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758

★모나미 153(Monami) 탄생의 비화

★모나미 153(Monami) 탄생의 비화 볼펜의 대명사로 알려진 모나미 153볼펜은 1963년 5월 1일에 탄생했다. 볼펜을 생산할 수 있는 공장도 기술도 없었던 상태에서 도산의 위기에서 송삼석 회장이 기도하면서 직접 붙인 것이다. 회사가 가장 어려웠을 때 제조업체 사장이 기도원에 올라가서 기도를 했다. 기도하면서 생각해보니 그간 사업을 하면서 하나님 앞에 범죄 한게 너무 많더라는 것이다. 첫째, 주일성수를 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래서 그는 철저히 회개했다. “이제부터 주일 성수하겠습니다.” 둘째, 돈을 많이 벌고도 십일조를 안했다. 그래서 그는 “하나님의 것을 떼어 먹었습니다. 이제부터 십일조를 하겠습니다.” 셋째, 새벽기도하지 않은 것을 회개했다. “내가 새벽마다 주님 앞에 기도하지 않았습니다. 기..

⊙장인 정신, 희소성의 뉴 럭셔리 부상

⊙장인 정신, 희소성의 뉴 럭셔리 부상 http://www.apparelnews.co.kr/2011/inews.php?table=internet_news&query=view&uid=63047 1세대 명품 지고 신흥 명품이 뜬다 “VIP 고객들로부터 오프라인 매장을 더 내지 말아달라는 주문을 받았다. 심지어 브랜드가 잘 알려지지 않도록 홍보도 소극적으로 하라는 요구까지 있다”. 스페인 명품 ‘마혼’을 전개중인 마혼코리아의 이정화 대표는 매출이 전년대비 4배 이상 뛰어올랐지만 신규 출점에 대해 보수적인 이유를 이같이 털어놨다. ◇명품의 세대교체가 시작된 것 일까. 유명 명품들이 무리한 확장으로 희소성을 잃으면서 스몰 럭셔리를 찾아 나선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나만의 명품을 소유하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유통이..

⊙한국의 반찬(飯饌)

⊙한국의 반찬(飯饌) https://ko.wikipedia.org/ 반찬은 한국 요리에서 밥과 함께 먹는 음식이다. 반찬은 주로 종발 정도 크기가 되는 그릇이나 접시에 담아 낸다. 가장 대표적인 반찬으로는 김치가 있다. 밥과 국은 개인당 한 그릇씩 놓고 먹는 데 비하여, 반찬은 주로 식탁 중앙에 늘어놓고 다른 사람들과 함께 먹는다. 하지만 사람들이 위생에 대해 민감해지고 생활 양식이 변해감에 따라 따로 덜어 먹을 수 있도록 개인 접시(앞접시)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이 늘었다. 〈반찬의 종류〉 *김치류 : 배추김치, 물김치, 나박김치, 동치미, 겉절이, 깍두기, 오이소박이, 총각김치, 열무김치, 파김치, 갓김치고구마줄기김치 등 *나물(무침) : 채소나 말린 생선, 해초 따위에 갖은 양념을 하여 국물 없이 무..

⊙미국의 델리카테센(Delicatessen)

⊙미국의 델리카테센(Delicatessen) 발상지는 미국. 가공육· 프라이· 샐러드· 샌드위치 등을 파는 점포로 라틴어의 데리카트스(delicatus)에서 유래하며 독일어로 「맛있는 것」을 의미하는 데리카텟세(Delikatesse)의 복수형으로 약칭 델리(Deli)라고 한다. 델리카테센에서 취급하는 식품은 햄, 소세지, 치즈, 빵, 올리브, 사라다 등으로 주로, 정량으로 판매하는 것이 많으며, 백화점이나 슈퍼마켓 내의 델리코너인 경우와 독립한 델리상점인 경우로 나눌 수 있다. 미국에서 독립델리 점포는 소프트 드링크, 저 알코올 음료(맥주 등), 생활 잡화등도 취급하고 있어 편의점의 역할도 과연 있다. 주문 즉시 샌드위치를 만들어 주는 점포가 많아, 점포 내에 주방을 마련하고 패스트푸드점 또는 캐쥬얼 레..

⊙일본의 소자이(惣菜)

⊙일본의 소자이(惣菜) 소우자이(惣菜)란 주식과 함께 먹는 여러가지 요리, 즉 부식, 반찬, 나물이라고도함 일본에서는, 쌀밥을 중심으로 하는 주식을 부식과 구별하는 생각하는 전통이 있어, 주식과 부식의 개념이 없는 지역에서는 요리에 상당하는 일상적인 요리를 가리킨다. 총채(소자이)는 그 대부분으로 가정요리(어머니의 맛)로 여겨지는 요리군으로, 그 각각이 독립한 것으로서 다루어져 식탁에 있어서는 개별의 식기에 담을 수 있다. 특히 주식과 함께 배달시키는 것이지만, 주식 단품에서는 따분한 곳에 흥취를 더함과 동시에,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보면 주식만으로는 얻을 수 없는 영양을 보조하는 기능도 있다. 예로부터 국 한 그릇, 나물이나 변변치 못한 식사 라는 말이 있지만, 밸런스를 잡힌 식사가 중요하다. 이것들에서..

★박카스(Bacchus•D) 1961 / 60년 사랑받는 메가히트 상품

★박카스(Bacchus•D) 1961 (dapharm.com) •에너지 드링크 •동아제약의 대표상품이자 설립 초기 상품 •1961년 출시, 현재까지 판매 동아제약 박카스, 60년 사랑받는 메가히트 상품 (asiaa.co.kr) 자양강장제 시장서 60년간 독보적인 위치에 있었던 박카스, '2022년 제 24차 한국산업 브랜드파워' 조사에서도 이 분야 1위를 기록할만큼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2021년까지 팔린 박카스 누적 판매량은 221억병을 넘어섰다. 12cm인 박카스 병을 더하면 지구를 66바퀴 휘감을 수 있는 양으로 120년이 넘는 국내 제약산업 단일 브랜드로는 유일무이한 기록이다. 우리가 아는 박카스의 시작은 196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동아제약은 1961년 오랜 식민 지배와 한국전쟁 이후 ..

〔미래직업〕첨단기술 개발로 ‘취업절벽’…미래형 직업에 주목해야

〔미래직업〕첨단기술 개발로 ‘취업절벽’…미래형 직업에 주목해야 http://www.r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6023 〈인터뷰 - 도서출판 일상이상 김종필 대표〉 인공지능 개발과 관련기술의 발달로 인간이 일자리를 빼앗기는 ‘취업절벽’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그렇기에 한 발 앞서 유망직업을 찾아 미래 행복을 설계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100세 장수시대를 맞아 안정된 생활을 준비할 일자리 찾는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4차산업혁명 관련 글을 쓰고, 책을 펴내고 있는 도서출판 일상이상 김종필 대표를 만났다. 50~70년 일해야 하는 장수시대 첨단기술 변화 동태 잘 파악하고 평생 3~4가지 직업 가져야 생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 개발로 취업절벽시..

〔미래직업〕밝은 내일의 키워드, "신직업 총서로 보세요"

〔미래직업〕밝은 내일의 키워드, "신직업 총서로 보세요" http://www.etnews.com/20180125000097 〈서울신직업인재센터〉 http://sbasncc.tistory.com/270 서울시 산하 중소기업지원기관 서울산업진흥원(대표이사 주형철, 이하 SBA)이 2017년 한 해 동안 심혈을 기울인 '신직업 육성'에 대한 결과와 전망을 다섯 권의 책으로 펴냈다. 사진=서울산업진흥원 제공 25일 SBA 측은 온·오프라인 서점을 통해 '미래를 여는 새로운 직업-2017 SBA 미래 신직업 총서'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 책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변화에 주목하며, 신직업 발굴·육성에 주력해 온 SBA 노력을 집대성한 작품이자, 기업·교육기관·대중에게 유망 신직업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있..

⊙대형마트 및 SSM의 지역경제 기여도 분석

⊙대형마트 및 SSM의 지역경제 기여도 분석 - 청주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청주시 소재 대형마트 6곳과 SSM 1곳을 대상으로 한 지역경제 기여도 분석 결과, 우선 지역인력의 고용창출 효과를 살펴보면, 사례분석 점포 7곳의 전체 종업원 중 지역 고용인력은 대형마트 경우 점포당 평균 127명 중 89.8%인 114명, SSM은 평균 50명 중 64.0%인 32명으로 파악되었다. 이로써 지역인력의 고용은 비교적 높은 비율로 채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고용창출효과의 지역경제 기여도는 전체 고용인력중 지역고용 비율로 파악해 볼 때 대형마트는 89.8%, SSM의 경우 64.0%로 볼 수 있으나 대부분 매장의 현장직, 즉 시간제, 계약제 등 비정규직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 수치 그대로 인정하기에는 무리가 있..

⊙그로서리 스토어(grocery store)

⊙그로서리 스토어(grocery store) - ‘그로서리 스토어(grocery store)’는 최근 쇼핑 트렌드를 언급할 때 부쩍 인용되는 단어다. - 유럽에서는 농수산물 등 식료품과 공산품, 생활잡화 등을 파는 소매점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슈퍼마켓 정도 되겠다. 동네 고유의 정서를 품고 있지만, 그때그때 필요한 재료를 구입해 요리하고 불필요한 물건을 쟁여두지 않는 서양인들에게 그로서리 스토어는 지척에서 소량의 생필품을 살 수 있는 일상의 공간에 가깝다. - 그러나 국내에 자리 잡은 그로서리 스토어는 외국 여행 중 봤던 ‘원조’ 그로서리 스토어나 대형마트, 편의점 등에 밀려 사라진 우리의 동네 슈퍼와는 다른 모양새다. 테트리스처럼 쌓아두고 물건을 판매하는 만물상보다는 편집숍과 카페를 섞어놓은 듯한 느..

⊙대구 웨딩문화 변천사

⊙대구 웨딩문화 변천사 (yeongnam.com) 그때는 예식장이 공간만 대여하고 먹고사는 업종이었다. 예식장 잡기가 하늘의 별따기였다. 예식장을 사용하려고 하면 웨딩드레스와 사진 등을 좋건 싫건 패키지로 구입해야만 했다. 식당은 별도로 계약했다. 요즘처럼 웨딩홀 안에 식당이 없었다. 길을 건너 신랑과 신부측 전용 식당으로 가야 했다. 사회자의 큰 임무 중 하나는 식당 안내 방송을 제대로 하는 것이었다. 당시 메뉴는 갈비탕·비빔밥·불고기덮밥 일색이었다. 예식장 허가도 까다로웠다. 한 구에 한 개 정도만 허가됐다. 그래서 예식장 사장은 돈을 벌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92년 법이 개정돼 예식장업이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바뀐다. 예식장 춘추전국시대가 개막된다. 새로운 감각의 예식장이 도래한다. 대구 명성예식장..

⊙스칸디나비아 리빙숍 (Scandinavian Living Shop)

⊙스칸디나비아 리빙숍 (Scandinavian Living Shop) http://www.casa.co.kr/brand/media/view.do?articleNo=5253&schCd=0104030000 북유럽의 조명, 가구, 오브제, 라이프스타일 제품을 선보이는 21곳의 리빙 숍을 선보인다. 스칸디나비안 생활용품의 보고 @노르딕파크 이딸라, 아아리까, 아라비아 핀란드, 구스타프스베리, 로스트란드, 펜틱 등 간결하면서 강렬한 디자인과 실용성을 겸비한 북유럽 생활용품을 판매한다. 분기별로 다양한 신제품이 소개되어 감상하는 즐거움을 더한다. 모두 김사원 대표가 직접 북유럽을 돌면서 셀렉트한 아이템들. 최근에는 아라비아 핀란드, 로스트란드, 로얄코펜하겐 등의 빈티지 제품을 엄선해 선보이며 더욱 눈길을 끌고 있다..

⊙북한의 통일방안의 변천

⊙북한의 통일방안의 변천 http://nkinfo.unikorea.go.kr/nkp/overview/nkOverview.do?sumryMenuId=MENU_76 담당부서 : 통일부 정세분석총괄과(02)2100-5865 ◇북한 통일방안의 변천 북한은 한반도 공산화 통일을 목표로 연방 제안을 통일방안으로 제시하면서 시대적 조건과 환경에 따라 그 특징을 변화해왔다. 북한은 1960년 처음 연방제 통일 방안을 제기하기에 앞서 ‘하나의 조선’ 논리에 입각한 ‘민주기지론’에 의한 무력·적화 통일을 내세웠다. 민주기지론은 1960년 4.19 혁명 이후에 ‘남조선혁명론’으로 발전되었고, 이 시기 북한은 과도적 조치로서 ‘남북연방제’를 제기했다. 이후 남조선혁명론과 ‘연방제 통일방안’은 1973년의 ‘고려연방제’를 거쳐..

⊙북한의 행정구역

⊙북한의 행정구역 http://nkinfo.unikorea.go.kr/nkp/overview/nkOverview.do?sumryMenuId=SO302 담당부서 : 통일부 경제사회분석과(02)2100-5888 북한의 행정구역은 1945년 해방 당시 6도, 9시, 89군, 810읍·면이었으나, 1952년 12월 행정체계와 행정구역 개편을 통해 도(특별시), 시·군(구), 읍·면, 리(동)의 4단계 행정구역 체계 중 면을 폐지하여 도(직할시), 시(구역)·군, 읍·리(동·노동자구)의 3단계 행정구역체계로 개편하고 군 지역을 재분할하였다. 1946년 9월 평양시를 평안남도에서 분리하여 특별시로 승격시켰다가 1952년 12월에는 직할시로 개편하는 등 60여 차례에 걸쳐 행정구역을 개편하였다. 현재는 1직할시, 2..

⊙일본판 퓨처스토어 실증실험 2006년

⊙일본판 퓨처스토어 실증실험 RFID-전자결제 연동 세계최초 고속POS 운용 http://blog.daum.net/hapoem/5878624 (주)패밀리마트, 이토추상사(주), 도시바테크(주) 3사가 올 1월부터 경제산업성과 공동으로 ‘일본판 퓨처스토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EXPRESS POS’에 관한 실증실험을 실시하였다. 이것은 편의점에서 RF태그가 부착된 상품의 금전등록기 정산과 전자머니를 조합하여 순식간에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세계 최초의 시도로 매우 기대가 큰 프로젝트이기도 하다. ◇RF태그와 Suica로 결제 - 실험개요 이 실증실험은 2006년 1월 30일부터 2월 24요일까지 약 1개월에 걸쳐 패밀리마트 이토추빌딩점(東京都港?)에서 실시한 것이다. 3사의 역할분담을 보면 패밀리마트가..

⊙파리바게뜨 vs 뚜레쥬르

⊙파리바게뜨 vs 뚜레쥬르 국내 프랜차이즈 빵집 양대산맥 “한국은 너무 좁다” http://www.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37800&keyWord=%25BB%25F3%25BB%25FD%25C0%25C7%2B%25B8%25C2%25BC%25F6%253C9 국내 베이커리 업계의 대표 브랜드인 SPC그룹 ‘파리바게뜨’와 CJ푸드빌 ‘뚜레쥬르’가 글로벌 해외시장 점령에 나서고 있다. 국내 베이커리 시장이 과포화 상태에 이른데다가 제과점업이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되면서 출점이 제한되자 이를 타개하기 위해 해외시장으로 눈을 돌린 것이다. ▲ 국내 제빵 업계를 양분하고 있는 파리바게뜨와 뚜레쥬르의 경쟁은 글로벌 해외시장으로 그 무대를 옮겨가고 있다. 해외시장에 진출한 두..

⊙서울 베이커리 맛집 20곳

⊙서울 베이커리 맛집 20곳 http://premium.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1/17/2017011701039.html?pmletter 고소한 냄새에 촉촉한 빵은 모두에게 사랑받는 음식일 것이다. 빵 전문가들이 추천한 서울에 새로 생긴 베이커리 20곳을 찾아갔다. 덧붙여 서울 시내 빵집 정보가 담긴 ‘대동빵지도’까지 소개한다. 정유년 새해, 해돋이 구경 가는 사람 못지않게 바쁜 이들이 있다. ‘빵의 나라’ 프랑스에서 새해에 먹는 빵 ‘갈레트 데 루아(Galette des rois)’를 찾아 나선 빵 마니아들이다. 인스타그램에 빵 사진을 올리는 일명 ‘빵스타그램’엔 새해 ‘빵빵’하게 살기 위해 숨은 빵집으로 달려가는 이들의 사진이 가득하다. SNS에서 소문나고, ..

⊙도미노 vs 미스터

⊙도미노 vs 미스터 레스토랑서 잘 안먹고 집에서 먹는 ‘피자’ 떴다 http://www.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50064&keyWord=%25BB%25F3%25BB%25FD%25C0%25C7%2B%25B8%25C2%25BC%25F6%253C35 전성기 거치며 ‘배달피자’ 1등 기염…역전 후 매출 상승가도 ‘이익도 급증’ 미스터 피자를 운영하는 MPK는 올 1분기 실적이 개선됐다. 중국 합작법인 실적이 뜻밖에 호조를 보였고 지난해 인수한 화장품업체 실적까지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내 피자 사업은 심상치 않다. 매출이 16% 줄었고 가맹점 수도 18개가 감소했다. ▲ 미스터 피자는 1990년 이대 1호점을 시작으로 급성장하며 2016년 3월 현재 407개의..

⊙품질 높이고 가격 내린 수제버거 주목

⊙품질 높이고 가격 내린 수제버거 주목 http://www.f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004 수제버거가 주목 받고 있다. 한차례 열풍이 불었던 2000년대 후반과는 다르다. 당시 수제버거는 1만원대를 훌쩍 넘던 가격으로 대중화 되는데 실패했다. 최근 속속 나타난 수제버거 전문점들은 주문 후 조리에 들어가 품질은 수제버거 그대로 유지하면서, 가격은 시중 햄버거 가격으로 낮춘 점이 특징이다. ▲ 마미쿡 마마통살버거 세트 한국 햄버거 시장은 지난 30여년 동안 ’맥도날드’와 ‘버거킹’, ‘롯데리아’ 등 외국계와 대기업 계열사가 주도했다. 강력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전국적인 유통망과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대중들에게 어필했다. 수제버거 열풍이 불었던 과거에는 기존 ..

⊙패스트푸드 업계 할인 전쟁

⊙패스트푸드 업계 할인 전쟁 http://daily.hankooki.com/lpage/economy/201602/dh20160227090617138060.htm 1년 내내 햄버거 할인, 배경 의혹 국내 패스트푸드 '빅4', 매달 할인 행사 진행 "고객에 보답 차원" vs "고객 호구로 간주해" 할인 경쟁에 복합적 요인… "당분간 지속될 것" 30년 가까이 고속 성장을 해오던 국내 패스트푸드 업계가 최근 할인 프로모션에 총력을 쏟고 있어 긴장을 자아내고 있다. ★맥도날드, ★롯데리아, ★버거킹, ★KFC 등 국내 패스트푸드 '빅4'가 1년 365일 내내 할인 행사를 진행하는 것을 두고 이들이 '할인 경쟁의 늪'에 빠진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처럼 패스트푸드 업체들이 할인 4파전을 벌이..

⊙호남권의 백화점

⊙호남권의 백화점 〈전주〉 ■ 전주 전풍백화점 1983 - 1997• 위치 : 전주시 완산구 고사동• 운영 : 1994 - 1997년 8월 - 1983년 지하 1층, 지상 5층 연면적 3,000평 규모로 건축된 전주시 중앙동 옛 전주백화점은 1999년 에프샵이 임대 운영하다 경영난으로 2003년 폐업했다. 이후 건물 소유자인 벽산건설이 다각적인 활용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 폐업한 후 한동안 폐건물로 방치되다가 2010년 11월에 GS 리테일이 인수해서 '노벨리나'라는 이름의 쇼핑몰로 재개장해 운영하고 있다.  ■ 전주 엔떼피아• 위치 : - 사실 백화점이라기보다는 상가에 가까웠다. A동과 B동 각각 5개층씩 총 10개층으로 운영되고 있는 엔떼피아는 현재 A동..

⊙영남권의 백화점

⊙영남권의 백화점 〈대구〉 ■ 대구백화점 1969- •위치 :•개점 : 1969년 12월 26일•창업주 :일명 대백. 영어명칭은 다소 독특하여 DEBEC. 도쿄와 CI가 같으나 사실 대백에서 먼저 썼다. 1969년 12월 26일에 개업해 장장 50년 넘게 대구의 상권을 지켜오고 있는 유서 깊은 지역백화점. 점포는 대구 동성로에 있는 본점과 대봉교 옆에 있는 프라자점(1993년 9월 15일 개점) 2개 점포가 있다.  ■ 동아백화점 1972-2010 •위치 :•개점 : 1972-•창업주 : 1972년 문을 연 대구 동아백화점도 38년간 대구 토종 백화점의 명맥을 이어온 지역 유통의 자존심이었다. 하지만 쁘렝땅백화점 매각 실패에 따른 적자 누적, 롯데·현대 등 경쟁에서 뒤처지자 "외지 거대자본과 경쟁에서 더..

⊙중부권의 백화점

⊙중부권의 백화점 〈춘천〉 ■ 엠백화점 • 위치 : 강원도 춘천시 금강로 68-9 (조양동 34)• 개점 :• 운영 : 농심그룹 계열사 메가마트에서 운영 맨 처음에는 미도파백화점 춘천점으로 1996년에 9월 21일에 문을 열었지만, 미도파가 망한 이후에 다른 지점들처럼 롯데에 흡수되지 않고 2003년 4월에 지역백화점인 동서백화점으로 바뀌었다가 다시 2008년 1월에 농심그룹에 인수된 뒤 같은 해 4월 30일 부로 엠백화점으로 바뀐 뒤 현재에 이르고 있는 것.대한민국 최북단에 위치한 백화점이기도 하다.  ■ 춘천 동서백화점 2003-2008 • 위치 :• 운영 : 2003년 9월 미도파백화점 춘천점이 동서종합건설에 인수되면서 한때 존재했던 백화점이다. 상호와 운영사만 변경되었을 뿐 위치와 건물은 그대로 ..

⊙수도권의 백화점

⊙수도권의 백화점 〈인천〉 ■ 모다백화점 •위치 :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문화로 35 (부평동 70-127) 백화점의 출발은 1992년 동아그룹에서 만든 동아시티백화점. 당시 인천 부평 지역에 백화점이라곤 백운역 근처의 현대백화점 뿐이었기 때문에, 좀더 부평시장 쪽에 위치한 동아시티백화점은 승승장구하게 된다. 장사가 무척 잘 돼서 동아그룹의 현금조달에 한몫할 정도였다고. 이후 동아그룹은 IMF 위기와 함께 해체 수순에 들어갔고 백화점은 롯데가 99년에 건물과 재고만 인수하는 조건으로 425억에 매수, 롯데백화점 부평점이 되었다. 롯데백화점 인천터미널점 개점 조건으로 공정위가 롯데백화점 인천점과 부평점 매각을 명령했기 때문에, 매물로 나오게 되었다. 롯데로서는 나쁠 게 없는 것이, 애초에 부평점은 매출 규..

⊙중국의 지역구분과 성격지도

⊙중국의 지역구분과 성격지도 http://dl.kotra.or.kr/search/DetailView.ax?cid=87462 I. 중국 허베이(華北) 지방 1. 베이징(北京) - 황제의 도시 콤플렉스 2. 네이멍구(內蒙古) - 초원의 독수리들 3. 톈진(天津) - 타고난 유머의 도시 4. 허베이(河北) -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 5. 산시(山西) - 북방의 남방인, 중국의 유태인 II. 중국 시베이(西北) 지방 1. 칭하이(靑海) - 외지인의 천국 2. 위그루(新疆) - 북방 소수민족의 고향 3. 닝샤(寧夏) - 전통적 농경 생활에 머무른 발전 4. 산시(陝西) - 우월감에 사로잡힌 왕조의 후예 5. 간쑤(甘肅) - 생존력이 강한 서북 이리 III. 중국 시난(西南) 지방 1. 충칭(重慶) ..

⊙중국의 국가개황

⊙중국의 국가개황 중국구역 성시.xlsx 중국지도.pptx Ⅰ. 국가개황 국명 : 중화인민공화국 수도 : 베이징 위치 : 아시아 대륙 동쪽 육지 면적 : 약 960만㎢ 남북 간 거리 : 약 5,500㎞ 동서 간 거리 : 약 5,200㎞ 육지 국경선 : 약 2만 2,800㎞ 해안선 길이 : 약 1만 8,000㎞ 인구 : 13억 3,972만 명(제6차 인구센서스) 민족 : 56개 국경일 : 10월 1일 체제 및 의회 형태 : 인민공화제, 일당제, 단원제 국가원수/정부수반 : 국가주석/총리 국기 : 오성홍기 국가 : 의용군행진곡 공식언어 : 보통화(普通話) 화폐/단위 : 인민폐/위안(元) 종교 : 도교, 불교, 그리스도교, 이슬람교 우리나라와의 시차 : 1시간 Ⅱ. 역사 〈한.중 역사연대표〉 Ⅲ. 인구 및 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