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760

md114.com / vol. 2330

md114.com / vol. 2330 트렌드와 머천다이징 관련정보를 정리하여 공유하고자 합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하는 바램이며, 늘 건강하고 행복 하시기를 소망합니다. 감사합니다! • Issue & trend 〔Prop-tech〕부동산과 IT기술 결합한 ‘프롭테크’ 부상 〔Prop-tech〕부동산 '발품' 이제 옛말…프롭테크 스타트업 뜬다. 〔Prop-tech〕지난해 프롭테크 투자금 1.2조…스타트업 매출 2조원 눈 앞 〔Prop-tech〕다양한 프롭테크 서비스, ‘트렌드쇼’에서 체험하자 〔Prop-tech〕영역 확장하는 프롭테크 “검색부터 리스크 관리까지” • Contents & Develop ⊙드럭스토아(Drug Store) ⊙한국의 드럭스토어 현황 ★왓슨(屈臣氏. Jyutping, Watsons)..

@알스퀘어(Rsquare) / 2009, 프롭테크의 리더

@알스퀘어 / 2009, 프롭테크의 리더 https://www.rsquare.co.kr/ - 알스퀘어는 부동산을 의미하는 'Real estate’와 광장, 교차점을 뜻하는 ‘Square’의 합성어입니다. - 길이 모이는 광장처럼, 알스퀘어를 거치면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모든 정보가 연결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부동산 카르텔 무너뜨린 프롭테크의 리더 (joins.com) 사무용(B2B) 부동산 시장에 메기가 나타났다. 컨설팅회사 출신인 이용균(38) 알스퀘어 대표는 수십 년간 대기업들이 독점해온 사무용 부동산 정보를 하나하나 모아가며 ‘프롭테크’ 업계 리더로서 시장 질서를 다시 쓰고 있다. 방탄소년단 소속사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이하 빅히트)의 신사옥 이전 소식이 B2B부동산 중개 시장을 뜨겁게 달궜다...

@부동산의 신(landmaster)

@부동산의 신(landmaster) (landmaster.co.kr) 부동산의 신, AI·빅데이터 기술 적용한 아파트 주거환경 탐색 도입 (dailymagazine.co.kr) -입주민도 몰랐던 정보, 아파트 거래 전 확인 가능 이도플래닝의 라이프 스타일 맞춤형 아파트 추천 플랫폼 ‘부동산의 신’이 주거환경탐색 서비스를 출시했다. 이번에 출시된 주거환경탐색은 지역별, 주거 항목(교통/상권, 학군/교육, 단지 환경, 실내 구조, 개발 호재, 가격 요인)별 200만개가 넘는 세부 데이터를 이용자가 직접 선택해 목적에 맞는 주거환경지도를 만들 수 있다. ▲ 주거환경탐색 화면 [제공/이도플래닝] 예를 들어 학군이 중요하고 남편의 직장 거리도 고려해야 하는 세대의 경우 서울, 수도권/인천 지역 가운데 아파트 단지..

@직방(Zigbang) / 2010, 부동산 거래 플랫폼

@직방(Zigbang) / 2010, 부동산 거래 플랫폼Zigbang • 설립일 : 2010년 11월 19일• 업종 : 소프트웨어 자문, 개발 및 공급업• 창업자 : CEO 안성우 2010년 설립된 국내 대표 프롭테크 기업이자, 대한민국의 12번째 유니콘 기업이다. 2012년부터 '직방' 서비스를 시작했다. 아파트, 원룸, 오피스텔, 빌라 등 부동산 거래 플랫폼에서 나아가 최근에는 주거관리 영역으로 확장했다. 2022년 7월에는 삼성SDS 홈IoT 사업부를 인수하여, 스마트홈 사업에 진출한 바 있다.   직방 “이용자 45.9%, 하반기 집값 하락 전망”(donga.com) 전년 말 하락 전망 77.7%보다 낮아져경기침체 우려… “전세가도 내릴 듯” 올해 하반기(7∼12월) 일반인이 바라본 집값 전망에서..

@집품 / 2021, 부동산 리뷰 플랫폼

@집품 / 2021, 부동산 리뷰 플랫폼 (zippoom.com) 넥스트그라운드, 실제 거주 후기 공유 앱 '집품' 출시 https://www.etnews.com/20210428000078 넥스트그라운드(대표 김청산)는 1인 가구 증가로 커지고 있는 프롭테크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실제 거주 후기 공유 애플리케이션(앱) '집품'을 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프롭테크'란 부동산(Property)과 기술(Technology) 결합 용어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 기술을 접목한 부동산 서비스 산업을 의미한다. 프롭테크 시장은 1세대 부동산 중개 앱 '직방' '다방'을 시작으로 공유 오피스, 셰어하우스 등으로 범위와 규모가 점차 커지고 있다. 집품은 부동산이나 임대업자가 작성한 후기가 아닌 실제 거주자가 작성한 ..

@스위트스팟 / 2015, 팝업스토어 중개

@스위트스팟 (sweetspot.co.kr) 팝업스토어 / 풍부한 유동인구와 상주인구를 보유한 다양한 형태의 공간에서 오픈 가능한 팝업스토어 1. 입점비 없는 판매 수수료 기반 2. 제품 판매, 패밀리세일 등 가능 3. 빠른 판매 대금 정산(판매 종료 후 10영업일 이내) 4. 팝업스토어 전문 MD를 통한 컨설팅 지원 5. 입점 가이드, 휴대용 결제 단말기 제공 플리마켓 / 스위트스팟 랜드마크 공간에서 열리는 플리마켓 1. 플리마켓에 최적화된 집기 무상 제공 및 고감도 인테리어 연출 2. 집객을 위한 모객 활동 및 홍보 POP 무상 제공 3. 상시 상주하는 담당 매니저의 원활한 현장 운영 4. 다양한 SNS 채널을 통한 시그니처 스토어 입점 브랜드 홍보 편집샵 / 공간 대여, 집기 제작, 매장 디스플레이..

@워터트리(WATERTREE) / 외국인 대상 여행정보 포털사이트

@워터트리(WATERTREE) / 외국인 대상 여행정보 포털사이트 (modoo.at) •본부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중앙로 1542 전화번호 : 070-8668-8885 이메일 : watertree01@gmail.com - 워터트리(WATERTREE)의 뜻은 파트너의 '비지니스를 심어 성공으로 가꾸겠다는 의지'가 반영돼 있습니다. - 운영 사업중 하나인 트립포즈(trip + propose / 새로운 여행을 제안하다) 사이트는 외국인 개별관광객(FIT: Free Independent Tourism) 대상 한국 여행정보 포털사이트입니다. 외국인이 한국 여행에 대한 계획 및 투어상품 예약, 쿠폰 다운로드 등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공간입니다. - 문화, 음식, 쇼핑, 호텔, 항공, 공연, 티켓..

@쏘타콜렉션(SoTA Collection) / 2021, 숙박시설 위탁운영

@쏘타콜렉션(SoTA Collection) / 2021, 숙박시설 위탁운영 (sota-collection.com) •주식회사 온다매니지먼트(대표 : 정진태) •본사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83길 51 정목빌딩 3층 - 쏘타콜렉션은 전국 6만여 객실에 이르는 생활형 숙박시설, 이른바 레지던스형 숙박 시설의 운영과 판매를 하는 브랜드 - 쏘타콜렉션이 운영하는 객실에는 IoT 센서들이 탑재돼 있어 투숙객의 상황에 따라 최적의 냉난방을 제공하고 프론트데스크와 각 층에는 고객용 키오스크를 설치해 운영비와 인건비 절감 - 또한 고객들은 예약 전 인공지능 챗봇을 통해 24시간 문의가 가능하며 객실에 머물 때도 챗봇과 IoT 기기를 연동해 객실의 조명, 냉난방, 블라인드 등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온다(onda) / 2016, 숙박상품 플랫폼

@온다(onda) / 2016, 숙박상품 플랫폼 http://onda.me •주식회사 온다 (구 티포트T Port Inc.) •대표자명 : 오현석 •본사 :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83길 49, 2층 〈사업내용〉 -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여행사업, 온라인홍보대행업 - 업계 최대 규모인 40만여 개에 달하는 국내 숙박 상품을 IT기술을 통해 유통하고 있으며 - 숙박 위탁운영 브랜드 ‘쏘타콜렉션(SoTA Collection)’ 출범 - K-유니콘 프로젝트(중소벤처기업부 주관)에 선정된 아기유니콘 - 주식회사 온다 (구 티포트T Port Inc.)는 ‘숙박산업의 바른 내일을 제시합니다‘라는 슬로건을 바탕으로 호텔, 모텔, 펜션, 게스트하우스, 해외숙소 등 숙박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을 IT 기술로 혁신해 나..

〔Prop-tech〕부동산 '발품' 이제 옛말…프롭테크 스타트업 뜬다.

〔Prop-tech〕부동산 '발품' 이제 옛말…프롭테크 스타트업 뜬다. (asiae.co.kr) 스타트업, 부동산에 최신 기술 적용 시장 혁신 ‘발품 팔아야 좋은 물건을 찾을 수 있다’, 부동산 업계의 이 오랜 금언(金言)은 조만간 옛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발품을 대체할 새로운 품이 뜨고 있기 때문이다. 이른바 ‘프롭테크’다. 프롭테크는 부동산 자산(property)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다. 부동산 시장에 클라우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의 최신 기술을 적용해 발품 이상의 효과를 낸다. 단순히 매물 정보를 제공하는 수준이 아니라 빅데이터로 적합한 상업용 공간을 찾아내고 보증금을 떼이지 않도록 위험도를 분석하기도 한다. 이렇게 프롭테크로 시장을 혁신하는 중심에 스타트업이 있다..

〔Prop-tech〕지난해 프롭테크 투자금 1.2조…스타트업 매출 2조원 눈 앞

〔Prop-tech〕지난해 프롭테크 투자금 1.2조…스타트업 매출 2조원 눈 앞 (newsis.com) 지난해 프롭테크 시장에 유입된 투자금이 1조2040억원으로 2년 연속 1조원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프롭테크포럼이 발간한 '2023 프롭테크 회원사 편람'에 따르면 지난해 프롭테크 시장에 유입된 투자금은 1조2040억 원으로 2021년에 이어 2년 연속 1조 원 이상의 투자 규모를 이어갔다. 100억원 이상 투자를 유치한 기업은 21개 사였으며 1000억원 이상 투자를 유치한 기업도 브라이트에너지파트너스, 아이파킹, 오늘의집, 직방 등 5개 사로 확인됐다. 프롭테크 기업들의 2022년 연 매출은 1조9445억원(135개사 기준)으로 2조원에 육박했으며 재직자 수는 1만965명(178개 사 ..

〔Prop-tech〕다양한 프롭테크 서비스, ‘트렌드쇼’에서 체험하자

〔Prop-tech〕다양한 프롭테크 서비스, ‘트렌드쇼’에서 체험하자 (chosun.com) [2023 대한민국 부동산 트렌드쇼] 부동산의 신, 교통·상권·학군 등 라이프스타일 맞춘 아파트 추천 부동산 트렌드쇼에선 첨단 기술로 무장한 프롭테크 기업들의 서비스도 만나볼 수 있다. @부동산의 신 아파트 큐레이팅 플랫폼 ‘부동산의 신’은 이용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 검사를 통해 아파트를 추천하는 서비스를 선보인다. 매물광고 중심이 아니라 교통과 상권, 학군, 개발호재 등 주거환경에 대한 정보와 아파트(오피스텔) 비교·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챗GPT 기술을 활용해 실제 입주민들의 거주 후기를 분석해서 제공한다. @세이프홈즈 부동산 데이터 플랫폼 세이프홈즈는 집 주소와 보증금을 입력하면 등기부등본, 건축물대장 등..

〔Prop-tech〕영역 확장하는 프롭테크 “검색부터 리스크 관리까지”

〔Prop-tech〕영역 확장하는 프롭테크 “검색부터 리스크 관리까지” (venturesquare.net) 국내 부동산 시장이 최근 수년간 급격한 변화를 겪으면서 부동산과 기술이 접목되는 프롭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프롭테크는 부동산 거래를 더욱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디지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로 국내 스타트업의 도전이 잇따르는 분야다. 특히 코로나19 엔데믹 이후에도 편리한 부동산 거래가 일상처럼 확산면서 주거용, 상업용 매물 검색에서 더 나아가 임차인 보증금 안전을 파악해 주는 등 프롭테크 서비스도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다. ◆ 영역 확장 중인 프롭테크 스타트업들 … “편리한 검색에서 리스크 관리까지” @스위트스팟 프롭테크 스타트업 스위트스팟은 상업용 건물의 유휴공간에 팝업스토어가 필요한..

〔Prop-tech〕부동산과 IT기술 결합한 ‘프롭테크’ 부상

〔Prop-tech〕부동산과 IT기술 결합한 ‘프롭테크’ 부상 (k2base.re.kr) □ 코로나19ㆍ비대면 시대 맞아 부동산 시장도 변화...'프롭테크(Proptech)' 조명 º 프롭테크는 부동산(Property)과 기술(Technology)을 결합한 용어로 부동산 산업 전반에 인공지능(AI), 빅데이터, 가상현실(VR) 등 첨단 정보기술(IT)을 접목한 개념 - 단순 부동산 중개 영역을 벗어나 온라인 임장, 전자계약, 인공지능 매물 추천·평가, 빅데이터 기반 자산 관리, 인테리어 서비스,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수익증권 등 서비스 영역은 무궁무진 - 최근 코로나19 영향으로 모델하우스, 리모델링 현장 방문이 어려워지자 VR·AR 등을 통해 비대면 체험 기회가 증가하며 일반 소비자에게 친숙하게 다가가..

★월그린스(Walgreens) / 1901, 리테일 약국체인(Retail Pharmacy)

★월그린스(Walgreens) / 미국 1901, 리테일 약국체인(Retail Pharmacy)http://www.walgreens.com/  • 설립 : 1901년• 설립자 : 찰스 루돌프 월 그린• 본부 : 200 Wilmot Road, 디어 필드 , 일리노이 주 , 미국• 점포수 : 9,560• 업태 : 드럭스토어, 조제약국 - Walgreen Company 또는 단순히 Walgreens 는 CVS Health의 뒤를 이어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약국 스토어 체인으로 운영되는 미국 회사로 의약품 처방, 건강 및 웰빙 제품, 건강 정보 및 사진 서비스 전문 회사이다.  - Walgreens는 1901년 시카고에 있는 Bowen과 Cottage Grove Avenue의 모퉁이에 약국을 두고 시작했으며,..

★CVS 헬스(CVS Health) / 로드아일랜드 1963, 미국 대표적인 약국체인

★CVS 헬스(CVS Health) / 로드아일랜드 1963, 미국 대표적인 약국체인 www.cvshealth.com • 창업 : 1963년 •본사 : 로드아일랜드주 운소켓(Woonsocket) •종업원 수 : 300,000 (2019) - CVS 헬스는 편의점(Convenience Store)에서 시작되었다. 1963년 편의점의 형태로 출발해, 수많은 M&A를 거치면서 2014년 CVS 헬스로 사명이 변경되었고, 현재는 약국 체인으로 알려져 있다. - 로드아일랜드주 운소컷(Woonsocket, Rhode Island)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2019년 기준 전국에 9,967개의 매장과 1100개의 워크인(Walk-in) 클리닉을 보유하고 있으며, 총 직원 수는 30만 명에 이른다. - 2020년 기준 C..

★먹태깡 / 고의적 품절 마케팅

★먹태깡 / 고의적 품절 마케팅 “하루 4개 팔아놓고 품절?”…‘먹태깡’ 발주 수량에 소비자 뿔났다 (econovill.com) 일부 기업 ‘품절 마케팅 전략’ 지적 고개 “의도적 품절 대신 상품 경쟁력 높여야” 최근 농심에서 만든 ‘먹태깡’ 품절 대란을 놓고 소비자를 중심으로 ‘고의적 품절 마케팅 아니냐’는 지적이 고개를 들고 있다. 지속적인 판매량을 이어가는 경쟁력 있는 상품이 아닌 일시적인 현상일 것이라는 시각이 주를 이룬다. 14일 편의점업계에 따르면 편의점 4사(CU·GS25·세븐일레븐·이마트24)는 이날 먹태깡 발주를 진행했다. 발주는 편의점 한 곳 당 먹태깡 4봉지로 제한을 뒀다. 지난달 26일 출시된 먹태깡은 ‘새우깡 동생’이란 애칭이 붙을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먹태깡의 편의점 하루 ..

★얼타(Ulta) / 일리노이즈 1990, 고급미용실이 함께있는 드럭스토어

★얼타(Ulta) / 화장품 전문 판매채널 Ulta Beauty •설립 : 1990년 •설립자 : Parker Rosen •본부 : Bolingbrook, Illinois, U.S. •점포수 : 1,124 (August 2018) 정체된 유통업계에서 매년 10%씩 성장, 제품 써보고 구매… 매장내 미용실 운영도 미국 경제 전문지 ‘포천’이 최근 선정한 올해의 기업인 명단에는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 제프 베조스 아마존 CEO에 이어 다소 생소한 매리 딜런이 3위를 차지했다. 래리 페이지 구글 공동 창업자와 마윈 알리바바 회장, 팀쿡 애플 CEO를 제친 유일한 10위권 여성 CEO다. 딜런은 2013년부터 미국 대형 화장품 전문 채널 얼타(Ulta)를 이끌고 있다. 포천은 “딜런이 얼타를 이끈 이후..

⊙‘워킹 시니어' 급증세

일하는 사람 5명 중 한명은 60세 이상…‘워킹 시니어' 급증세 (joongang.co.kr) 파주에 사는 최재임(64)씨는 쉬는 날 없이 일하는 주가 많다. 여성가족부 아이돌보미 사업에 참여한 그에게 일요일에도 아이를 봐 달라고 부탁하는 가정이 있어서다. 평일에는 7세‧9세 아이들을, 주말에는 7세 아이를 돌본다. 그럼에도 그는 “건강이 허락하는 한 계속 일하고 싶다”고 했다. 최씨는 “스무 살 때부터 이때까지 일을 놓아본 적이 없다”며 “아마 우리 세대는 일을 안 하면 오히려 불안하고 소외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을 것 같다”고 짚었다. 지난해 60세 이상 취업자 수와 증가 폭이 동시에 사상 최다·최대를 기록했다. 저출산·고령화가 본격화하면서 이제 한국에서 일하는 사람 5명 중 한명은 최씨처럼 60세 ..

⊙日기업들 정년연장·고령자 임금↑

"60세 넘어도 일하세요"…日기업들 정년연장·고령자 임금↑ (hankyung.com) 일본에서 인구 감소로 노동력 부족 문제가 심화하면서 60세를 넘은 이른바 '시니어 사원'에 대한 처우를 개선해 근로를 독려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7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스미토모화학은 내년 4월부터 정년을 60세에서 65세로 단계적으로 연장하고, 시니어 사원의 급여는 59세 시점과 동일한 수준으로 지급하기로 했다. 지금까지는 60세를 넘은 사원이 근무하려면 재입사 절차를 거쳐야 했고, 급여도 정년퇴직 이전의 40∼50%에 불과했다. 스미토모화학은 현재 3%인 시니어 사원의 비율을 10년 이내에 17%로 올릴 계획이다. 무라타제작소는 60세 이상 사원의 임금 체계를 개선하고, 직원이 정..

md114.com / vol. 2329

md114.com / vol. 2329 트렌드와 머천다이징 관련정보를 정리하여 공유하고자 합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하는 바램이며, 늘 건강하고 행복 하시기를 소망합니다. 감사합니다! • Issue & trend 〔할마·할빠〕15억 ‘할마·할빠’ 경제 급성장… 〔할마·할빠〕부모와 조부모, 마음의 행간 읽기 〔할마·할빠〕손주 육아, 할마·할빠 속마음… 〔할마·할빠〕고령화 선진국의 육아 지혜 〔할마·할빠〕‘황혼육아’와 함께 등장한 신조어 • Contents & Develop ⊙저출생에도 ‘프리미엄 아동복’ 훨훨…토종 브랜드 어디로? ★스토케(STOKKE) / 노르웨이 1932, 유모차 ★아가짱 혼포(赤ちゃん本舗, Akachan Honpo) / 1941, 일본 유아용품 점문대점 ★토이저러스(Toys Я Us) ..

★아가방 / 1979, 아가를 위한 모든 것

★아가방 / 1979, 아가를 위한 모든 것 (agabangncompany.com) 1979년 「아가를 위한 모든 것」을 기치로 국내 최초의 아가옷과 아가용품 전문업체 1979년 04월 유아용품 도매업을 목적으로 대표이사 왕동운에 의해 '보라유통산업(주)'로 설립 1980년 03월 상호명을 '(주)아가방'으로 변경 1980년 03월 대표이사 왕동운 사임 및 대표이사 김욱 취임 2007년 03월 상호명을 '(주)아가방앤컴퍼니'으로 변경 2014년 12월 각자대표이사 이원재, 신동일 취임 2015년 12월 현 대표이사 신상국 취임 아가방앤컴퍼니, '중국보다 내수' 5년만에 적자 탈출 (thebell.co.kr) 국내 대표 유아동복업체 아가방앤컴퍼니는 2010년대 초 위기를 맞이했다. 2002년 코스닥 상장에..

★아모레퍼시픽 ‘설화수(雪花秀)’ / 1997 “피부에 양보하세요”

★아모레퍼시픽 ‘설화수(雪花秀)’ / 1997 “피부에 양보하세요” “몸에 좋은 인삼 피부에 양보하세요”...아모레퍼시픽 설화수 (asiaa.co.kr) “몸에 좋은 인삼을 피부에 발라도 좋지 않을까?” 아모레퍼시픽을 대표하는 럭셔리 화장품 브랜드 ‘설화수’는 이렇게 일상적인 발상에서 출발했다. 아모레퍼시픽 창립자 서성환 회장은 1960년대 프랑스로 사업 시찰을 가 대표적인 향수 산지로 꼽히는 그라스를 방문했다. 그라스에서 향수의 원료가 되는 꽃밭이 드넓게 펼쳐진 것을 보고, 특산 식물 재배가 경제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깨달음을 얻었다. 서성환 회장은 한국에 돌아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식물인 인삼도 “피부에 발라도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구체화했다. 성 회장의 아이디어에 따라 현재 한방..

★하이트진로 '진로(眞露)' / 2019, 두꺼비 캐릭터

★하이트진로 '진로(眞露)' / 2019, 두꺼비 캐릭터 MZ세대 사로잡은 진로 브랜드와 두꺼비 캐릭터 (asiaa.co.kr) 하이트진로가 2019년 출시한 '진로'는 뉴트로 열풍에 힘입어 하이트진로 제2의 전성기 문을 열었다. 여기에 두꺼비 캐릭터가 힘을 보태며 MZ세대 취향저격 브랜드로 급부상하고 있다. 하이트진로는 2019년 4월 1970~1980년대 진로를 요즘 감성으로 재해석해 출시했다. 24년만의 화려한 부활이었다. 하이트진로는 진로 패키지를 현대 감성으로 바꾸고, 깔끔한 맛과 낮은 도수로 주질을 변경, 전방위적 캠페인을 위한 두꺼비 캐릭터를 리뉴얼했다. 이후 두꺼비 캐릭터를 활용한 다양한 굿즈를 출시하고 여러 업체와 컬래버레이션을 진행하면서 진로는 젊고 트렌디한 브랜드이자, 하이트진로 대표..

★SPC삼립 ‘삼립호빵’ / 1971, 호빵계 '맏형'

★SPC삼립 ‘삼립호빵’ / 1971, 호빵계 '맏형' 호빵계 '맏형' 삼립호빵...52년 장수 비결은? (asiaa.co.kr) “찬바람이 싸늘하게 두 뺨을 스치면” “ 뜨거워서 호호~ 맛이 좋아 호호~” 1971년에 출시한 SPC삼립 스테디셀러 삼립호빵은 이 분야 대표 장수식품이다. 지난해에는 1200억원어치를 팔았고 누적 수량으로 약 63억개 판매고를 올렸다. 2020년보다 20% 이상 증가한 수치다. 유난히 장수식품이 즐비한 식음료업계에서도 단일 제품이 50년을 넘기는 사례는 흔치 않다. 비결은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한 품질 강화와 혁신적인 브랜드 전략에 있다. 2020년 SPC삼립은 출시 50주년을 기념해 호빵책: 디아카이브란 제목 양장본 책을 선보이기도 했다. ‘삼립호빵’ 브랜드 50년간 대한..

★CJ제일제당 '스팸(Spam)' / 1987, 깡통햄의 대명사

★CJ제일제당 '스팸(Spam)' / 1987, 깡통햄의 대명사 깡통햄의 대명사가 된 '스팸' (asiaa.co.kr) 국내에서 생산된지 35년이 된 CJ제일제당의 '스팸', 처음 개발된 미국에서보다 우리나라서 더욱 인기를 끌고 있는 비결은 뭘까? 스팸의 기원을 알기 위해서는 1891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당시 미국의 미네소타주에 거주하고 있는 조지 호멜은 육류를 포장해서 파는 것이 블루오션이 될 것이라고 판단해 회사를 설립했다. 1914년 조지 호멜의 아들인 제이 호멜은 아버지의 회사에 입사했고 몇 년 후 제이 호멜은 회장자리에 올랐다. 회장 자리에 오르자마 새로운 유통방법, 마케팅 기법, 새로운 제품을 연구하기 시작했고 그로부터 몇 년 후 유럽 여행을 하던 중 독일 함부르크에서 작은 육가공 업..

★LG 생활건강 ‘후(后)’ / 2003, ‘왕후의 궁중문화’ 콘셉트

★LG 생활건강 ‘후(后)’ / 2003, ‘왕후의 궁중문화’ 콘셉트 LG 생활건강 ‘후’..."화장품에 궁중 비책을 담다" (asiaa.co.kr) 국내 화장품 업계에서 단일 브랜드 처음으로 매출 2조원을 돌파하며 글로벌 명품 브랜드로 성장했다. 2003년 출시된 ‘후’는 차별화된 제품과 브랜드 스토리를 바탕으로 2016년 매출 1조원을 기록, 2년만인 2018년 매출 2조원을 달성했다. 이런 '후' 성공 요인엔 기존 한방화장품에서 '궁중 브랜드'로 탈바꿈한 전략이 주효했다. 2003년 첫 출시 당시 ‘후’ 담당자들의 고민은 한방화장품 카테고리 내에서 어떻게 브랜드를 차별화할 것인가 하는 점이었다. 당시 ‘궁중’을 브랜드 테마로 잡고 고가 브랜드로 포지셔닝 했지만, 소비자들이 큰 차이를 느끼기에는 부족..

★롯데푸드 '돼지바' / 1983, 국내 첫 크런치바

★롯데푸드 '돼지바' / 1983, 국내 첫 크런치바 국내 첫 크런치바 '돼지바'...근데 왜 '돼지'죠? (asiaa.co.kr) 돼지고기가 들어간 것도, 돼지 모양도 아닌데 초코 크런치와 딸기시럽이 들어간 아이스크림은 왜 '돼지바'가 됐을까? 이는 돼지바가 지금으로부터 39년 전인 1983년 계해년(검은 돼지해)에 태어났기 때문이다. 국내 첫 크런치바로 출시돼 풍성하고 복된 이미지를 담아 '돼지바'로 이름 붙여졌다. 출시 당시만 해도 아이스크림에 '돼지'라는 단어를 붙여 부르는 것이 어색해 전국 지점장들을 비롯해 사내에 반대 의견이 많았다. 크런치가 흔하지 않던 시절이라 '크런치바'라는 이름이 돼지바와 경쟁했으나 당시 대표이사의 강력한 의지로 돼지바라는 이름이 붙게 됐고, 결국 큰 성공을 거두게 되면..

★한국야쿠르트 '야쿠르트' / 1971, 50년 장수 브랜드

★한국야쿠르트 '야쿠르트' / 1971, 50년 장수 브랜드 발효유 불모지서 탄생한 50년 장수 브랜드 '야쿠르트' (asiaa.co.kr) 1969년 설립된 한국야쿠르트(현 hy)가 1971년 출시한 국내 1호 유산균 발효유 '야쿠르트'는 현재까지 hy 대표 제품이자 국내 발효유 상징으로 인식되고 있다. 출시 당시 이름조차 생소했던 '유산균 발효유'가 보편적 건강음료로 자리 잡고 50년째 장수 브랜드로 사랑받기까지, 야쿠르트 역사를 짚어봤다. ◇발효유 불모지서 탄생... 소비자 오해 딛고 국민 음료로=유산균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던 만큼 야쿠르트 출시 초창기는 고난의 연속이었다. hy는 1970년 야쿠르트 시제품을 생산했지만, 판매를 위한 제품 등록과 법적 기준도 부족했다. 국내에 처음 선보이는 제품인 ..

★대상 '종가집' / 韓 포장김치 1호

★대상 '종가집' / 韓 포장김치 1호 (asiaa.co.kr) 대한민국 포장김치 1호 종가집을 아시나요? 김치를 집에서 담가먹는 것이 당연했던 시절, 전통음식 김치 세계화를 꿈꾸며 등장한 제품이 있다. 국내 첫 포장김치 브랜드 '종가집'이 그 주인공이다. 김치를 간편하게 구입해 먹을 수 있다는 이점으로 국내·외 대표 김치 브랜드로 승승장구 중이다. 특히 국민들 여가시간을 늘려 사회참여 활동을 높였다고 평가 받는 주요 가전제품 발명만큼, 포장김치는 겨울철 가장 고됐던 가사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세기의 발명'으로 꼽히기도 한다. ◇표준화된 맛, 시간 흘러도 숙성되는 특별함 시작은?= 1980년대 정부는 88서울올림픽을 앞두고 우리나라 대표 전통음식인 김치를 알리기 위해 상품화를 추진했다. 이를 위해 언..