 ‘벤토 수요’가 가장 많은데, 엄격한 예의범절을 요구하는 일본인들의 숨막히는 직장생활이 점심시간에 도시락을 찾게 만드는 요인이라는 분석도 있다. 박종현 일본 호세이(法政)대 경제학부 교수는 “일본의 회사 분위기는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딱딱한 편”이라며 “점심시간만이라도 혼자만의 공간과 시간 속에서 긴장을 풀고 싶어하는 샐러리맨들이 도시락 시장의 주 소비층”이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일본 편의점 시장 40%..

⊙박정희가 다녀간 맛집들

⊙박정희가 다녀간 맛집들 (gnewsdaily.net) 소문난 맛집들이 있다. 진짜 맛집들은 플래카드를 펄럭이고 TV에 방영된 장면이나 신문기사 스크랩을 걸어놓는 흔한 집들이 아니다. 요란을 떨지 않아도 맛 밝힘 이들이 귀신같이 찾아내는 집들이 있다. 오로지 맛으로 인생 승부를 건 ‘맛의 달인(達人)’이 있고 그를 추종하는 맛 손님들이 있어 세상천지 불황에도 끄떡없는 음식 명가(名家)들이다. 어떤 어떤 유명인사들이 오고, 지방 유지들과 정부의 고관들, 그리고 아무개 대통령이 다녀갔다는 것을 다 알고 있는, 어찌 보면 맛손님들은 끼리끼리 한 통속이다. 그러나 VIP들이 온다고 해서 고래등 같은 집에 화려한 치장으로 사람 주눅들게 만들고 흠잡을 데 없이 뺀질 뺀질한 매너 뒤에 바가지를 씌워 뱃속 메슥거리게 ..

⊙퍼스널 모빌리티

⊙퍼스널 모빌리티 ○퍼스널 모빌리티 - 이동수단도 개인화 시대 http://www.lgeri.com/industry/electronic/article.asp?grouping=01030200&seq=575 세그웨이의 모방 제품을 만들어서 특허 침해 이슈에 휘말리던 중국의 나인봇이 올 4월 세그웨이를 인수하면서, 1인용 이동 수단, 즉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인간의 신체를 확장해주는 일종의 외골격(Exo-Skeleton)과 같은 퍼스널 모빌리티는 컨트롤러와 배터리, 소재 기술의 발전과 함께 실용성이 높아졌다. 르노, 혼다, 토요타, GM 등 자동차 기업, 보쉬, 만도 등 부품 기업에 이어 다폰 등 전자 업체도 퍼스널 모빌리티 제품을 내놓고 있다. 레저 수단을 넘어선 실용적 관점에서의 퍼..

⊙셰프의 칼과 도마

⊙셰프의 칼과 도마(designhouse.co.kr) 요리의 기본은 썰기이며, 이는 곧 칼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칼과 단짝인 것을 꼽자면 도마다.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은 요리에서도 예외일 수 없다. 요리를 시작하는 주인공과 무대, 주방을 진두지휘하는 셰프는 어떤 칼과 도마를 쓸까. 칼은 음식을 조리하는 수단으로 가장 기본적 도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경란의 소설 에서 주인공인 셰프는 “당신이 요리사로서 꼭 갖춰야 할 단 한 가지가 있다면 그건 바로 잘 드는 조리사용 칼이다. 요리를 하고 싶다는 열정보다 중요한게 칼이다”라고 말하는데, 그만큼 셰프에게 칼이란 기본기를 의미하며, 요리의 대가일수록 칼을 제대로 쓸 줄 알고 소중히 다뤄야 한다는 뜻일 터.  성석제도 푸드 에세이집 에서 “칼과 황홀 사이..

일본경제의 10대 문제점과 시사점

일본경제의 10대 문제점과 시사점 http://hri.co.kr/board/reportView.asp Ⅰ. 문제 제기 현재 우리 나라는 고령화, 소득격차 확대, 에너지, 환경 문제 등 일본이 직면한 경제ㆍ사회 문제와 유사한 문제들에 직면하고 있음 - 현재 우리 나라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전체 인구의 8.7%로 2026년에 20%에 달해 고령사회로 진입함 - 소득격차 또한 매년 확대되어 하위 10% 소득 대비 상위 10%의 소득 비율은 2002년 8.25배에서 2004년 9.07배로 확대되고 있음 - 우리 나라는 세계 10위권의 에너지 소비국인 반면, 전체 에너지 비중의 97.3%(2001년)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교토의정서 발효에 의해 환경문제가 경제문제로 귀착되었으나, 이에 대한 대비책이 미..

⊙국내 자동차 공장 크기 비교

⊙국내 자동차 공장 크기 비교 https://www.motorgraph.com/news/articleView.html?idxno=2389 우선 국내 자동차 공장들 중 어느 곳에서 어떤차를 만들고 있는지, 브랜드별 핵심 공장을 뽑아 그 크기를 비교했다. ■ 현대차 울산공장 •현대차 울산공장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자동차 공장이다. 여의도 면적의 1.5배, 축구장 670개에 달하는 크기다. 독립적인 생산이 가능한 5개의 완성차 공장과 엔진 및 변속기 공장이 속해있다. 3.2km의 주행시험장과 도로주행 및 충돌 시험장도 보유하고 있다. 또 이곳에서 생산되는 차량은 200여개 국가로 수출되는데 5만 톤급 선박 3척이 동시에 접안할 수 있는 전용 수출부두도 갖고 포함됐다. •현대차는 가장 역사가 깊고 규모가 큰 ..

⊙영국 편의점 시장 동향

⊙영국 편의점 시장 동향 http://www.globalwindow.org/gw/ 1. 시장 개요 영국의 편의점 판매는 이제 주요한 소매판매의 한 방법으로 자리잡았다. 영국의 시장 조사기관인 Keynote의 예측에 의하면 2000년도에는 영국 전역에 걸친 4만3,592개의 편의점으로부터 171억3천만파운드의 매출을 기록했다. 편의점이란 300~5,000평방피트의 매장 규모를 가지고, 식료품, 과자, 담배, 신문 등을 휴일없이 판매하는 상대적으로 소규모의 소매업자들을 의미한다. 이들은 주로 오전 8시부터 오후 11시까지, 또는 24시간 영업하며, 소비자들의 거주지역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어 고객이 일상 필요용품을 손쉽게 구입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영국에서는 일요영업법(Sunday Trading Act)..

⊙미국의 식품업체(QSR 50 RANK)

⊙미국의 식품업체(QSR 50 RANK) https://www.qsrmagazine.com/reports/qsr50-2012-top-50-chart?utm_campaign=20120731&utm_source=jolt&utm_medium=email 01. McDonald’s 02. Subway* 03. Starbucks*1 04. Wendy’s* 05. Burger King* 06. Taco Bell 07. Dunkin’ Donuts 08. Pizza Hut 09. KFC 10. Chick-fil-A 11. Sonic Drive-In 12. Domino’s Pizza* 13. Panera Bread 14. Arby’s 15. Jack in the Box 16. Dairy Queen* 17. Chipotle..

⊙독일의 슈퍼마켓

⊙독일의 슈퍼마켓 real 식품으로부터 생활 잡화, 의료품, 가전제품까지 폭넓게 갖추어지는 대형 종합 슈퍼 ALDI 독일인에도 대인기의 디스카운트 슈퍼 LiDL 듀셀돌프 시내에 수많은 지점을 가지는 디스카운트 슈퍼 Netto 듀셀돌프 시내에 수많은 지점을 가지는 디스카운트 슈퍼 Rewe 점내의 레이아웃이나 상품의 셀렉트가 보기 쉽고, 안심하고 쇼핑을 할 수 있는 점포 Kaisers 「황제」라고 이름이 붙는 슈퍼, 가격대는 극히 보통. EDEKA 데파 지하와 슈퍼, 약간 고급 식재도 취급하고 있음 Penny Markt 독일에 수많은 지점을 가지는 디스카운트 슈퍼 ⊙독일의 슈퍼마켓 http://blog.naver.com/lawzi_blue/220699491465

⊙마케터와 소비자 트렌드

2017년 마케터와 소비자 트렌드(US Omnichannel Retail StatPack 2017 : Marketer and Consumer Trends) eMarketer_US_Omnichannel_Retail_StatPack_170830(d).pdf 옴니채널(Omnichannel)은 기업 도는 브랜드가 보유한 모든 고객과의 접점. 온라인, 오프라인, 방송, 출판물 등을 통해 고객에게 끊김없는(Seamless) 쇼핑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모든 고객과의 접점(Touchpoint)가 유기적으로 일관성을 가지고 운영되며, 고객은 언제 어디서나 상시 연결된 환경에서 익숙한 쇼핑 경험 내에서 상품을 구매하도록 지원하는 최신 트렌드 입니다. 1.서론 - 디지털 채널은 오프라인 매장 내 판매에 큰 영향을..

⊙일본의 중고·리사이클 28사

⊙일본의 중고·리사이클 28사 http://www.hci.co.jp/link.htm 업 차고(중고 카 용품) 위고(헌 옷) 보물 감정관 킨불 고르파즈마트 고르픽스 골프 ·두! 골프 파트너 골프 랜드 쌀병 사이클 플라자 비치는 비치는(중고 자전거) 선셋 회사(북 킹·북 카페) 탁크루베리(중고 낚시 도구) 낚시도구 랜드 테이크 오프(중고 OA) 테이트(헌책 시장) 텐포스바스타즈(음식점을 위한 점포 설비 등) 도쿄산희(장롱가게;중고 기모노) 인이 떡집(중고 기모노) 누마니우 코퍼레이션 부활 서점(에이 비즈 코퍼레이션) 하드·오프(중고 가전) 픽업 북 오프 북 센터 이토우 만화 창고 오구라 본점 만 투성이 레코판

⊙회원제도매형할인점 (MWC : Membership Wholesale Club)

⊙회원제도매형할인점(MWC : Membership Wholesale Club) - 연회비를 내는 회원들에게 저렴한 가격에 상품을 판매하는 창고형 대형마트.- 웨어 하우스 클럽(Warehouse club) 또는 도매 클럽(Warehouse club)으로도 불리운다.  〈MWC의 특징〉 @대형창고형(Warehouse) 운영 / 초기투자비 절감- 매장 면적 3,000평 이상의 초대형점 중심- 건축공사와 실내 장식을 최소화 @노 프릴 형식(No-frills format) / 운영비(인건비 및 물류비) 절감- 지게차로 상품을 운반해 매장 내 팔레트에 진열판매 @자사상품(Private Brand) 중심 / 독점판매 @대량 묶음판매(Bundle) / 구매 객단가 증대- 박스 또는 묶음판매 @회원제 연회비(Annual..

⊙편의점의 '생활밀착 서비스'

⊙지역 커뮤니티로서 편의점 역할 (retailing.co.kr) 편의점의 새로운 과제, 지역사회에 대한 사회적 책임 편의점은 소매업 중에서도 가장 작은 상권에서 고밀도로 전개되는 업태다. 일상생활에 필요한 상품뿐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지역의 인프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업태 특성을 바탕으로 편의점 업계는 어떻게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인지 고민할 시점이다. 편의점 업계는 지금까지 다점포화를 진행하며 인프라를 혁신하고 고객들에게 보다 좋은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현재 편의점 업계의 눈부신 성장은 그러한 노력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이제 편의점이 보유한 인프라나 상품, 서비스를 통해 양적 성장에만 몰두하지 말고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에도 나서야 할 시점이다. 편의점은 지역 상권을..

⊙하이퍼마켓(hypermarket)

⊙하이퍼마켓(hypermarket) 하이퍼 마켓은 슈퍼마켓·대형 할인점·백화점의 형태가 결합된 대규모 소매 점포이다. 기존의 슈퍼마켓에서 취급하는 식료품·일용잡화에서부터 의류·자동차용품·전자제품·가구 등도 취급하는 대형 점포이다. Hypermarket (프랑스어 : Hypermarché)이라는 용어는 1968년 프랑스 무역 전문가 Jacques Pictet에 의해 만들어졌다. 하이퍼마켓은 슈퍼센터(supercenter), 슈퍼스토어(superstore) 등으로도 불리우며 대한민국에서는 “대형마트”로 칭한다. 일반적으로 대량의 저가 판매(high-volume, low-margin sales)에 중점을 둔 비즈니스 모델로 5,000 ~ 15,000평방 미터의 영업면적을 필요로 하며 20만개 이상의 품목(SK..

⊙영국의 수퍼마켓

⊙영국의 슈퍼마켓 (uk-edu.co.kr) 다양한 영국의 슈퍼마켓 브랜드. Waitrose, M&S, Harvey Nicols, Selfridge, Sainsbury’s, Tesco 영국의 슈퍼마켓은 마켓의 브랜드 별 컨셉이 명확히 다르다. 미국의 경우는 워낙 땅이 넓다 보니 차를 끌고 큰 슈퍼마켓을 가서 대량으로 쇼핑하는 문화가 발달되었다고 하다면, 영국은 집도 그리 넓지 못하고 주방 등에 음식을 창고에 쌓아둘 공간도 부족하기에 그때 그때 집 가까운 곳에서 필요한 만큼 쇼핑 하는 생활 패턴 위주라 영국 동네 슈퍼마켓들은 고기, 야채 등 소량포장이 많은 편이다. 영국 슈퍼마켓 브랜드의 브랜드 포지셔닝 가이드 ■ TESCO 영국 시장 점유율 1위! ■ Sainsbury’s 영국의 저렴이 동네 슈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